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經325 시경(詩經) 頌(송) 산과바다 詩經(시경) HOME 시경(詩經) 頌(송) 시경(詩經)의 성질에 따른 분류 풍(風): 서민의 노래. 주나라 각 제후국들의 일반적인 민요로, 각기 15개국의 민요를 담고 있다. 단 주나라 본국의 민요의 경우, 주풍이 아니라, 왕풍으로 기록되어 있다. 주남(周南)·소남(召南)·패풍(邶風)·용풍(鄘風)·위풍(衛風)·왕풍(王風)·정풍(鄭風)·제풍(齊風)·위풍(魏風)·당풍(唐風)·진풍(秦風)·진풍(陳風)·회풍(檜風)·조풍(曹風)·빈풍(豳風)의 15국풍 160편. 아(雅): 조회나 연향 때 연주하는 노래 * 대아(大雅): 주나라 왕실의 행사나 의식에 쓰인 왕실의 흥폐를 논한 노래. 총 31편. * 소아(小雅): 제후국의 행사나 의식에 쓰이거나, 작은 정사를 논할 때, 민간에서 의식이 있을 경우 쓰인 노래... 2023. 11. 25. 시경(詩經) 대아(大雅) 산과바다 詩經(시경) HOME 시경(詩經) 대아(大雅) 시경(詩經)의 성질에 따른 분류 풍(風): 서민의 노래. 주나라 각 제후국들의 일반적인 민요로, 각기 15개국의 민요를 담고 있다. 단 주나라 본국의 민요의 경우, 주풍이 아니라, 왕풍으로 기록되어 있다. 주남(周南)·소남(召南)·패풍(邶風)·용풍(鄘風)·위풍(衛風)·왕풍(王風)·정풍(鄭風)·제풍(齊風)·위풍(魏風)·당풍(唐風)·진풍(秦風)·진풍(陳風)·회풍(檜風)·조풍(曹風)·빈풍(豳風)의 15국풍 160편. 아(雅): 조회나 연향 때 연주하는 노래 * 대아(大雅): 주나라 왕실의 행사나 의식에 쓰인 왕실의 흥폐를 논한 노래. 총 31편. * 소아(小雅): 제후국의 행사나 의식에 쓰이거나, 작은 정사를 논할 때, 민간에서 의식이 있을 경우 쓰인 노.. 2023. 11. 25. 시경(詩經) 소아(小雅) 산과바다 詩經(시경) HOME 시경(詩經) 소아(小雅) 시경(詩經)의 성질에 따른 분류 풍(風): 서민의 노래. 주나라 각 제후국들의 일반적인 민요로, 각기 15개국의 민요를 담고 있다. 단 주나라 본국의 민요의 경우, 주풍이 아니라, 왕풍으로 기록되어 있다. 주남(周南)·소남(召南)·패풍(邶風)·용풍(鄘風)·위풍(衛風)·왕풍(王風)·정풍(鄭風)·제풍(齊風)·위풍(魏風)·당풍(唐風)·진풍(秦風)·진풍(陳風)·회풍(檜風)·조풍(曹風)·빈풍(豳風)의 15국풍 160편. 아(雅): 조회나 연향 때 연주하는 노래 * 대아(大雅): 주나라 왕실의 행사나 의식에 쓰인 왕실의 흥폐를 논한 노래. 총 31편. * 소아(小雅): 제후국의 행사나 의식에 쓰이거나, 작은 정사를 논할 때, 민간에서 의식이 있을 경우 쓰인 노.. 2023. 11. 25. 詩經 全文 商頌(5篇) 산과바다 詩經(시경) HOME 詩經 全文 商頌(5篇) 商頌(5篇) ○ 那, 祀成湯也. 微子至于戴公, 其間, 禮樂廢壞, 有正考甫者得商頌十二篇於周之大師, 以那爲首. 猗與那與, 置我鞉鼓. 奏鼓簡簡, 衎我烈祖. 湯孫奏假, 綏我思成. 鞉鼓淵淵, 嘒嘒管聲. 旣和且平, 依我磬聲. 於赫湯孫, 穆穆厥聲. 庸鼓有斁, 萬舞有奕. 我有嘉客, 亦不夷懌. 自古在昔, 先民有作. 溫恭朝夕, 執事有恪. 顧予烝嘗, 湯孫之將. ○ 烈祖, 祀中宗也. 