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詩聖 杜甫 詩

두보 시(杜甫 詩) HOME

by 산산바다 2006. 7. 30.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杜甫詩 바로가기(가나다순)

 1 가산(假山) 231 수맹운경(酬孟雲卿)
 2 가석(可惜) 232 수함견심이수(水檻遣心二首)
 3 가인(佳人) 233 숙부(宿府)
 4 가탄(可嘆) 234 숙찬공방(宿贊公房)
 5 각야(閣夜) 235 술회(述懷)
 6 강남봉이구년(江南逢李龜年) 236 승침팔장동미제선부원외랑(承沈八丈東美除膳部員外郎)
 7 강매(江梅) 237 시요노아단(示獠奴阿段)
 8 강반독보심화칠절구(江畔獨步尋花七絕句) 238 시월일일(十月一日)
 9 강벽조유백(江碧鳥逾白) 239 시종손제(示從孫濟)
10 강변성월(江邊星月) 230 신안리(新安吏)
11 강상치수여해세료단술(江上値水如海勢聊短 241 신우(晨雨)
12 강월(江月) 242 신혼별(新婚別)
13 강정(江亭) 243 십이월일일삼수(十二月一日三首)
14 강촌(江村) 244 쌍풍포(雙楓浦)
15 강촌삼수(羌村三首) 245 악록산도림이사행(岳麓山道林二寺行)
16 강한(江漢) 246 악유원가(樂遊園歌)
17 객야(客夜) 247 알문공상방(謁文公上方)
18 객정(客亭) 248 애강두(哀江頭)
19 객지(客至) 249 애왕손(哀王孫)
20 거의항(去矣行) 250 () 1
21 거촉(去蜀) 251 () 2
22 검문(劍門) 252 야망(野望)1
23 견우(遣遇) 253 야망(野望)2
24 견우직녀(牽牛織女) 254 야연좌씨장(夜宴左氏莊)
25 견형화(見螢火) 255 야인송주앵(野人送朱櫻)
26 견회(遣懷) 256 야청허십일송시애이유작(夜聽許十一誦詩愛而有作)
27 견흥(遣興) 257 억석(憶昔)
28 견흥삼수(遣興三首) 258 억유자(憶幼子)
29 겸가(蒹葭) 259 억제이수(憶弟二首)
30 경증정간의십운(敬贈鄭諫議十韻) 260 엄정공댁동영죽(嚴鄭公宅同詠竹)
31 계추강촌(季秋江村) 261 여이십이백동심범십은거(與李十二白同尋范十隱居)
32 고남(高楠) 262 여야서회(旅夜書懷)
33 고도호총마항(高都護驄馬行) 263 여인행(麗人行)
34 고무위장군만사삼수(故武衛將軍挽詞三首) 264 여임성허주부유남지(與任城許主簿遊南池)
35 고백행(古柏行) 265 여호현원대소부연미피(與鄠縣源大少府宴渼陂)
36 고안(孤雁) 266 연융주양사군동루(宴戎州楊使君東樓)
37 고우봉기롱서공겸정왕징사(苦雨奉寄隴西公兼呈王徵士) 267 연자래주중작(燕子來舟中作)
38 곡강대우(曲江對雨) 268 열삼수(熱三首)
39 곡강대주(曲江對酒) 269 영회고적오수(詠懷古跡五首)
30 곡강배정팔장남사음(曲江陪鄭八丈南史飮) 270 예도료영회(刈稻了詠懷)
41 곡강삼장(曲江三章) 271 오반(五盤)
42 곡강이수(曲江二首) 272 옥화궁(玉華宮)
43 공낭(空囊) 273 완월정한중왕(玩月呈漢中王)
44 과송원외지문구장(過宋員外之問舊莊) 274 왕랑주연봉수십일구석별지작(王閬州筵奉酬十一舅惜別之作)
45 관공손대낭제자무검기항병서(觀公孫大娘弟子舞劍器行幷序) 275 외인(畏人)
46 관병(觀兵) 276 용문(龍門)(即伊闕)
