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에는 꽃이 피네/야생화(초본)2434 살갈퀴 Vicia angustifolia 산과바다 살갈퀴 Vicia angustifolia 2025. 4. 7. 담음 * 새완두, 얼치기완두, 살갈퀴의 잎이 비슷하여 구분이 쉽지 않은데 꽃의 색과 개수 크기, 열매(꼬투리)속의 종자 수를 비교해 보면 쉽게 구분이 되더군요. 꽃 색과 수종자 수새완두백자색꽃 3~4개씩 달림.꼬투리에 2개얼치기완두연한 홍자색꽃 1~3개씩 달림꼬투리에 3~6개살갈퀴홍자색 꽃 1~2개씩 달림꼬투리에 10개 내외* 꽃의 수와 종자 수가 새완두와 살갈퀴의 중간형이기 때문에 얼치기완두라고 한다. 살갈퀴 Vicia angustifoliavar var. segetilis (Thuill.) K.Koch.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콩과 >나비나물속(Vicia) 우리나라 각 처의 밭이나 들, 산록에서 덩굴져.. 2025. 4. 7. 좀씀바귀 creeping lettuce 산과바다 좀씀바귀 creeping lettuce 2025. 4. 7. 담음 * 4월~11월까지도 녹색 잎을 하고 담쟁이덩굴처럼 벽을 타고 올라가는군요. * 황색 꽃잎이 노랑선씀바귀와 같아 보이는데 잎이 난상 원형으로 크기(길이×나비 20mm×15mm정도)가 작고 동글동글하게 보여 다른 씀바귀와 쉽게 구분이 되는군요. 좀씀바귀 Ixeris stolonifera A.Gray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선씀바귀속(Ixeris) 전국 각지에 분포하며 산 능선을 따라서 또는 길가나 숲 가장자리에 조밀하게 생육하며 주로 메마르고 척박한 토양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가 10cm가량으로 줄기가 길게 벋으면서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는 근경이 갈라져 옆으로 뻗으면서 번식한다.잎은 어긋나.. 2025. 4. 7. 노랑선씀바귀 Yellow bristle hair ixeris 산과바다 노랑선씀바귀 Yellow bristle hair ixeris 2025. 4. 7. 담음 * 벋음씀바귀로 올렸었는데 줄기가 눕지 않고 곧게 서 있어 노랑선씀바귀로 올린다. 노랑선씀바귀 Ixeris chinensis (Thunb.) Nakai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선씀바귀속(Ixeris) 노란색 꽃이 피고 선씀바귀 종류라는 뜻의 이름이다. 여러해살이풀이며, 높이는 20~40㎝이다. 잎은 뿌리잎은 방석 모양으로 퍼지고 피침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끝이 날카롭거나 둔하고 가장자리에 치아 모양의 톱니가 있거나 깃꼴로 갈라진다. 길이는 8~24㎝, 폭은 0.5~1.5㎝이다. 잎밑은 점차 좁아지면서 잎자루로 된다. 줄기잎은 작고 피침형이다.꽃은 5~6월에 줄기와 가.. 2025. 4. 7. 흰제비꽃 White flower violet 산과바다 흰제비꽃 White flower violet 2025. 4. 6. 담음 * 흰색 꽃으로 잎의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음이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는 흰젖제비꽃과 구분이 되는군요. * 또 흰제비꽃과 구분하기 어려운 흰젖제비꽃은 옆입술꽃잎에 자주색 줄이 없어 구별된다. 또 흰제비꽃은 뿌리가 흑갈색인데 비해 흰젖제비꽃의 뿌리는 흰색이다. 흰제비꽃 Viola patrinii Ging.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제비꽃목 >제비꽃과 >제비꽃속(Viola) 꽃이 흰색이고 제비꽃 종류라는 뜻의 이름이다. 여러해살이풀이며, 높이는 5~15㎝이다.잎은 뿌리에서 모여나기하고 좁은 삼각 모양의 피침형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양면에 털이 없다. 길이는 2.8~8㎝, 폭은 1~2㎝이.. 2025. 4. 6. 종지나물(미국제비꽃) Meadow 산과바다 종지나물(미국제비꽃) Meadow 2025. 4. 6. 담음 * 꽃잎이 흰색 바탕에 보라색 줄무늬가 방사되어 있음이 특이하고 예쁘군요. 종지나물 Viola papilionacea Pursh.