嗟嗟烈祖, 有秩斯祜. 申錫無疆, 及爾斯所. 旣載淸酤, 賚我思成. 亦有和羹, 旣戒旣平. 鬷假無言, 時靡有爭. 綏我眉壽, 黃耈無疆. 約軧錯衡, 八鸞鶬鶬. 以假以享, 我受命溥將. 自天降康, 豐年穰穰. 來假來饗, 降福無疆. 顧予烝嘗, 湯孫之將. ○ 玄鳥, 祀高宗也. 天命玄鳥, 降而生商, 宅殷土芒芒. .. 2023. 11. 24. 詩經 全文 魯頌(4篇) 산과바다 詩經(시경) HOME 詩經 全文 魯頌(4篇) 魯頌(4篇) ○ 駉, 頌僖公也. 僖公, 能遵伯禽之法, 儉以足用, 寬以愛民, 務農重穀, 牧于坰野, 魯人尊之. 於是, 季孫行父請命于周, 而史克, 作是頌. 駉駉牡馬, 在坰之野. 薄言駉者, 有驈有皇, 有驪有黃, 以車彭彭. 思無疆, 思馬斯臧. 駉駉牡馬, 在坰之野. 薄言駉者, 有騅有駓, 有騂有騏, 以車伾伾. 思無期, 思馬斯才. 駉駉牡馬, 在坰之野. 薄言駉者, 有驒有駱, 有駵有雒, 以車繹繹. 思無斁, 思馬斯作. 駉駉牡馬, 在坰之野. 薄言駉者, 有駰有騢, 有驔有魚, 以車祛祛. 思無邪, 思馬斯徂. ○ 有駜, 頌僖公君臣之有道也. 有駜有駜, 駜彼乘黃. 夙夜在公, 在公明明. 振振鷺, 鷺于下. 鼓咽咽, 醉言舞. 于胥樂兮. 有駜有駜, 駜彼乘牡. 夙夜在公, 在公飮酒. 振振鷺, .. 2023. 11. 24. 詩經 全文 周頌(31篇) 산과바다 詩經(시경) HOME 詩經 全文 周頌(31篇) 周頌(31篇) ○ 淸廟, 祀文王也. 周公, 旣成洛邑, 朝諸侯, 率以祀文王焉. 於穆淸廟, 肅雝顯相. 濟濟多士, 秉文之德. 對越在天, 駿奔走在廟. 不顯不承, 無射於人斯. ○ 維天之命, 大平告文王也. 維天之命, 於穆不已. 於乎不顯, 文王之德之純. 假以溢我, 我其收之. 駿惠我文王, 曾孫篤之. ○ 維淸, 奏象舞也. 維淸緝熙, 文王之典. 肇禋, 迄用有成, 維周之禎. ○ 烈文, 成王卽政, 諸侯助祭也. 烈文辟公, 錫玆祉福. 惠我無疆, 子孫保之. 無封靡于爾邦, 維王其崇之. 念玆戎功, 繼序其皇之. 無競維人, 四方其訓之. 不顯維德, 百辟其刑之. 於乎前王不忘. ○ 天作, 祀先王先公也. 天作高山, 大王荒之. 彼作矣, 文王康之. 彼徂矣岐, 有夷之行. 子孫保之. ○ 昊天有成命.. 2023. 11. 24. 詩經 全文 大雅(31篇) 산과바다 詩經(시경) HOME 詩經 全文 大雅(31篇) 大雅(31篇) ○ 文王, 文王受命作周也. 文王在上, 於昭于天. 周雖舊邦, 其命維新. 有周不顯, 帝命不時. 文王陟降, 在帝左右. 亹亹文王, 令聞不已. 陳錫哉周, 侯文王孫子. 文王孫子, 本支百世. 凡周之士, 不顯亦世. 世之不顯, 厥猶翼翼. 思皇多士, 生此王國. 王國克生, 維周之楨. 濟濟多士, 文王以寧. 穆穆文王, 於緝熙敬止. 假哉天命, 有商孫子. 商之孫子, 其麗不億. 上帝旣命, 侯于周服. 侯服于周, 天命靡常. 殷士膚敏, 祼將于京. 厥作祼將, 常服黼哻. 王之藎臣, 無念爾祖. 無念爾祖, 聿脩厥德. 永言配命, 自求多福. 殷之未喪師, 克配上帝. 宜鑒于殷, 駿命不易. 命之不易, 無遏爾躬. 宣昭義問, 有虞殷自天. 上天之載, 無聲無臭. 儀刑文王, 萬邦作孚. ○ 大明.. 2023. 11. 24. 詩經 全文 小雅(80編) 산과바다 詩經(시경) HOME 詩經 全文 小雅(80編) 小雅(80編) ○ 鹿鳴, 燕羣臣嘉賓也. 旣飮食之, 又實幣帛筐篚, 以將其厚意, 然後, 忠臣嘉賓, 得盡其心矣. 