47 관안서병과부관중대명이수(觀安西兵過赴關中待命二首) 277 용문각(龍門閣)
48 관정후희증(官定後戲贈) 278 () 1
49 광록판항(光祿坂行) 279 () 2
50 광부(狂夫) 280 우과소단(雨過蘇端)
51 교릉시삼십운인정현내제관(橋陵詩三十韻因呈縣內諸官) 281 우목(寓目)
52 구일(九日) 282 우묘(禹廟)
53 구일곡강(九日曲江) 283 우부절(雨不絕)
54 구일기잠삼(九日寄岑參) 284 우시종무(又示宗武)
55 구일남전최씨장(九日藍田崔氏莊) 285 우정오랑(又呈吳郞)
56 구일등재주성(九日登梓州城) 286 우청(雨晴)
57 구일양봉선회백수최명부(九日楊奉先會白水崔明府) 287 운산(雲山)
58 군불견간소혜(君不見簡蘇徯) 288 원유(遠遊)
59 군성조추(軍城早秋) 289 원일기위씨매(元日寄韋氏妹)
60 권야(倦夜) 290 원일시종무(元日示宗武)
61 귀안(歸雁) 291 () 1
62 금석항(今夕行) 292 () 2
63 기고삼십오서기(寄高三十五書記) 293 월삼수(月三首)
64 기고삼십오첨사(寄高三十五詹事) 294 월야(月夜)
65 기이백(寄李白) 295 월야억사제(月夜憶舍弟)
66 기이십이백이십운(寄李十二白二十韻) 296 월원(月圓)
67 기전초산중도사(寄全椒山中道士) 297 위농(爲農)
68 寄贊上人(기찬상인) 298 위장군가(魏將軍歌)
69 기한간의(寄韓諫議)/기한간의주(寄韓諫議注) 299 위풍록사택관 조장군화마화인(韋諷錄事宅觀 曹將軍畵馬畵引)/韋諷錄事宅觀 曹將軍畫馬圖
70 낙유원가(樂遊園歌) 300 유객(有客)
71 낙일(落日) 301 유구법조정하구석문연집(劉九法曹鄭瑕丘石門宴集)
72 남린(南鄰) 302 유별공안태역사문(留別公安太易沙門)
73 남목위풍우소발탄(柟木爲風雨所拔歎) 303 유소부신화산수장가(劉少府新畵山水障歌)
74 남정(南征) 304 유수각사(游修覺寺)
75 노봉양양양소부입성(路逢襄陽楊少府入城) 305 유용문봉선사(遊龍門奉先寺)
76 녹두산(鹿頭山) 306 음중팔선가(飮中八仙歌)
77 다병집열봉회리상서지방(多病執熱奉懷李尙書之芳) 307 의골항(義鶻行)
78 단가행증왕랑사직(短歌行贈王郎司直) 308 의장(倚杖)
79 단오일사의(端午日賜衣) 309 이감댁이수(李監宅二首)
80 단청인증조패장군(丹靑引贈曹霸將軍) 310 이거기주작(移居夔州作)
81 당성(堂成) 311 이거공안산관(移居公安山館)
82 대력이년구월삼십일(大曆二年九月三十日) 312 이농(耳聾)
83 대설(對雪) 1 313 이완은거(貽阮隱居)
84 對雪(대설) 2 314 이조팔분소전가(李潮八分小篆歌)
85 대우서회주요허주부(對雨書懷走邀許主簿) 315 이호현장인호마행(李鄠縣丈人胡馬行)
86 대운사찬공방사수(大雲寺贊公房四首) 316 인허팔봉기강녕민상인(因許八奉寄江寧旻上人)
87 도보귀행(徒步歸行) 317 일모(日暮) 1
88 도죽장인(桃竹杖引)/(桃竹杖引贈章留後) 318 일모(日暮) 2
89 독립(獨立) 319 일백오일야대월(一百五日夜對月)
90 독열기간최평사십륙제(毒熱寄簡崔評事十六弟) 320 임읍사제서지(臨邑舍弟書至)
91 독작(獨酌) 321 입주행(入奏行)/(入奏行贈西山檢察使竇侍禦)
92 독작성시(獨酌成詩) 322 입추우원중유작(立秋雨院中有作)
93 독좌(獨坐) 323 입추후제(立秋後題)
94 독좌이수(獨坐二首) 324 입춘(立春)