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제비꽃목 >제비꽃과 >제비꽃속(Viola) 심장 모양 잎이 종지를 닮았다고 종지나물이다. 종지나물은 제비꽃속의 여러해살이풀로 1945년 8·15 광복 이후 미국으로부터 들어온 귀화식물로 미국제비꽃 이라고도 한다. 한국 토착종인 제비꽃류와 비슷하게 생겼다. 높이 20cm까지 자란다. 잎은 밑동으로부터 나오며 잎자루가 잎의 길이보다 길다. 잎은 종지 모양 혹은 심장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는 자잘한 톱니가 있다.꽃은 보라색으로 4∼5월에 피는데 이따금 흰색이나.. 2025. 4. 6. 좁쌀냉이 False bittercress 산과바다 좁쌀냉이 False bittercress 2025. 4. 4. 담음 * 황새냉이 좁쌀냉이 미나리냉이는 4장의 흰색 꽃잎이 같아 보이고 같은 시기에 꽃을 피워 혼동되는데 잎 모양과 자라는 줄기가 달라 구분이 되는군요.황새냉이속잎 모양줄기황새냉이깃모양 겹잎, 좁게 갈라져 피침형`비스듬 바로 서고, 아래에 털좁쌀냉이깃꽃 7~8장 갈라져 직은 잎, 전체에 털황새냉이에 비해 곧게 서고 전체에 털미나리낭이겹잎 넓은 피침형, 난상 긴 타원형, 끝 뾰쪽, 가아자리 톱니전체 부드러운 털 좁쌀냉이 Cardamine fallax (O.E.Schulz) Nakai 속씨식물문 >속씨식물강 >풍접초목 >십자화과 >황새냉이속(Cardamine) 산과 들의 습기 있는 곳에서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줄기.. 2025. 4. 4. 별꽃 Chickweed 산과바다 별꽃 Chickweed 2025. 4. 3. 담음 * 별꽃은 쇠별꽃과 잎과 흰색 꽃잎이 비슷하여 혼돈되는군요. 꽃잎도 5개이고 2개로 깊게 갈라져서 10장으로 보인다. 쇠별꽃은 암술머리가 5개로 갈라지고 별꽃은 암술머리가 3개로 갈라지고 별꽃은 쇠별꽃보다 크기가 작으며 꽃받침이 꽃잎보다 긴 특징으로 구분할 수 있군요. * 별꽃과 점나도나물과도 꽃잎이 비슷한데 별꽃은 꽃잎 5장이 갈라져 10장인 것처럼 보이는데 점나도나물은 꽃잎 5장이 반쯤만 갈라져 있으므로 구분되는군요. 별꽃 Stellaria media (L.) Vil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중심자목 >석죽과 >별꽃속(Stellaria) 밭이나 길가에서 자란다. 전체적으로 연한 녹색으로 높이 20cm 내외이고 밑.. 2025. 4. 3. 꽃마리 Cucumber herb 산과바다 꽃마리 Cucumber herb 2025. 4. 3. 담음 * 태엽처럼 돌돌 말린 총상꽃차레가 이제는 풀리기 시작하는군요. * 물망초와 꽃이 비슷해 보이나 꽃마리의 꽃이 훨씬 작다. 꽃마리 꽃차례 돌돌 말아 꽃마리라 부르던가?하나씩 풀어가며 속살 보여 예쁘구나.살면서 얽힌 생활이 이 같으면 좋겠네. 2014. 4. 21. 산과바다 이계도 꽃마리 Trigonotis peduncularis (Trevir.) Benth. ex Hems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지치과 >꽃마리속(Trigonotis) 지치과(Borraginaceae)에 속하는 2년생 초. 꽃이 필 때 태엽처럼 돌돌 말려 있던 꽃들이 펴지면서 밑에서부터 1송이씩 피기 때문에, 즉 꽃이 돌돌 말려 있다고 .. 2025. 4. 3. 지면패랭이꽃 Moss Phlox 산과바다지면패랭이꽃 Moss Phlox 2025. 4. 2. 담음* 지면패랭이꽃의 색깔이 붉은색, 자주색, 분홍색, 흰색 등으로 다양하더군요.* 꽃이 패랭이꽃과 비슷하고 지면으로 퍼지기 때문에 지면패랭이꽃이라고 한다. 지면패랭이꽃 Phlox subulat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가지목(통꽃식물) >꽃고비과 >풀협죽도속(Phlox) 멀리서 보기에 잔디 같지만 아름다운 꽃이 피기 때문에 꽃잔디 라고도 하며, 꽃이 패랭이꽃과 비슷하고 지면으로 퍼지기 때문에 지면패랭이꽃이라고 한다. 높이 10cm이고 잔디처럼 땅을 덮고 많은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며 주로 끝이 뾰족한 바소모양이고 가장자리가 꺼칠하고 잎자루가 없다. 꽃은 4~9월에 피고 붉은색, 자주색, 분홍색, 흰색 등으로 줄.. 2025. 4. 3. 현호색 Common corydalis 산과바다 현호색 Common corydalis 2025. 