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과564 흰민들레 Korean dandelion 산과바다 흰민들레 Korean dandelion 2025. 4. 16. 담음 * 흰민들레 꽃의 가운데 부분이 노란색으로 보임은 꽃밥 때문으로 보이고 * 꽃잎을 헤쳐 보니 꽃잎이 노란색이 아닌 것 같아 흰민들레로 올리는군요. * 우리 토종 민들레와 서양민들레를 쉽게 구별하는 방법종총포조각(꽃반침)잎의 갈라짐토종 민들레곧게 감쌈날카롭지 않다서양민들레바깥 총포조각 뒤로 젖혀져 있음날카롭다 흰민들레 Taraxacum coreanum Nakai 속씨식물 >쌍떡잎식물강 >국화목 >국화과 >민들레속 (Taraxacum) 전국 각지에 분포하고 한국의 특산식물토양은 가리지 않는 편이나 사질양토에서 잘 자란다. 양성식물로 노지에서 월동하고 생육한다. 줄기의 원줄기는 없다. 뿌리는 수직으로 뻗고 육질로 굵.. 2025. 4. 16. 서양민들레 Bitterwort, Chicoria 산과바다 서양민들레 Bitterwort, Chicoria 2025. 4. 12. 담음* 우리 토종 민들레와 서양민들레를 쉽게 구별하는 방법종총포조각(꽃반침)잎의 갈라짐토종 민들레곧게 감쌈날카롭지 않다서양민들레바깥 총포조각 뒤로 젖혀져 있음날카롭다 서양민들레 Taraxacum officinale Webe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민들레속(Taraxacum) 유럽이 원산지인 귀화식물로 도시 주변이나 농촌의 길가와 공터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뿌리가 땅속 깊이 들어가고 줄기는 없다.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사방으로 퍼지며 타원 모양이고 끝이 예리하게 뾰족하며 깃 모양으로 깊게 갈라지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3∼9월에 황색으로 피고 잎이 없는 꽃대 끝에 두상화(頭狀.. 2025. 4. 12. 좀씀바귀 creeping lettuce 산과바다 좀씀바귀 creeping lettuce 2025. 4. 7. 담음 * 4월~11월까지도 녹색 잎을 하고 담쟁이덩굴처럼 벽을 타고 올라가는군요. * 황색 꽃잎이 노랑선씀바귀와 같아 보이는데 잎이 난상 원형으로 크기(길이×나비 20mm×15mm정도)가 작고 동글동글하게 보여 다른 씀바귀와 쉽게 구분이 되는군요. 좀씀바귀 Ixeris stolonifera A.Gray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선씀바귀속(Ixeris) 전국 각지에 분포하며 산 능선을 따라서 또는 길가나 숲 가장자리에 조밀하게 생육하며 주로 메마르고 척박한 토양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가 10cm가량으로 줄기가 길게 벋으면서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는 근경이 갈라져 옆으로 뻗으면서 번식한다.잎은 어긋나.. 2025. 4. 7. 노랑선씀바귀 Yellow bristle hair ixeris 산과바다 노랑선씀바귀 Yellow bristle hair ixeris 2025. 4. 7. 담음 * 벋음씀바귀로 올렸었는데 줄기가 눕지 않고 곧게 서 있어 노랑선씀바귀로 올린다. 노랑선씀바귀 Ixeris chinensis (Thunb.) Nakai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선씀바귀속(Ixeris) 노란색 꽃이 피고 선씀바귀 종류라는 뜻의 이름이다. 여러해살이풀이며, 높이는 20~40㎝이다. 잎은 뿌리잎은 방석 모양으로 퍼지고 피침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끝이 날카롭거나 둔하고 가장자리에 치아 모양의 톱니가 있거나 깃꼴로 갈라진다. 길이는 8~24㎝, 폭은 0.5~1.5㎝이다. 잎밑은 점차 좁아지면서 잎자루로 된다. 줄기잎은 작고 피침형이다.꽃은 5~6월에 줄기와 가.. 2025. 4. 7. 서양민들레 Broad lobe dandelion, Bitterwort, Chicoria 산과바다 서양민들레 Broad lobe dandelion, Bitterwort, Chicoria 2025. 3. 24. 담음 * 보통 민들레라고만 불렀는데 총포조각의 젖혀진 모양으로 보아 서양민들레로 구분하여 불러야 하겠군요. * 서양민들레의 경우 두상꽃차례를 감싸는 꽃받침대(총포조각) 중 바깥쪽에 있는 것들이 뒤로 젖혀져 있는 데 비해 * 민들레는 모든 꽃 받침대가 곧게 서 있어 다르군요. 