95 동곡칠가(同谷七歌)/乾元中寓居同谷縣作歌 325 자경부봉선현영회오수(自京赴奉先縣詠懷五首)/(自京赴奉先縣詠懷五百字)
96 동관리(潼關吏) 326 자규(子規)
97 동리태수등력하고성원외신정정대작호(同李太守登歷下古城員外新亭亭對鵲湖) 327 자신전퇴조구호(紫宸殿退朝口號)
98 동말이사지동도호성동우맹운경(冬末以事之東都湖城東遇孟雲卿) 328 잠곡항(蠶穀行)
99 동심(冬深)/즉일(即日) 329 잠여임읍지작산호정봉회이원외성흥(暫如臨邑至㟙山湖亭奉懷李員外成興)
100 동이태수등력하고성원외신정(同李太守登歷下古城員外新停) 330 장강(長江)
101 동일낙성배알현원황제묘(冬日洛城北謁玄元皇帝廟) 331 적곡(赤谷)
102 동일유회이백(冬日有懷李白) 332 적초령(積草嶺)
103 동제공등자은사탑(同諸公登慈恩寺塔) 333 전고한항이수(前苦寒行二首)
104 동지(冬至) 334 전사(田舍)
105 두견항(杜鵑行) 335 전출새구수(前出塞九首)
106 두위댁수세(杜位宅守歲) 336 절구(絶句)
107 득사제소식(得舍弟消息) 337 절구삼수(絶句三首)
108 등고(登高) 338 정부마댁연동중(鄭駙馬宅宴洞中)
109 등루(登樓) 339 정월삼일귀계상유작간원내제공(正月三日歸溪上有作簡院內諸公)
110 등악양루(登岳陽樓) 330 정초(庭草)
111 등연주성루(登兗州城樓) 341 제갈공명(諸葛孔明)
112 막상의항(莫相疑行) 342 제도수(題桃樹)
113 () 343 제백학사모옥(題柏學士茅屋)
114 만모(晩暮) 344 제생중원벽(題省中院壁)
115 만목비생사(滿目悲生事) 345 제신진북교루(題新津北橋樓)
116 만성이수(漫成二首)/만성(漫成) 346 제이존사송수장자가(題李尊師松樹障子歌)
117 만성일절(漫成一絕)/만성1(漫成一首) 347 제장씨은거(題張氏隱居)
118 만출좌액(晩出左掖) 348 제장오수(諸將五首)
119 만행구호(晩行口號) 349 제정십팔저작장고거(題鄭十八著作丈故居)
120 만흥구수(漫興九首) 350 제정현정자(題鄭縣亭子)
121 망두솔사(望兜率寺) 351 제처현곽삼십이명부모옥벽(題郪縣郭三十二明府茅屋壁)
122 망악(望嶽) 352 제초(除草)
123 매우(梅雨) 353 조전부니음미엄중승(遭田父泥飮美嚴中丞)
124 맹동(孟冬) 354 조추고열퇴안상잉(早秋苦熱堆案相仍)
125 () 355 좌환산후기삼수(佐還山後寄三首)
126 모귀(暮歸) 356 족직(促織)
127 모옥위추풍소파가(茅屋爲秋風所破歌) 357 주몽(晝夢)
128 모추장귀진(暮秋將歸秦) 358 중과하씨오수(重過何氏五首)
129 모춘(暮春) 359 중소(中宵)
130 모춘제양서신임초옥(暮春題瀼西新賃草屋) 360 중제정씨동정(重題鄭氏東亭)
131 모한(暮寒) 361 중증정련(重贈鄭鍊)
132 몽이백이수(夢李白二首) 362 즉사(卽事)
133 무가별(無家別) 363 증고식안(贈高式顔)
134 무후묘(武侯廟) 364 증별하옹(贈別何邕)
135 문관군수하남하배(聞官軍收河南河北) 365 증비부소낭중십형(贈比部蕭郎中十兄)
136 문향강칠소부설회희증장가(闅鄕姜七少府設鱠戲贈長歌) 366 증위좌승(贈韋左丞)/봉증위좌승장이십이운(奉贈韋左丞丈二十二韻)
137 미피서남대(渼陂西南臺) 367 증위좌승제(贈韋左丞濟)
138 미피항(渼陂行) 368 증위팔처사(贈衛八處士)
139 박계행(縛鷄行) 369 증이백이수(贈李白二首)
