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易經(周易)/易經의 理解7

易經의 卦-爻-彖-象 산과바다 周易(易經)주역(역경) HOME 易經의 卦-爻-彖-象 1. 卦(괘) 《주역(周易)》의 기본 원리로서, 천지간의 변화를 나타내고 길흉을 판단하는 것. 한 괘에 각각삼효(爻)가있고, 효를 음양(陰陽)으로 나누어서 팔괘(八卦)가 되고 팔괘가 거듭하여 육십사괘(六十四卦)가된다. 8괘는 일건천 一乾天(健), 이태택 二兌澤(說), 삼리화 三離火(明), 사진뢰 四震雷(動), 오손풍 五巽風(入), 육감수 六坎水(險), 칠간산 七艮山(止), 팔곤지 八坤地(順) 등이다. 괘를 그 형체로 표현한 것으로 '괘체(卦體)'이다. 一, 二, 三… 등의 숫자는 복희선천팔괘도의 순서에 따라 붙인 '괘수(卦數)'이다. 건(乾), 태(兌), 리(離)… 등은 '괘명(卦名)'으로 괘의 고유한 이름이다. 천(天, 하늘), 택(澤, 연.. 2016. 12. 13.
揲蓍法(설시법) 산과바다 周易(易經)주역(역경) HOME 揲蓍法(설시법) 시초점(蓍草占)을 치는 방법. 시초를 조작해 ≪주역 周易≫의 괘(卦)를 얻고 괘의 상징과 말을 이용해 장래의 일과 그 길흉을 점치는 방법이다. 18변서법(十八變筮法)이라고도 한다. 시초점은 시초(蓍草)라는 식물의 줄기를 이용해 점을 치는 것이다. 고대의 여러 가지 점법 가운데 거북점과 시초점이 많이 알려졌는데, ≪周易≫의 점은 시초점이 주류를 이루었다. 시초는 한 뿌리에서 매우 많은 줄기가 나오는 특이한 풀인데, 후대에는 편의에 따라 대나무를 깎아서 시초를 대신해 쓰게 되었다. 周易 계사전상편(繫辭傳上篇)에 시초점을 치는 방법이 실려 있지만, 내용이 매우 간략하기 때문에 주석가들에 따라 실시 과정과 의미 해석에 몇 가지 다른 견해가 있다. 周易 계.. 2016. 12. 13.
韓國易學의 연유와 역사적 이해 산과바다 周易(易經)주역(역경) HOME 韓國易學의 연유와 역사적 이해 인간 중심의 사상은 역사적으로 그 근원이 매우 오래되었다. 『周易』이 우리나라에 전래되기 이전부터 고래로 음양 사상과 인도 정신은 한국 사상의 원류를 이루어 왔다. 『한서(漢書)』 지리지에 보면 “동이(東夷)는 천성이 유순해 삼방족(三方族 : 北方族·南方族·西方族)과는 특이하므로 공자도 도(道)가 실행되지 않는 것을 슬퍼해 뗏목을 타고 바다를 건너 구이(九夷)에 가서 살고 싶다고 한 것은 까닭이 있는 일이다.”라 하여 동이족은 천성이 유순하다고 하였다. 또한, 『산해경(山海經)』에서는 “바다 건너 동쪽에 군자국이 있는데 그들은 의관(衣冠)을 하고 칼을 찼으며 사양하기를 좋아하며 다투지를 않는다.”고 하였다. 고대 금문(金文)에 의하면.. 2016. 12. 13.