3. 28. 담음 * 잎이 댓잎처럼 생겨서 댓잎현호색이라 하였는데 현호색으로 통합되었군요. 현호색 Corydalis remota Fisch. ex Maxim.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현호색과 >현호색속(Corydalis 현호색(玄胡索)은 산록의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란다. 덩이줄기는 지름 1cm 정도이고 여기서 나온 줄기는 20cm 정도 자란다. 밑부분에 포 같은 잎이 1개 달리고 거기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1∼2회 3개씩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도란형이고 윗부분이 깊게 또는 결각상으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뒷면은 분백색이다.꽃은 4월에 피고 연한 홍자색이며 총상꽃차례로 5∼10개가 .. 2025. 3. 28. 돌단풍 Aceriphyllum rossii 산과바다 돌단풍 Aceriphyllum rossii 2025. 3. 28. 담음 * 바위틈에서 자라며 단풍나무 잎처럼 생긴 잎이 5~7갈래로 갈라져 달린다고 해서 이름이 돌단풍이라는 하는군요. 돌단풍 Mukdenia rossii (Oliv.)Koidz. 속씨식물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범의귀과 >돌단풍속(Mukdenia) 돌단풍은 범의귀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이다. 냇가의 바위 겉이나 바위틈에서 자라며, 바위 겉에 단풍 나뭇잎처럼 생긴 잎이 달린다고 해서 이름이 돌단풍이다. 뿌리줄기가 매우 굵고 비늘 모양의 포(苞)로 덮여 있다. 키 20㎝ 정도이다. 줄기는 가로 누우며 비대하고 짧다. 비늘조각 모양의 막질 숙존포(宿存苞)가 밀착하고 꽃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모여 나며 잎자루가 길고 5.. 2025. 3. 28. 서양민들레 Broad lobe dandelion, Bitterwort, Chicoria 산과바다 서양민들레 Broad lobe dandelion, Bitterwort, Chicoria 2025. 3. 24. 담음 * 보통 민들레라고만 불렀는데 총포조각의 젖혀진 모양으로 보아 서양민들레로 구분하여 불러야 하겠군요. * 서양민들레의 경우 두상꽃차례를 감싸는 꽃받침대(총포조각) 중 바깥쪽에 있는 것들이 뒤로 젖혀져 있는 데 비해 * 민들레는 모든 꽃 받침대가 곧게 서 있어 다르군요. 서양민들레 Taraxacum officinale Webe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민들레속(Taraxacum) 유럽이 원산지인 귀화식물로 도시 주변이나 농촌의 길가와 공터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뿌리가 땅속 깊이 들어가고 줄기는 없다.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사방으로 퍼지며 타.. 2025. 3. 24. 큰개불알풀 Bird‘s eyes 산과바다 큰개불알풀 Bird‘s eyes 2025. 3. 24. 담음 * 큰개불알풀은 꽃이 청백색인데 개불알풀은 남부지방에서 자라며 꽃은 연한 붉은빛이 도는 흰색으로 다르군요. * 큰개불알풀의 이름은 열매가 개의 불알 모양에서 인했다는군요. 큰개불알풀 Veronica persica Poiret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질경이과(←현삼과) >개불알풀속(Veronica) 길가나 빈터의 약간 습한 곳에서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밑 부분이 옆으로 뻗거나 비스듬히 서고 윗부분이 곧게 서며 길이가 10∼30cm이고 가지가 갈라지며 부드러운 털이 있다. 잎은 줄기 밑 부분에서는 마주나고 윗부분에서는 어긋나며 삼각형 또는 달걀 모양의 삼각형이고 길이와 폭이 각각 1∼2cm이다. 잎.. 2025. 3. 24. 수선화 水仙花 Narcissus 산과바다 수선화 水仙花 Narcissus 2025. 3. 24. 담음 * 6장인 꽃받침잎과 꽃잎은 흰색(옅은 노란색)으로 모양이나 크기가 구분이 안 되며 그 안쪽에 있는 술잔 모양의 부화관(副花冠)은 노란색이다. 