130 박유(薄遊) 370 증전구판관량구(贈田九判官梁丘)
141 반야효오체유흥(半夜效吳體遺興) 371 증진이보궐(贈陳二補闕)
142 반조(返照) 372 증특진여양왕이십운(贈特進汝陽王二十韻)
143 발담주(發潭州) 373 증필사요(贈畢四曜)
144 발동곡현(發同谷縣) 374 증한림장사학사기(贈翰林張四學士垍)
145 발진주(發秦州) 375 증헌납사기거전사인징(贈獻納使起居田舍人澄)
146 방병조호마(房兵曹胡馬) 376 증화경(贈花卿)
147 배왕시어동등동산최고정연(陪王侍御同登東山最高頂宴) 377 지덕이재(至德二載)
148 배리금오화하음(陪李金吾花下飮) 378 지일강산려(遲日江山麗)
149 배리북해연역하정(陪李北海宴歷下亭) 379 지일견흥이수(至日遣興二首)/至日遣興奉寄北省舊閣老
150 배정광문유하장군산림십수(陪鄭廣文遊何將軍山林十首) 380 지후(至後)
151 배제귀공자장팔구휴기납량이수(陪諸貴公子丈八溝攜妓納涼二首) 381 진주잡시이십수(秦州雜詩二十首)
152 백사항(白絲行) 382 천말회이백(天末懷李白)
153 백수명부구댁희우(白水明府舅宅喜雨) 383 천육표기가(天育驃騎歌)/천육표기도가(天育驃騎圖歌)
154 백우집행(百憂集行) 384 초당즉사(草堂卽事)
155 백제성루(白帝城樓) 385 초동(初冬)
156 백제성최고루(白帝城最高樓) 386 촉직(促織)
157 법경사(法鏡寺) 387 촉상(蜀相)
158 별방태위묘(別房太尉墓) 388 촌야(村夜)
159 병거행(兵車行) 389 총마항(驄馬行)
160 병마(病馬) 390 최부마산정연집(崔駙馬山亭宴集)
161 병후과왕의음증가(病後過王倚飮贈歌) 391 최씨동산초당(崔氏東山草堂)
162 복거(卜居) 392 최조행(催租行)
163 복수12(復愁十二首) 393 추수고고촉주인일견기(追酬故高蜀州人日見寄)
164 봉기하남위윤장인(奉寄河南韋尹丈人) 394 추야오수(秋野五首)
165 봉답잠삼보궐견증(奉答岑參補闕見贈) 395 추우탄삼수(秋雨歎三首)
166 봉당흥유주부제(逢唐興劉主簿弟) 396 추적(秋笛)
167 봉대엄대부(奉待嚴大夫) 397 추정(秋情)
168 봉동곽급사탕동령추작(奉同郭給事湯東靈湫作) 398 추진(秋盡)
169 봉류증집현원최국보우휴렬이(奉留贈集賢院崔國輔于休烈二) 399 추풍이수(秋風二首)
170 봉배정부마위곡이수(奉陪鄭駙馬韋曲二首) 400 추흥팔수(秋興八首)
171 봉선유소부신화산수장가(奉先劉少府新畫山水障歌) 401 춘귀(春歸)
172 봉수리도독표장조춘작(奉酬李都督表丈早春 402 춘망(春望)
173 봉제역중송엄공사운(奉濟驛重送嚴公四韻) 403 춘수생이절(春水生二絕)
174 봉증선우경조이십운(奉贈鮮于京兆二十韻) 404 춘수(春水)
175 봉증왕중윤유(奉贈王中允維) 405 춘숙좌성(春宿左省)
176 봉증태상장경기이십운(奉贈太常張卿垍二十韻) 406 춘야희우(春夜喜雨)
177 봉화가지사인조조대명궁(奉和贾至舍人早朝大明宫) 407 춘원(春遠)
178 봉화엄대부군성조추(奉和嚴大夫軍城早秋) 408 춘일강촌오수(春日江村五首)
179 북정(北征) 409 춘일억이백(春日憶李白)
180 북풍(北風) 410 춘일희제뇌학사군형(春日戱題惱郝使君兄)
181 불견(不見) 411 취가행(醉歌行)
182 불귀(不歸) 412 취시가(醉時歌)
183 비진도(悲陳陶) 413 취적(吹笛)
184 비추(悲秋) 414 치자(梔子)