서양민들레 Taraxacum officinale Webe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민들레속(Taraxacum) 유럽이 원산지인 귀화식물로 도시 주변이나 농촌의 길가와 공터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뿌리가 땅속 깊이 들어가고 줄기는 없다.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사방으로 퍼지며 타.. 2025. 3. 24. 세복수초 Acute tip adonis 산과바다 세복수초 Acute tip adonis 2025. 3. 23. 담음* 산남동 두꺼비생태공원에 식재 되어 자라는 몇 그루의 세복수초 꽃을 담음* 복수초속(Adonis)의 복수초는 우리나라에 최근 3종류가 보고되어 있다. 제주도에서 자라는 세복수초와 개복수초(가지복수초) 그리고 복수초(애기복수초)가 바로 그것이다. 세복수초 Adonis multiflora Nishikawa & KojiIto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복수초속(Adonis) 잎이 가늘게 갈라지는 복수초 종류라는 뜻의 이름이다. 여러해살이풀이며, 높이는 10~30㎝이다. 줄기가 많이 분지한다.잎은 어긋나기하고 3~4회 깃꼴로 갈라지거나 깃꼴겹잎(우상복엽)이며, 마지막 갈래조각은 선형 또.. 2025. 3. 23. 개망초 Whitetop 산과바다 개망초 Whitetop 2024. 12. 4. 담음 12월에 피는 개망초도 있나 보군요.* 봄망초는 개망초와 비교할 때, 줄기 속이 비어 있고 줄기잎의 밑 부분이 줄기를 감싸며 개망초보다 이른 5~6월에 핀다. 두상꽃차례의 두상화는 개화 전에 밑을 향해 드리워지고 설상화(혀모양꽃)가 가늘고 많은 점(150~400개)이 다르다. 개망초 Erigeron annuus (L.) Pers. 속씨식물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개망초속 Erigeron 산비탈 모래 자갈 풀밭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 30~100cm이고 줄기는 곧게 서며 전체에 짧고 굵은 털이 있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잎은 근생엽(뿌리잎)은 꽃이 필 때 쓰러지고 엽병이 길며 달걀모양이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2024. 12. 4. 좀씀바귀 creeping lettuce 산과바다 좀씀바귀 creeping lettuce 2024. 11. 30. 담음 * 11월 말인데도 녹색 잎을 하고 담쟁이덩굴처럼 벽을 타고 올라가는군요. * 좀씀바귀는 황색 꽃잎이 노랑선씀바귀와 같아 보이는데 잎이 난상 원형으로 크기(길이×나비 20mm×15mm정도)가 작고 동글동글하게 보여 다른 씀바귀와 쉽게 구분이 되는군요. 좀씀바귀 Ixeris stolonifera A.Gray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선씀바귀속(Ixeris) 전국 각지에 분포하며 산 능선을 따라서 또는 길가나 숲 가장자리에 조밀하게 생육하며 주로 메마르고 척박한 토양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가 10cm가량으로 줄기가 길게 벋으면서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는 근경이 갈라져 옆으로 뻗으면서 번식.. 2024. 12. 1. 울산도깨비바늘 Hairy beggarticks 산과바다 울산도깨비바늘 Hairy beggarticks 2024. 11. 26. 담음 11월 말인데도 통상화가 보이는군요. * 울산도깨비바늘은 설상화가 없고 통상화로만 되어 있는데 * 도깨비바늘은 노란색 설상화가 1~3(5)개 정도 만 듬성듬성 달려 구분이 되는군요. 울산도깨비바늘 Bidens pilos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도깨비바늘속(Bidens) 울산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도깨비바늘 종류라는 뜻의 이름이다. 원산지가 남아메리카인 외래식물이며, 한해살이풀이다. 높이는 50~100㎝이다.잎은 마주나기하고 깃꼴겹잎(우상복엽)이다. 작은잎(소엽)은 달걀형 또는 긴 달걀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꽃은 6~9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 달리는 .. 