呦呦鹿鳴, 食野之苹. 我有嘉賓, 鼓瑟吹笙. 吹笙鼓簧, 承筐是將. 人之好我, 示我周行. 呦呦鹿鳴, 食野之蒿. 我有嘉賓, 德音孔昭. 視民不恌, 君子是則是傚. 我有旨酒, 嘉賓式燕以敖. 呦呦鹿鳴, 食野之芩. 我有嘉賓, 鼓瑟鼓琴. 鼓瑟鼓琴, 和樂且湛. 我有旨酒, 以燕樂嘉賓之心. ○ 四牡, 勞使臣之來也, 有功而見知, 則說矣. 四牡騑騑, 周道倭遲. 豈不懷歸, 王事靡盬, 我心傷悲. 四牡騑騑, 嘽嘽駱馬. 豈不懷歸, 王事靡盬, 不遑啓處. 翩翩者鵻, 載飛載下, 集于苞栩. 王事靡盬, 不遑將父. 翩翩者鵻, 載飛載止, 集于苞杞. 王事靡盬, 不遑將母. 駕彼四駱, 載驟駸駸.. 2023. 11. 24. 詩經 全文 國風(160篇) 산과바다 詩經(시경) HOME 詩經 全文 國風(160篇) 國風(160篇) ○ 關雎, 后妃之德也. 風之始也, 所以風天下而正夫婦也. 故用之鄕人焉, 用之邦國焉. 風, 風也敎也, 風以動之, 敎以化之. 詩者志之所之也, 在心爲志, 發言爲詩. 情動於中而形於言, 言之不足, 故嗟歎之, 嗟歎之不足, 故永歌之, 永歌之不足, 不知手之舞之足之蹈之也. 情發於聲, 聲成文, 謂之音. 治世之音, 安以樂, 其政和, 亂世之音, 怨以怒, 其政乖, 亡國之音, 哀以思, 其民困. 故正得失動天地感鬼神, 莫近於詩. 先王, 以是經夫婦, 成孝敬, 厚人倫, 美敎化, 移風俗. 故詩有六義焉, 一曰風, 二曰賦, 三曰比, 四曰興, 五曰雅, 六曰頌. 上以風化下, 下以風刺上, 主文而譎諫, 言之者無罪, 聞之者足以戒. 故曰風. 至于王道衰, 禮義廢政敎失, 國異政, 家殊.. 2023. 11. 24. 詩經(시경) HOME 산과바다詩經(시경) HOME 詩經 원전 해석1. 시경의 구성 및 바로가기국풍(國風) : 160편一. 周南(주남) 二. 召南(소남)三. 邶風(패풍)四. 鄘風(용풍)01 關雎(관저)02 葛覃(갈담)03 卷耳(권이)04 樛木(규목)05 螽斯(종사)06 桃夭(도요)07 兎罝(토저)08 芣苢(부이)09 漢廣(한광)10 汝墳(여분)11 麟之趾(인지지)12 鵲巢(작소)13 采蘩(채번)14 草蟲(초충)15 采蘋(채빈)16 甘棠(감당)17 行露(행로)18 羔羊(고양)19 殷其雷(은기뢰)20 摽有梅(표유매)21 小星(소성22 강유사(江有汜)23 野有死麕(야유사균)24 何彼襛矣(하피농의)25 騶虞(추우)26 柏舟(백주)27 綠衣(녹의)28 燕燕(연연)29 日月(일월)30 終風(종풍)31 擊鼓(격고)32 凱風(개풍)33 雄.. 2023. 11. 24. 311. 殷武(은무)-詩經 商頌(시경 상송) 산과바다 詩經(시경) HOME 商頌(상송) 307~311 311. 殷武(은무) 은나라 무사 撻彼殷武(달피은무) : 날렵한 저 은나라의 무사여 奮伐荊楚(분벌형초) : 분연히 초나라 치러 간다. 冞入其阻(미입기조) : 깊숙이 험한 곳까지 들어가 裒荊之旅(부형지려) : 초나라 무리 사로잡아 有截其所(유절기소) : 그 땅을 평정한다. 湯孫之緖(탕손지서) : 탕왕 후손의 공적이로다. 維女荊楚(유녀형초) : 그대들 초나라여 居國南鄕(거국남향) : 우리나라 남쪽에 있도다. 昔有成湯(석유성탕) : 옛날 탕왕 시절 自彼氐羌(자피저강) : 저 멀리 저나라 강나라에서 까지 莫敢不來享(막감부내향) : 감히 조공 바치지 않은 나라 없고 莫敢不來王(막감부내왕) : 감히 알현하지 않은 나라 없었으니 曰商是常(왈상시상) : 상나라만.. 2016. 