185 빈교행(貧交行) 415 칠월삼일(七月三日)
186 빈지(賓至) 416 탄정전감국화(歎庭前甘菊花)
187 빙하십일소부옹멱기목재(憑何十一少府邕覓榿木栽) 417 투간함화량현제자(投簡咸華兩縣諸子)
188 사상인모재(巳上人茅齋) 418 투증가서개부이십운(投贈哥舒開府二十韻)
189 사원항(沙苑行) 419 팔진도(八陣圖)
190 사제관부남전취처자도강릉희기삼수(舍弟觀赴藍田取妻子到江陵喜寄三首) 420 팽아행(彭衙行)
191 산사(山寺) 421 폐휴(廢畦)
192 산수이수(散愁二首) 422 풍질주중복침서회(風疾舟中伏枕書懷)/(風疾舟中伏枕書懷三十六韻奉呈湖南親友)
193 삼절구(三絶句) 423 피지(避地)
194 상경옹청수무(上卿翁請修武) 424 핍측행(偪側行)/핍측행증필요(偪側行贈畢
195 상두솔사(上兜率寺) 425 하야탄(夏夜歎)
196 상부인사(湘夫人祠) 426 하일이공견방(夏日李公見訪)
197 상위좌상이십운(上韋左相二十韻) 427 하일탄(夏日歎)
198 상추(傷秋) 428 한별(恨別)
199 상춘오수(傷春五首) 429 한식(寒食)
200 상황서순남경가십수(上皇西巡南京歌十首) 430 행차고성점범강작(行次古城店汎江作)
201 서경이자가(徐卿二子歌) 431 해민십이수(解悶十二首)
202 서당음기야부요이상서하마월하부(書堂飮旣夜復邀李尙書下馬月下賦) 432 해하가(垓下歌)
203 석감(石龕) 433 향석(向夕)
204 석유이수(昔游二首) 434 현도단가기원일인(玄都壇歌寄元逸人)
205 석호리(石壕吏) 435 형화(螢火)
206 선정전퇴조 만출좌액(宣政殿退朝 晩出左掖) 436 화골항(畫鶻行)
207 성도기행십이수(成都紀行十二首) 437 화응(畵鷹)
208 성도부(成都府) 438 황하이수(黃河二首)
209 성서피범주(城西陂泛舟) 439 회금수거지이수(懷錦水居止二首)
210 성춘(成春) 430 효망(曉望)
211 세병마항(洗兵馬行) 441 효발공안(曉發公安)
212 소년행삼수(少年行三首) 442 후유(後遊)
213 소사(所思) 443 후출새오수(後出塞五首)
214 소한식주중작(小寒食舟中作) 444 희간정광문겸정소사업(戱簡鄭廣文兼呈蘇司業)
215 송가각노출여주(送賈閣老出汝州) 445 희우(喜雨)/남국한무우(南國旱無雨)
216 송고삼십오서기십오운(送高三十五書記十五韻) 446 희우(喜雨)/춘한천지혼(春旱天地昏)
217 송공소부사병귀유강동 겸정이백(送孔巢父謝病歸游江東 兼呈李白) 447 희위언위쌍송도가(戱韋偃爲雙松圖歌)
218 송로육시어입조(送路六侍御入朝) 448 희위육절(戱爲六絶)
219 송배이규위영가(送裵二虯尉永嘉) 449 희작화경가(戲作花卿歌)
220 송원(送遠) 450 희제왕재화산수도가(戲題王宰畫山水圖歌)
221 송위서기부안서(送韋書記赴安西) 451 희증문향진소부단가(戲贈闅鄕秦少府短歌)
222 송이교서이십륙운(送李校書二十六韻) 452 희증우이수(戱贈友二首)
223 송장십이삼군부촉주인정양시어(送張十二參軍赴蜀州因呈楊侍御) 453  
224 송채희노도위환롱우인기고삼십오서기(送蔡希魯都尉還隴右因寄高三十五書記) 454  
225 송한림장사마남해늑비(送翰林張司馬南海勒碑) 455  
226 송한십사강동근성(送韓十四江東覲省) 456  
227 () 457  
228 수고사군상증(酬高使君相贈) 458  
229 수노별(垂老別) 459  
230 수마항(瘦馬行) 460  

