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書經/第三篇 商書(상서)17

書經(서경) 第十七 微子(미자) 1~4 산과바다 書經(서경) HOME 第三篇 商書(상서) 第十七 微子(미자) 1~4 微子(미자) 1 微子若曰父師少師(미자야왈보사소사) : 미자가 이렇게 하여 말하기를, “보사님 소사님 殷其弗或亂正四方(은기불혹난정사방) : 은나라는 세상을 다스리어 조금도 바로잡지 못하고 있으니 我祖底遂陳于上(아조저수진우상) : 우리 조상들이 이루어 놓으신 것이 윗대에 벌려져 있으나 我用沈酗于酒(아용침후우주) : 우리는 술에 빠져 주정을 일삼음으로서 用亂敗厥德于下(용난패궐덕우하) : 아랫대에 와서 그분들의 덕을 어지럽히고 망쳐 놓았습니다. 殷罔不小大(은망부소대) : 은나라는 작은 사람 큰 사람 할 것 없이 好草竊姦宄(호초절간귀) : 노략질과 도적질과 반란과 소란을 좋아하거늘 卿士師師非度(경사사사비도) : 경사들은 법도에 어긋나는 .. 2016. 3. 5.
書經(서경) 第十六 西伯戡黎(서백감려) 산과바다 書經(서경) HOME 第三篇 商書(상서) 第十六 西伯戡黎(서백감려) 西伯戡黎(서백감려) 西伯旣戡黎(서백기감려) : 서백이 이미 여나라를 쳐 이기자 祖伊恐(조이공) : 조이는 두려워서 奔告于王(분고우왕) : 달려와 임금에게 고하여 曰天子(왈천자) : 이르기를, “천자여, 天旣訖我殷命(천기흘아은명) : 하늘은 이미 우리 은나라의 명을 끝맺으셨으니 格人元龜(격인원구) : 지극한 사람과 큰 거북이도 罔敢知吉(망감지길) : 감히 길함을 알지 못하고 있습니다. 非先王不相我後人(비선왕부상아후인) : 옛 임금님들께서 우리 뒷사람들을 도우시지 않으시는 게 아니라 惟王淫戲(유왕음희) : 오직 임금님이 방탕하게 놀아서 用自絶(용자절) : 스스로 끊으신 것입니다. 故天棄我(고천기아) : 그리하여 하늘이 저희를 버리셨.. 2016. 3. 5.
書經(서경) 第十五 高宗肜日(고종융일) 산과바다 書經(서경) HOME 第三篇 商書(상서) 第十五 高宗肜日(고종융일) 高宗肜日(고종융일) 高宗肜日(고종융일) : 고종에게 융제를 지내던 날 越有雊雉(월유구치) : 우는 꿩이 나타났는데 祖己曰惟先格王(조기왈유선격왕) : 조기가 말하기를, “먼저 임금님을 바로잡으면 正厥事(정궐사) : 그 일도 바로잡힐 것이다.”하며 乃訓于王(내훈우왕) : 임금에게 훈계하여 曰惟天監下民(왈유천감하민) : 이르기를, “하늘이 밑의 백성을 살피실 때는 典厥義(전궐의) : 그들의 올바름을 주로 하시어 降年有永有不永(강년유영유부영) : 해를 내리심에 긴 것이 있고 길지 않는 것이 있으나 非天夭民(비천요민) : 하늘이 백성들을 일찍 죽게 하는 것이 아니라 民中絶命(민중절명) : 백성들이 마음으로 명을 끊는 것입니다. 民有不若德.. 2016. 3. 5.