2. 7. 310. 長發(장발)-詩經 商頌(시경 상송) 산과바다 詩經(시경) HOME 商頌(상송) 307~311 310. 長發(장발) 오래 전부터라네 濬哲維商(준철유상) : 지혜롭고 밝은 상나라 長發其祥(장발기상) : 오래 전부터 상서로운 기운 나타났도다. 洪水芒芒(홍수망망) : 홍수가 망망하여 禹敷下土方(우부하토방) : 우 임금이 천하의 땅을 정리하시어 外大國是疆(외대국시강) : 밖의 큰 나라들 경계로 하였다 福隕旣長(복운기장) : 강토는 넓고도 넓었도다. 有娀方將(유융방장) : 유융씨 나라 마침 커질 때에 帝立子生商(제립자생상) : 상제께서 아들을 상나라에 낳게 하였다 玄王桓撥(현왕환발) : 현왕께서는 늠름하고 굳세어 受小國是達(수소국시달) : 작은 나라 맡아도 잘 다스리고 受大國是達(수대국시달) : 큰 나라 맡아도 잘 다스리셨다 率履不越(률리부월) : .. 2016. 2. 7. 309. 玄鳥(현조)-詩經 商頌(시경 상송) 산과바다 詩經(시경) HOME 商頌(상송) 307~311 309. 玄鳥(현조) 제비 天命玄鳥(천명현조) : 하늘이 제비에게 명하여 降而生商(강이생상) : 내려와 상나라 조상을 낳았다 宅殷土芒芒(댁은토망망) : 광대한 은나라 땅에 살다가 古帝命武湯(고제명무탕) : 옛날 상제께서 무공 있은 신 탕왕에 명하여 正域彼四方(정역피사방) : 저 사방 경계를 획정케 하여 方命厥后(방명궐후) : 바야흐로 그 임금을 명하시어 奄有九有(엄유구유) : 구주 천하를 다스리게 하시었다 商之先后(상지선후) : 상나라 옛 임금 受命不殆(수명부태) : 받으신 천명 위태로움 없이 在武丁孫子(재무정손자) : 후손이신 무정 임금에 이르고 武丁孫子(무정손자) : 후손이신 무정 임금 武王靡不勝(무왕미부승) : 용맹하신 탕왕보다 못하지 않았다.. 2016. 2. 7. 308. 烈祖(열조)-詩經 商頌(시경 상송) 산과바다 詩經(시경) HOME 商頌(상송) 307~311 308. 烈祖(열조) 덕성스런 선조님 嗟嗟烈祖(차차렬조) : 아, 덕성스런 조상님 有秩斯祜(유질사호) : 그 복록 변함없도다. 申錫無疆(신석무강) : 거듭 끝없이 내려주시어 及爾斯所(급이사소) : 당신의 이 땅에 이르렀도다. 旣載淸酤(기재청고) : 맑은 술 차려 올려서 賚我思成(뢰아사성) : 우리에게 복을 내려주시길 빕니다. 亦有和羹(역유화갱) : 양념한 국도 갖추어 旣戒旣平(기계기평) : 고루 맛을 갖추었습니다. 鬷假無言(종가무언) : 신령의 강림하심을 말없이 빌고 時靡有爭(시미유쟁) : 시국도 다투는 일 없이 綏我眉壽(수아미수) : 우리에게 수복을 내려주시어 黃耈無疆(황구무강) : 늙도록 만수무강하옵니다. 約軝錯衡(약기착형) : 문채 화려하게 .. 2016. 2. 7. 307. 那(나)-詩經 商頌(시경 상송) 산과바다 詩經(시경) HOME 商頌(상송) 307~311 307. 那(나) 아름다워라 猗與那與(의여나여) : 아름답고 성대 하도다 置我鞉鼓(치아도고) : 우리 작은 북, 큰 북 벌여 놓고 奏鼓簡簡(주고간간) : 둥둥 북소리 크게 울린다. 衎我烈祖(간아렬조) : 우리 공덕 있으면 조상님 즐겁게 한다. 