2024. 11. 28. 가는쑥부쟁이 Aster integrifolius 산과바다 가는쑥부쟁이 Aster integrifolius 24. 11. 10. 원산도에서 담음 줄기의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져있고 11월인데도 꽃이 보이는군요. 가는쑥부쟁이 Aster pekinensis (Hance) Chen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참취속(Aster) 줄기는 높이 30~70cm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잎은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쓰러지며 줄기잎은 다닥다닥 어긋나기하고 피침형 또는 거꿀피침모양이며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고 길이 25~40mm, 나비 4~6mm로서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며 양면에 짧은 털이 많고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분백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뒤로 말리고 가지의 잎은 선형으로서 점차 작아진다.꽃은 8.. 2024. 11. 13. 파대가리 green kyllinga 산과바다 파대가리 green kyllinga 2024. 11. 11. 담음 * 파대가리와 알방동사니 비교(모양이 비슷) 종사초과 >속소수 모양소수 길이파대가리방동사니속타원상 피침형 녹색 머리모양꽃차례 1개씩3~3.5mm 알방동사니방동사니속좁은 난형~선형 눌린 공모양 다닥다닥 조밀하게 2~8mm× 1~1.2mm 파대가리 Kyllinga brevifolia Rottb.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사초목 >사초과 >방동사니속(Cyperus) 풀밭의 습지에서 흔히 자란다. 줄기는 높이 5-20cm이며 곧게 서고 줄기가 뻗으면서 마디에서 화경과 뿌리가 자라며 적자색 비늘조각으로 덮이고 밑부분에서 잎이 자란다.잎은 길이 5~8cm, 폭 2~3mm이며 엽초는 갈색 또는 적갈색이 돈다.꽃은 7~10월.. 2024. 11. 12. 만수국 萬壽菊 French marigold 산과바다 만수국 萬壽菊 French marigold 2024. 11. 9. 담음 * 어렸을 때는 이 꽃을 서광>이라고 불렀었는데...... * 해충을 쫒는 꽃이라 하는군요. 울타리 주면에 심어 뱀 등 해충을 오지 못하게 한다는군요. * 메리골드(Marigold)로 잘 알려져 있고 불란서금잔화, 천수국, 금송화, 홍황초(紅黃草), 아프리카금잔화라고도 하고 꽃 색깔이 노란색, 적갈색, 주홍색 등 다양하군요. 만수국 Tagetes patul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천수국속(Tagetes) 불란서금잔화, 천수국, 금송화, 홍황초(紅黃草), 아프리카금잔화라고도 한다. 멕시코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들여와 전국 각지의 집 화단에 흔히 심고 있는 한해살이 귀화식물이다. 양.. 2024. 11. 10. 구절초 九節草 Korean chrysanthemum 산과바다 구절초 九節草 Korean chrysanthemum 2024. 11. 7. 담음 * 구절초는 우리나라 가을꽃을 대표하는 꽃으로 소박하고 토속적이고 정감이 넘치는 백의(白衣)의 꽃이다. * 연한분홍색꽃은 사랑이 이루어지기 전이라는군요. 무루익으면 흰색으로 변한답니다. * 구절초는 구일초(九日草) 선모초(仙母草)라고도 하고 구절초라는 이름은 아홉 번 꺾이는 풀, 또는 음력 9월 9일에 꺾는 풀이라는 뜻에서 유래 되었다는군요. 구절초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국화속(Chrysanthemum) 넓은잎구절초·구일초(九日草)·선모초(仙母草)·들국화·고뽕[苦蓬]이라고도.. 2024. 11. 8. 해국 Seashore spatulate aster 산과바다 해국 Seashore spatulate aster 2024. 11. 2. 국립세종수목원에서 담음 바닷가에서 자라는데 육지에서도 심어 자라기도 하는군요. 해국 Aster spathulifolius Maxim.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국화목 >국화과 >참취속(Aster) 해변국이라고도 한다. 바닷가에서 자란다. 