書經(서경) 第十四 說命下(열명하) 1~3 산과바다 書經(서경) HOME 第三篇 商書(상서) 第十四 說命下(열명하) 1~3 說命下(열명하) 1 王曰來汝說(왕왈내여설) : 임금님이 말하시기를, “오너라, 그대 열이여 台小子舊學于甘盤(태소자구학우감반) : 이 소인이 옛날 감반에게 배웠는데 旣乃遯于荒野(기내둔우황야) : 후에 거친 들에 물러나 살게 되었었고 入宅于河(입댁우하) : 황하 안쪽으로 들어가 살았으며 自河徂亳(자하조박) : 황하로부터 박으로 갔었으니 曁厥終罔顯(기궐종망현) : 마침내 밝아지지 못하고 말았소. 爾惟訓于朕志(이유훈우짐지) : 그대는 나의 뜻에 대하여 훈계하여 若作酒醴(야작주례) : 만약 술이나 단술을 만들려하거든 爾惟麴糱(이유국얼) : 그대가 바로 누룩이 되고 若作和羹(야작화갱) : 만약 화갱을 만들려 하거든 爾惟鹽梅(이유염매) .. 2016. 3. 5.
書經(서경) 第十三 說命中(열명중) 1~3 산과바다 書經(서경) HOME 第三篇 商書(상서) 第十三 說命中(열명중) 1~3 說命中(열명중) 1 惟說命(유설명) : 부열에게 명하여 總百官(총백관) : 모든 관리들을 거느리게 하셨다 乃進于王(내진우왕) : 이에 임금님에게로 나아가 曰嗚呼(왈오호) : 아뢰기를, “오, 明王奉若天道(명왕봉야천도) : 밝은 임금은 하늘의 도를 받들고 쫓아 建邦設都(건방설도) : 나라를 세우고 도읍을 마련하며 樹后王君公(수후왕군공) : 천자와 제후의 법도를 세우고 承以大夫師長(승이대부사장) : 여러 가지 벼슬과 관청의 우두머리들을 임명하여 不惟逸豫(부유일예) : 편안히 놀지 않고 惟以亂民(유이난민) : 백성들을 다스리도록 하셨습니다. 惟天聰明(유천총명) : 하늘은 총명하시니 惟聖時憲(유성시헌) : 성군께서 이를 본받으시면 .. 2016. 3. 5.
書經(서경) 第十二 說命上(열명상) 1~3 산과바다 書經(서경) HOME 第三篇 商書(상서) 第十二 說命上(열명상) 1~3 說命上(열명상) 1 王宅憂亮陰三祀(왕댁우량음삼사) : 임금님은 거상하시어 삼년을 움막에서 지내시다가 旣免喪(기면상) : 상을 이미 면하고도 其惟弗言(기유불언) : 아무 말도 하지 않으셨다. 羣臣咸諫于王(군신함간우왕) : 여러 신하들이 다 같이 임금에게 간하여 曰嗚呼(왈오호) : 이르기를, “오, 知之曰明哲(지지왈명철) : 아는 것을 밝고 어질다 하고 明哲實作則(명철실작칙) : 밝고 어질면 실로 법을 만들게 되는 것이니 天子惟君萬邦(천자유군만방) : 천자는 온 나라를 다스리는 분으로 百官承式(백관승식) : 여러 관리들이 받들고 공경하여 王言惟作命(왕언유작명) : 임금님의 말씀이 바로 명령이 됩니다. 不言(부언) : 말씀을 하시.. 2016. 3. 5.
書經(서경) 第十一 盤庚下(반경하) 1~2 산과바다 書經(서경) HOME 第三篇 商書(상서) 第十一 盤庚下(반경하) 1~2 盤庚下(반경하) 1 盤庚旣遷(반경기천) : 반경이 도읍을 이미 옮기어 奠厥攸居(전궐유거) : 사는 곳을 한정시키고 乃正厥位(내정궐위) : 그들의 벼슬을 바로잡아 綏爰有衆(수원유중) : 백성들을 안락하게 해 주고 曰無戲怠(왈무희태) : 이르기를, “놀며 게으르지 말고 懋建大命(무건대명) : 위대한 명을 세우시기에 힘쓰오. 今予其敷心腹腎膓(금여기부심복신장) : 지금 나는 마음과 배와 콩팥과 창자를 다 펴 歷告爾百姓于朕志(력고이백성우짐지) : 그대 백성들에겐 내 뜻을 모두 고하여 罔罪爾衆(망죄이중) : 그대들을 죄주지 않을 것이니 爾無共怒(이무공노) : 그대들은 함께 노하여 協比讒言予一人(협비참언여일인) : 무리를 이루어 나 한 .. 2016. 3. 5.