湯孫奏假(탕손주가) : 탕왕의 후손 신령의 강림 빌어 綏我思成(수아사성) : 우리에게 복을 내려주신다 鞉鼓淵淵(도고연연) : 작은 북, 큰 북 은은히 울리고 嘒嘒管聲(혜혜관성) : 고르게 어울려 旣和且平(기화차평) : 우리 경쇠 소리 따라 依我磬磬(의아경경) : 아, 빛나는 탕왕의 후손 於赫湯孫(어혁탕손) : 아름다워라, 그 소리 穆穆厥聲(목목궐성) : 큰 종, 큰 북 웅장하게 울린다. 庸鼓有斁(용고유두) :.. 2016. 2. 7. 306. 閟宮(비궁)-詩經 魯頌(시경 노송) 산과바다 詩經(시경) HOME 魯頌(노송) 駉之什(경지십) 303~306 306. 閟宮(비궁) 깊숙한 묘당 閟宮有侐(비궁유혁) : 맑고 깊숙한 묘당 實實枚枚(실실매매) : 단단히 기초에 짜임새 있는 집 赫赫姜嫄(혁혁강원) : 밝으신 강원님 其德不回(기덕부회) : 그 덕행 순정무사 하시어 上帝是依(상제시의) : 오직 상제께만 의탁하시고 無災無害(무재무해) : 아무런 재앙도 없이 彌月不遲(미월부지) : 달이 두루 지체 없이 是生后稷(시생후직) : 후직님을 낳으시고 降之百福(강지백복) : 온갖 복록을 내리셨다 黍稷重穋(서직중륙) : 기장과 피에 늦 곡식 이른 곡식 하며 稙穉菽麥(직치숙맥) : 올벼와 늦벼에 콩과 보리 奄有下國(엄유하국) : 이에 나라 다스려 俾民稼穡(비민가색) : 백성들에게 농사짓게 하시어 有.. 2016. 2. 7. 305. 泮水(반수)-詩經 魯頌(시경 노송) 산과바다 詩經(시경) HOME 魯頌(노송) 駉之什(경지십) 303~306 305. 泮水(반수) 반궁의 물 思樂泮水(사낙반수) : 즐거운 반궁의 물가에서 薄采其芹(박채기근) : 미나리를 캔다 魯侯戾止(노후려지) : 노나라 임금님 오시어 言觀其旂(언관기기) : 그분의 쌍룡기 보인다 其旂茷茷(기기패패) : 그분의 쌍룡기 펄럭펄럭 鸞聲噦噦(난성홰홰) : 말방울 소리 딸랑딸랑 無小無大(무소무대) : 대소 관원 가리지 않고 從公于邁(종공우매) : 모두 그분 좇아 따라온다 思樂泮水(사낙반수) : 즐거운 반궁의 물가에서 薄采其藻(박채기조) : 마름풀을 캔다 魯侯戾止(노후려지) : 노나라 임금님 오시어 其馬蹻蹻(기마교교) : 그분의 말 건장하시다 其馬蹻蹻(기마교교) : 그분의 말 건장하고 其音昭昭(기음소소) : 그분의 .. 2016. 2. 7. 304. 有駜(유필)-詩經 魯頌(시경 노송) 산과바다 詩經(시경) HOME 魯頌(노송) 駉之什(경지십) 303~306 304. 有駜(유필) 기름진 말 有駜有駜(유필유필) : 기름지고 억세다 駜彼乘黃(필피승황) : 저 건장한 네 필 누런 말 夙夜在公(숙야재공) : 밤낮 조정 일 보고 在公明明(재공명명) : 조정에서 부지런히 일 한다 振振鷺(진진노) : 떼 지어 나는 백로 鷺于下(노우하) : 백로가 날아 내린다. 鼓咽咽(고인인) : 북소리 둥둥 醉言舞(취언무) : 취하여 춤추며 于胥樂兮(우서낙혜) : 아아 모두들 즐거워라 有駜有駜(유필유필) : 기름지고 억세다 駜彼乘牡(필피승모) : 저 건장한 네 필 숫말 夙夜在公(숙야재공) : 밤낮 조정 일 보고 在公飮酒(재공음주) : 조정에서 술을 마신다. 振振鷺(진진노) : 떼 지어 나는 백로 鷺于飛(노우비) :.. 2016. 2. 7. 이전 1 2 3 4 ···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