줄기는 다소 목질화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비스듬히 자라서 높이 30∼60cm로 된다.잎은 어긋나지만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으로 밑에서는 모여 나며 두껍다. 양면에 털이 빽빽이 나서 희게 보이고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톱니가 약간 있으며 주걱 모양이다.꽃은 7∼11월에 피고 연한 보라색 또는 흰색이며 가지 끝에 두화(頭花)가 달린다. 총포는 반구형이며 포조각은.. 2024. 11. 4. 참취 Rough aster 산과바다 참취 Rough aster 2024. 11. 2. 담음 일명 ‘취나물’이라고도 하며 산나물의 대명사처럼 여겨질 만큼 가장 많이 이용되는 산채다. 참취 Aster scaber Thunb.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참취속(Aster) 일명 ‘취나물’이라고도 하며 산나물의 대명사처럼 여겨질 만큼 가장 많이 이용되는 산채다. 줄기는 높이 1~1.5m이고 근경 끝에서 가지가 산방상으로 갈라지며 전체가 거칠거칠하다. 뿌리는 근경이 굵고 짧다.잎은 근생엽은 꽃이 필 때쯤 되면 없어지고 엽병이 길며 심장형이고 줄기잎은 어긋나기 하며 밑 부분의 것은 날개가 있는 긴 엽병이 있고 심장형이며 길이 9~24cm, 나비 6~18cm로서 거칠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치아.. 2024. 11. 4. 제주양지꽃 Stolonifera 산과바다 제주양지꽃 Stolonifera 2024. 11. 2. 국립세종수목원에서 담음 • 종명 stolonifera 는 기는줄기가 있다는 뜻이며, 변종명은 제주도 원산임을 뜻한다. • 제주 특산식물이다. • 중부지방에서 재배시에는 다른 양지꽃들에 비해 개화시기(5월)가 약간 늦다. 제주양지꽃 Potentilla stolonifera var. quelpaertensis Nakai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양지꽃속(Potentilla) 한라산 해발 700m 이상의 부엽이 두껍게 쌓여 비옥하고 배수성이 좋은 토양조건의 양지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가 20cm이고, 기는줄기가 사방으로 퍼지고 전체에 털이 있으며 자줏빛이 돈다. 양지꽃과 비슷하지만 기는줄기가 돋는 것이 다.. 2024. 11. 3. 좀개미취 Aster maackii 산과바다 좀개미취 Aster maackii 2024. 11. 2. 국립세종수목원에서 담음 * 오대산 계곡 정선 냇가 근처에 자생하며 개미취에 비해 잎이 좁고 키도 작으면서 꽃은 개미취보다 크고 화려하며 희귀식물이다. 좀개미취 Aster maackii Rege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참취속(Aster) 남한에서는 분포지가 제한돼 있어서 희귀식물에 속하며 자생지에서의 채취를 막아야 할 것이다. 산골짝 냇가 근처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 45~85cm이고 자주빛이 도는 줄이 있으며 가지가 갈라져서 산방상이 된다.잎은 근생엽은 꽃이 필때 없어지고 중앙부의 잎은 엽병이 없으며 피침형이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밑부분이 좁고 길이 6.5~9cm, 나비 1~2cm로서 양면에.. 2024. 11. 3. 산구절초 Korean dendranthema 산과바다 산구절초 Korean dendranthema 2024. 11. 2. 국립세종수목원에서 담음 * 위로 갈수록 잎이 작아지고 엽병도 짧아져서 마침내 전체가 선형으로 되는 것도 있으며 양면에 선점(腺點)이 있고 털이 있거나 없으며 표면은 광택이 있고 뒷면은 엷은 녹색이다. 산구절초 Dendranthema zawadskii (Herb.) Tzvelev 속씨식물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산국속(Dendranthema) 깊은 산 중턱 이상에 난다. 줄기는 높이 10~60cm이고 한 개가 서거나 또는 가지가 갈라지며 복모가 있다. 뿌리는 근경은 옆으로 뻗으며 자라고 길며 목질상이다.잎은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거나 반 정도 남아 있으며 밑부분의 잎은 길이 2~4.5cm의.. 2024. 11. 3. 이전 1 2 3 4 ··· 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