書經(서경) 第十 盤庚中(반경중) 1~6 산과바다 書經(서경) HOME 第三篇 商書(상서) 第十 盤庚中(반경중) 1~6 盤庚中(반경중) 1 盤庚作(반경작) : 반경이 일어나 惟涉河(유섭하) : 황하를 건너 以民遷(이민천) : 백성들을 옮기려 할 때 乃話民之弗率(내화민지불솔) : 이에 따르지 않는 사람들을 설복하여 誕告用亶(탄고용단) : 정성으로 크게 고하였다. 其有衆咸造(기유중함조) : 그의 백성들은 모두 왔는데 勿褻在王庭(물설재왕정) : 임금의 궁정에서는 버릇없이 구는 사람이 없었다. 盤庚乃登進厥民(반경내등진궐민) : 반경은 그 백성을 올라 나오게 하시어 曰明聽朕言(왈명청짐언) : 이르기를, “나의 말을 경청하고 無荒失朕命(무황실짐명) : 나의 명을 저버리지 마오. 嗚呼(오호) : 오, 古我前后(고아전후) : 옛날 우리 앞 임금님들은 罔不惟民.. 2016. 3. 5.
書經(서경) 第九 盤庚上(반경상) 1~5 산과바다 書經(서경) HOME 第三篇 商書(상서) 第九 盤庚上(반경상) 1~5 盤庚上(반경상) 1 盤庚遷于殷(반경천우은) : 반경이 은땅으로 옮겨 가려 하였으나 民不適有居(민부적유거) : 백성들이 가서 살려 들지 않으니 率籲衆慼(률유중척) : 여러 근심하는 사람들을 거느리고 出矢言(출시언) : 호소하며 맹세하는 말을 하였다. 曰我王來(왈아왕내) : 이르기를, “임금인 내가 와서 旣爰宅于茲(기원댁우자) : 이미 이곳에 정착하고 있는데 重我民(중아민) : 우리 백성들을 중히 여기어 無盡劉(무진류) : 모두 죽게 되지 않게 하기위한 것이었으나 不能胥匡以生(부능서광이생) : 서로 바로 잡아 주며 살수가 없게 되었소 卜稽(복계) : 이에 점을 쳐 曰其如台(왈기여태) : 이르기를, “이 일을 어찌하면 좋겠소.” 하.. 2016. 3. 5.
書經(서경) 第八 咸有一德(함유일덕) 1~4 산과바다 書經(서경) HOME 第三篇 商書(상서) 第八 咸有一德(함유일덕) 1~4 咸有一德(함유일덕) 1 伊尹旣復政厥辟(이윤기복정궐벽) : 이윤은 그의 임금에게 정사를 되맡긴 뒤 將告歸(장고귀) : 은퇴하려 하면서 乃陳戒于德(내진계우덕) : 덕으로 훈계하여 曰嗚呼(왈오호) : 이르기를, “오, 天難諶(천난심) : 하늘이 믿기 어려움은 命靡常(명미상) : 땅은 명이 떳덧하지 않은 때문이다. 常厥德(상궐덕) : 덕에 언제나 힘쓰면 保厥位(보궐위) : 자리를 보전하고 厥德靡常(궐덕미상) : 그 덕에 언제나 힘쓰지 못하면 九有以亡(구유이망) : 아홉 주도 망할 것입니다. 夏王弗克庸德(하왕불극용덕) : 하나라 임금은 덕에 언제나 힘쓰지 못하고 慢神虐民(만신학민) : 신을 업신여기고 백성을 학대하였으니 皇天弗保(황.. 2016. 3. 5.