수선화 Narcissus tazetta var. chinensis Roem.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아스파라거스목 >수선화과 >수선화속(Narcissus) 약간 습한 땅에서 잘 자라며, 땅속줄기는 검은색으로 양파처럼 둥글고 잎은 난초잎같이 선형으로 자란다. 꽃은 12~3월경 꽃줄기 끝에 희거나 노란빛의 꽃이 핀다. 꽃줄기 끝에 6개 정도가 옆을 향해 핀다. 합쳐서 6장인 꽃받침잎과 꽃잎은 흰색으로, 모양이나 크기가 구분이 안 되며 그 안쪽에 있는 술잔 모양의 부화관(副花冠)은 .. 2025. 3. 24. 세복수초 Acute tip adonis 산과바다 세복수초 Acute tip adonis 2025. 3. 23. 담음* 산남동 두꺼비생태공원에 식재 되어 자라는 몇 그루의 세복수초 꽃을 담음* 복수초속(Adonis)의 복수초는 우리나라에 최근 3종류가 보고되어 있다. 제주도에서 자라는 세복수초와 개복수초(가지복수초) 그리고 복수초(애기복수초)가 바로 그것이다. 세복수초 Adonis multiflora Nishikawa & KojiIto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복수초속(Adonis) 잎이 가늘게 갈라지는 복수초 종류라는 뜻의 이름이다. 여러해살이풀이며, 높이는 10~30㎝이다. 줄기가 많이 분지한다.잎은 어긋나기하고 3~4회 깃꼴로 갈라지거나 깃꼴겹잎(우상복엽)이며, 마지막 갈래조각은 선형 또.. 2025. 3. 23. 너도바람꽃 Eranthis stellata 산과바다 너도바람꽃 Eranthis stellata 2025. 3. 15. 담음 올해에는 2월 28일 과 3월 7일 두 차례 답사 하였으나 눈과 얼음으로 덮여 꽃을 못 보고 매년 보았던 장소에 3월 15일 다시 가서 너도바람꽃을 볼 수 있어 즐거움에 담았담니다. 눈길에 너도바람꽃 함박눈 덥힌 골에 얼음 녹아 졸졸대고추움을 잊은 채로 눈 밟으며 기웃기웃골짜기 너도바람꽃 깜짝 놀라 반기네. 2024. 2. 24. 산과바다 이계도 너도바람꽃 Eranthis stellata Maxim.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아네모네속 Anemone) 석회암지대를 좋아하며 낙엽수 숲속이나 주변에서 자라고 반그늘에서 자란다.줄기는 높이가 15cm에 달한다. 뿌리는 둥.. 2025. 3. 15. 너도바람꽃이 피었을까? 산과바다너도바람꽃이 피었을까?2025. 3. 9.올해도 기지개를 켜고 자리에서 일어나 대자연 속에 들며 나를 찾아 슬슬 기동할 때가 되었나 보다. 지난해 보았던 보개산 골짜기에 너도바람꽃을 보기 위해 올해도 나서본다. 작년 2024년 2월 24일 너도바람꽃 Eranthis stellata을 담았었기에올해에도 2월 28일 가 보았으나 지난해에 꽃을 보았던 곳에 눈이 덮여 너도바람꽃을 못 보고일주일 후 3월 7일 다시 찾아보았으나 눈이 더 내려 덮여서 꽃을 못 보고 아쉬움에 돌아왔다. 눈속에 너도바람꽃 함박눈 덥힌 골에 얼음 녹아 졸졸대고추움을 잊은 채로 눈 밟으며 기웃기웃눈속에 너도바람꽃 깜짝 놀라 반기네. 2024. 2. 24.산과바다 이계도 아래는 지난해 너도바람꽃을 보았더 곳에 눈이 덮여 꽃을 볼 .. 2025. 3. 9. 개망초 Whitetop 산과바다 개망초 Whitetop 2024. 12. 4. 담음 12월에 피는 개망초도 있나 보군요.* 봄망초는 개망초와 비교할 때, 줄기 속이 비어 있고 줄기잎의 밑 부분이 줄기를 감싸며 개망초보다 이른 5~6월에 핀다. 두상꽃차례의 두상화는 개화 전에 밑을 향해 드리워지고 설상화(혀모양꽃)가 가늘고 많은 점(150~400개)이 다르다. 개망초 Erigeron annuus (L.) Pers. 속씨식물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개망초속 Erigeron 산비탈 모래 자갈 풀밭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 30~100cm이고 줄기는 곧게 서며 전체에 짧고 굵은 털이 있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잎은 근생엽(뿌리잎)은 꽃이 필 때 쓰러지고 엽병이 길며 달걀모양이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2024. 12. 4. 이전 1 2 3 4 ··· 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