韓國易學의 특질 산과바다 周易(易經)주역(역경) HOME 韓國易學의 특질 『周易』은 중국을 비롯해 한자를 사용하는 동양의 여러 민족이 과거 수천 년 동안 읽어 온 최고(最古)의 고전이다. 특히, 한국에 있어서는 삼국시대 이래로 오경(五經)·삼사(三史) 등을 학술 사상의 중심으로 삼아 왔으며, 그 가운데서도 『周易』을 다른 경전에 비해 최고의 원리가 담긴 최상의 경전으로 여겨 왔다. 중국에 있어서 『周易』을 13경의 으뜸으로 두었지만 이는 송대·명대에 이르러서의 일이다. 진(秦)나라의 분시서(焚詩書)에서도 『주역』은 점서(占書)로 보아 화를 면했고, 당나라의 국학에서 경전을 대경(大經)·중경(中經)·소경(小經)으로 분류할 때에도 『주역』을 소경으로 취급했음을 볼 수 있다. 일본의 경우에도 대체로 『周易』은 점술로 응용되는.. 2016. 12. 13.
주역에 나오는 단어 해설 산과바다 周易(易經)주역(역경) HOME 주역에 나오는 단어 해설 * 周易(주역)이란? 주역이란 주나라의 역이란 뜻이고, 易은 해(日)와 달(月)의 합성 자로 보는 견해와 하루에도 몇 번씩 색을 바꾸는 카멜레온(도마뱀)을 형상화 한 글자로 보는 설이 있는데, 어느 것이든 바뀌고 변한다는 의미가 있다. 중국 夏(하)나라 때는 連山(연산)역, 銀(은)나라 때는 歸藏(귀장)역이 있었는데 알 수 없고, 주나라를 세운 문왕이 천지자연을 다룬(形而上) 상경 30괘와 인사(形而下)를 다룬 하경 34괘 도합 64卦를 배열하고 괘마다 卦辭(괘사)를 붙이고, 문왕의 아들이자 무왕의 아우인 周公이 384(6×64)효마다 爻辭(효사)를 붙였다. 후에 공자가 彖傳(단전), 象傳(상전), 乾文言傳(건문언전), 坤文言傳(곤문언전).. 2016. 12. 13.
周易의 이해 산과바다 周易(易經)주역(역경) HOME 周易의 이해 주역은 사서삼경 가운데 하나인 역경(易經)을 말하며 주(周)나라 때의 역(易)이라는 뜻이다. 易은 '바꿀 역, 쉬울 이'의 뜻으로 변화(變化)한다는 의미와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다는 의미가 있다. 주역의 기원과 지은이에 대해 전통적으로는 복희씨가 괘(卦)를 만들고 문왕이 괘사(卦辭)를 짓고 주공이 효사(爻辭)를 지었으며 공자가 십익(十翼)을 지었다고 한다. 그러나 대부분 현대 학자들은 주역과 성인의 관련에 대해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 본래 주역은 역경(易經)과 역전(易傳)이 서로 분리되어 있었는데, 역전이 역경 속에 끼어들어간 것은 한(漢)나라 때부터이다. 나아가 오늘날과 같은 체제로 단전(彖傳), 상전(象傳), 문언전(文言傳)을 역경 안에 끼워 넣는.. 2016. 12. 13.
64괘상과 괘명의 설명 산과바다 周易(易經)주역(역경) HOME 64괘상과 괘명의 설명 괘상 설명 괘명 (01) ☰天 ☰天 하늘이 거듭 중첩된 중천(重天)의 괘상이다. 괘를 읽을 때는 먼저 상하(내외)의 괘상을 붙이고 괘명을 읽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천(天)은 한 일(一)에 큰 대(大)를 합쳐서 하나로 제일 큰 것이 하늘이라는 뜻이다. 乾은 元亨利貞하니라. 重天乾 건삼련/일천건 건삼련/일천건 (02) ☷地 ☷地 하늘이 먼저이고 땅이 그 다음이기 때문에 맨 먼저 하늘괘를 놓고 다음에 땅괘를 놓았다. 양(−)은 이어져 있기 때문에 무한하지만 음(?)은 끊어져 있어 유한하다. 天(乾)은 원(圓)하여 무한하고 地(坤)는 方하여 유한하다. 參天兩地의 삼천은 무한하고 양지는 유한하다. 重地坤 곤삼절/팔곤지 곤삼절/팔곤지 (03) ☵水.. 2016.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