書經(서경) 第七 太甲下(태갑하) 1~2 산과바다 書經(서경) HOME 第三篇 商書(상서) 第七 太甲下(태갑하) 1~2 太甲下(태갑하) 1 伊尹申誥于王(이윤신고우왕) : 이윤이 거듭 임금에게 아뢰어 曰嗚呼(왈오호) : 이르기를 “오, 惟天無親(유천무친) : 하늘은 친함이 없으나 克敬惟親(극경유친) : 공경하는 사람만은 친하여지며 民罔常懷(민망상회) : 백성들은 일정한 따름이 없으나 懷于有仁(회우유인) : 어진 사람만은 친하여지며 鬼神無常享(귀신무상향) : 귀신은 일정한 누림이 없으나 享于克誠(향우극성) : 정성을 다하는 것만은 누리고 복을 주니 天位艱哉(천위간재) : 천자의 자리란 어려운 것입니다. 德惟治(덕유치) : 덕은 다스려지나 否德亂(부덕난) : 덕이 아니면 어지러워집니다. 與治同道(여치동도) : 다스림과 함께 같은 길을 가면 罔不興(망.. 2016. 3. 5.
書經(서경) 第六 太甲中(태갑중) 1~3 산과바다 書經(서경) HOME 第三篇 商書(상서) 第六 太甲中(태갑중) 1~3 太甲中(태갑중) 1 惟三祀十有二月朔(유삼사십유이월삭) : 태갑 삼년 십이월 초하룻날 伊尹以冕服(이윤이면복) : 이윤은 관면과 예복을 가지고 가서 奉嗣王(봉사왕) : 뒤를 이은 임금을 받들어 歸于亳(귀우박) : 박으로 돌아왔다. 作書曰民非后(작서왈민비후) : 그리고 글을 지어 아뢰기를, “백성은 임금이 아니면 罔克胥匡以生(망극서광이생) : 서로 바로잡아 주며 살 수가 없는 것이요. 后非民(후비민) : 임금은 백성이 아니면 罔以辟四方(망이벽사방) : 세상을 다스릴 수가 없습니다. 皇天(황천) : 하늘이 眷佑有商(권우유상) : 상나라 왕실을 돌보시고 도우셔서 俾嗣王(비사왕) : 뒤를 이은 임금으로 하여금 克終厥德(극종궐덕) : 그 .. 2016. 3. 5.
書經(서경) 第五 太甲上(태갑상) 1~3 산과바다 書經(서경) HOME 第三篇 商書(상서) 第五 太甲上(태갑상) 1~3 太甲上(태갑상) 1 惟嗣王(유사왕) : 뒤를 이은 왕이 不惠于阿衡(부혜우아형) : 아형을 따르지 아니하신데 伊尹作書(이윤작서) : 이윤이 글을 지어 曰先王顧諟天之明命(왈선왕고시천지명명) : 이르되, “선왕이 하늘의 밝은 명을 돌아보시어 以承上下神祇(이승상하신기) : 이로써 천지신기를 받드시며 社稷宗廟(사직종묘) : 사직과 종묘를 罔不祇肅(망부기숙) : 공경하지 아니하심이 없으시니 天監厥德(천감궐덕) : 하늘이 그 덕을 살피시어 用集大命(용집대명) : 이로써 대명을 모으시어 撫綏萬方(무수만방) : 온 나라를 어루만져 평안하게 하시니 惟尹躬克左右厥辟(유윤궁극좌우궐벽) : 윤이 몸소 능히 그 임금을 좌우로 도우시어 宅師(댁사) : .. 2016. 3. 5.
書經(서경) 第四 伊訓(이훈) 1~4 산과바다 書經(서경) HOME 第三篇 商書(상서) 第四 伊訓(이훈) 1~4 伊訓(이훈) 1 惟元祀十有二月乙丑(유원사십유이월을축) : 태갑 원년 십이월 을축날에 伊尹祠于先王(이윤사우선왕) : 이윤이 선왕에게 제사지냈는데 奉嗣王(봉사왕) : 뒤를 이은 임금을 받들어 祗見厥祖(지견궐조) : 조상을 경건히 뵙도록 하였다. 侯甸羣后咸在(후전군후함재) : 후복과 전복의 여러 제후들이 모두 있었고 百官總己(백관총기) : 모든 관리들도 자기의 일을 거두고 以聽冢宰(이청총재) : 재상의 말을 들었다. 伊尹乃明言烈祖之成德(이윤내명언렬조지성덕) : 이윤이 공 많은 조상이 이루신 덕을 밝게 말하며 以訓于王(이훈우왕) : 임금님에게 교훈하였다. 曰嗚呼(왈오호) : 이르기를, “오, 古有夏先后(고유하선후) : 옛날 하나라를 다스.. 2016. 3. 5.