杜甫詩 모음.hwp
4.31MB
杜甫詩 바로가기.hwp
0.05MB
杜甫詩全集 純文本.hwp
0.35MB

 

 

시성(詩聖) 두보(杜甫)

 

杜甫의 말년은 중앙 정부에서 벼슬하리라는 희망을 끝내 놓을 수 없었기에, 768년에 협곡을 빠져 나가 강릉(江陵)을 거쳐 악양(岳陽)에 이르렀다. 이후 그의 생활은 주로 선상에서 이루어졌고 건강이 악화되고 경제적으로 궁핍한 가운데, 악양과 담주(潭州)사이를 전전하다 뱃길에서 77059세로 일생을 마쳤다.

 

두보(杜甫 712~770)의 자는 자미(子美). 호 소릉(少陵).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서 시성(詩聖)이라 불렸으며, 또 이백(李白)과 병칭하여 이두(李杜)라고 일컫는다. 본적은 후베이성[湖北省]의 샹양[襄陽]이지만, 허난성[河南省]의 궁현[鞏縣]에서 태어났다. 먼 조상은 진대(晉代)의 위인 두예(杜預)이고, 조부는 초당기(初唐期)의 시인 두심언(杜審言)이다. 소년시절부터 시를 잘 지었으나 과거에는 급제하지 못하였고, 각지를 방랑하여 이백 ·고적(高適) 등과 알게 되었으며, 후에 장안(長安)으로 나왔으나 여전히 불우하였다.

 

44세에 안녹산(安祿山)의 난이 일어나 적군에게 포로가 되어 장안에 연금된 지 1년 만에 탈출, 새로 즉위한 황제 숙종(肅宗)의 행재소(行在所)에 달려갔으므로, 그 공에 의하여 좌습유(左拾遺)의 관직에 오르게 되었다. 관군이 장안을 회복하자, 돌아와 조정에 출사(出仕)하였으나 1년 만에 화저우[華州]의 지방관으로 좌천되었으며, 그것도 1년 만에 기내(畿內) 일대의 대기근을 만나 48세에 관직을 버리고 식량을 구하려고 처자와 함께 간쑤성[甘肅省]의 친저우[秦州] ·퉁구[同谷]를 거쳐 쓰촨성[四川省]의 청두[成都]에 정착하여 시외의 완화계(浣花溪)에다 초당을 세웠다. 이것이 곧 완화초당(浣花草堂)이다.

 

일시적으로는 지방 군벌의 내란 때문에 동쓰촨[東四川]의 쯔저우[梓州] ·랑저우[閬州]로 피난을 한 일도 있었으나, 전후 수년 동안에 걸친 초당에서의 생활은 비교적 평화로웠다. 이 무렵에 청두의 절도사 엄무(嚴武)의 막료(幕僚)로서 공부원외랑(工部員外郞)의 관직을 지냈으므로 이로 인해 두공부(杜工部)라고 불리게 되었다

 

54세 때, 귀향할 뜻을 품고 청두를 떠나 양쯔강[揚子江]을 하행하여 쓰촨성 동단(東端)의 쿠이저우[夔州]의 협곡에 이르러, 여기서 2년 동안 체류하다가 다시 협곡에서 나와, 이후 2년간 후베이 ·후난의 수상(水上)에서 방랑을 계속하였는데, 배 안에서 병을 얻어 둥팅호[洞庭湖]에서 59세를 일기로 병사하였다.

 

 

 

 

산과바다 이계도

'*** 詩 *** > 詩聖 杜甫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관리(潼關吏)  (0) 2006.11.25
신안리(新安吏)  (0) 2006.11.25
석호리(石壕吏)  (0) 2006.11.25
시성(詩聖) 두보(杜甫)  (0) 2006.09.01
춘망(春望)  (0) 2006.09.0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