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詩聖 杜甫 詩

수함견심이수(水檻遣心二首)

by 산산바다 2020. 12. 30.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수함견심이수(水檻遣心二首) - 두보(杜甫)

            물가 난간에서 마음을 풀다.

 

 

其一

去郭軒楹敞(거곽헌영창) : 성곽에서 떨어져 있어 처마와 기둥 탁 트이고

無村眺望賖(무촌조망사) : 마을 없어 멀리까지 보인다.

澄江平少岸(징강평소안) : 맑은 강은 평평하여 언덕 줄어들고

幽樹晩多花(유수만다화) : 그윽한 나무는 저녁이라 꽃 많다.

細雨魚兒出(세우어아출) : 가랑비에 물고기 펄떡이고

微風燕子斜(미풍연자사) : 미풍에 제비 비껴 나누나.

城中十萬戶(성중십만호) : 성 안은 십만 호인데

此地兩三家(차지량삼가) : 이곳은 두 세 가구.

 

 

其二

蜀天常夜雨(蜀天常夜雨) : 촉 지역 하늘 자주 밤비 내리는데

江檻已朝晴(江檻已朝晴) : 강 난간은 이미 맑은 아침이구나.

葉潤林塘密(葉潤林塘密) : 잎사귀 젖어 숲과 연못에 빽빽하고

衣乾枕席淸(衣乾枕席淸) : 옷은 말라 잠자리가 시원하다.

不堪祗老病(不堪祗老病) : 다만 늙고 병듦을 감당하지 못하니

何得尙浮名(何得尙浮名) : 어찌 아직도 헛된 명성 얻고자 하겠는가?

淺把涓涓酒(淺把涓涓酒) : 졸졸 흐르는 술 따라 쥐고

深憑送此生(深憑送此生) : 깊이 의지하여 이 삶을 보내노라.

 

 

* 이 두 편의 연작시는 얼핏 보면 두 편의 다른 시라고 볼 수 있다. 마치 도연명이나 왕유의 작품과 마찬가지로 주변 경물을 읊으며 그 안에서의 자신의 삶을 그려내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두 작품을 인지 시학적 관점으로 분석해 보면 조금 다른 해석이 가능하다. 우선, 이 연작시의 연결점은 '이 곳(此地)'이다.

 

1수에서 묘사되어지는 장소인 이곳은 제 2수에서 '촉 지역()'으로 연결되며, 마지막 '이 삶(此生)'을 이야기하는 것으로 끝맺음 된다.

그리고 연결된 두 작품을 이어 보았을 때, 1수 자체는 배경이 되고, 2수가 전경으로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형상을 보인다. 이 작품의 뛰어난 점은 1수와 2수의 시상 배치가 전경-배경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산과바다 이계도

'*** 詩 *** > 詩聖 杜甫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봉당흥유주부제(逢唐興劉主簿弟)  (0) 2020.12.30
고남(高楠)  (0) 2020.12.30
촌야(村夜)  (0) 2020.12.30
상경옹청수무(上卿翁請修武)  (0) 2020.12.30
운산(雲山)  (0) 2020.12.3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