書經(서경) 第三 湯誥(탕고) 1~3 산과바다 書經(서경) HOME 第三篇 商書(상서) 第三 湯誥(탕고) 1~3 湯誥(탕고) 1 王歸自克夏(왕귀자극하) : 임금님께서는 하나라를 정복하고 돌아오셔서 至于亳(지우박) : 박 땅에 이르러 誕告萬方(탄고만방) : 온 세상에 크게 고하시었다 王曰嗟爾萬方有衆(왕왈차이만방유중) : 임금님께서 말씀하시기를, “아, 그대들 온 세상 백성들이여, 明聽予一人誥(명청여일인고) : 나 한 사람의 말을 밝게 들어 주오 惟皇上帝(유황상제) : 위대한 하느님께서 降衷于下民(강충우하민) : 낮은 백성들에게 올바름을 내리시어 若有恒性(야유항성) : 언제나 올바른 성품을 가진 사람을 따르도록 하셨으니 克綏厥猷(극수궐유) : 그분의 길을 다를 수 있다면 惟后(유후) : 임금 노릇을 제대로 할 것이요. 夏王(하왕) : 하나라 임.. 2016. 3. 5.
書經(서경) 第二 仲虺之誥(중훼지고) 1~5 산과바다 書經(서경) HOME 第三篇 商書(상서) 第二 仲虺之誥(중훼지고) 1~5 仲虺之誥(중훼지고) 1 成湯放桀于南巢(성탕방걸우남소) : 공을 이룬 탕임금은 걸을 남소로 내치시고 惟有慙德(유유참덕) : 덕에 부끄러움을 느끼어 曰予恐來世(왈여공내세) : 말씀하시기를, “나는 후세에 以台爲口實(이태위구실) : 내가 이야기거리가 될까 두렵소.” 仲虺乃作誥(중훼내작고) : 중훼가 연설을 하며 말하였다. 曰嗚呼(왈오호) : 이르기를, ‘오, 惟天生民有欲(유천생민유욕) : 하늘이 백성을 내실 때 욕망을 갖게 하셨으니 無主乃亂(무주내난) : 임금이 없으면 곧 어지러워질 것이리라 惟天生聰明(유천생총명) : 하늘은 총명한 이를 내셔서 時乂(시예) : 이에 다스리시는 것입니다. 有夏昏德(유하혼덕) : 하나라 임금은 덕에.. 2016. 3. 5.
書經(서경) 第一 湯誓(탕서) 1~2 산과바다 書經(서경) HOME 第三篇 商書(상서) 第一 湯誓(탕서) 1~2 湯誓(탕서) 1 王曰格爾衆庶(왕왈격이중서) : 임금님께서 말씀하기기를“여러분에게 고하겠으니 悉聽朕言(실청짐언) : 모두 내 말을 잘 들으시오 非台小子(비태소자) : 나 같은 작은 사람이 敢行稱亂(감항칭난) : 감히 난을 일으키려는 것은 아니오 有夏多罪(유하다죄) : 하나라 임금이 죄가 많아 天命殛之(천명극지) : 하늘이 명하시니 그를 치려는 거요 今爾有衆(금이유중) : 이 곳에 있는 여러분, 汝曰我后(여왈아후) : 여러분은 ‘우리 임금은 不恤我衆(부휼아중) : 우리 백성들을 사랑하지 않으신다 舍我穡事(사아색사) : 우리에게 농사일을 버리고 而割正夏(이할정하) : 하나라를 치게 하시니’라고 말할 거요 予惟聞汝衆言(여유문여중언) : .. 2016. 3.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