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詩經/頌: 周頌 魯頌 商頌

311. 殷武(은무)-詩經 商頌(시경 상송)

by 산산바다 2016. 2. 7.

산과바다

詩經(시경) HOME

 

 

 

商頌(상송) 307~311

 

311. 殷武(은무)

              은나라 무사

 

撻彼殷武(달피은무) : 날렵한 저 은나라의 무사여

奮伐荊楚(분벌형초) : 분연히 초나라 치러 간다.

冞入其阻(미입기조) : 깊숙이 험한 곳까지 들어가

裒荊之旅(부형지려) : 초나라 무리 사로잡아

有截其所(유절기소) : 그 땅을 평정한다.

湯孫之緖(탕손지서) : 탕왕 후손의 공적이로다.

 

維女荊楚(유녀형초) : 그대들 초나라여

居國南鄕(거국남향) : 우리나라 남쪽에 있도다.

昔有成湯(석유성탕) : 옛날 탕왕 시절

自彼氐羌(자피저강) : 저 멀리 저나라 강나라에서 까지

莫敢不來享(막감부내향) : 감히 조공 바치지 않은 나라 없고

莫敢不來王(막감부내왕) : 감히 알현하지 않은 나라 없었으니

曰商是常(왈상시상) : 상나라만을 받들었다

 

天命多辟(천명다벽) : 하늘이 여러 제후들에게 명하였다

設都于禹之績(설도우우지적) : 우임금 다스리던 땅에 나라 세우시고

歲事來辟(세사내벽) : 해마다 알현하여 아뢰기를

勿予禍適(물여화적) : 저희를 너무 허물하지 마소서

稼穡匪解(가색비해) : 농삿일 게으르게 하지 않았습니다. 고 했다

 

天命降監(천명강감) : 하늘이 감독자를 내리게 명하시어

下民有嚴(하민유엄) : 백성들이 엄숙히 따르고

不僭不濫(부참부남) : 상벌을 지나치는 일 없이

不敢怠遑(부감태황) : 잠시도 감히 정사를 태만히 하지 않았습니다.

命于下國(명우하국) : 하늘이 이 나라에 명하시어

封建厥福(봉건궐복) : 큰 복락 이룩하게 하시었다

 

商邑翼翼(상읍익익) : 상나라 서울은 정연하여

四方之極(사방지극) : 천하의 본보기로다.

赫赫厥聲(혁혁궐성) : 빛나는 그 명성

濯濯厥靈(탁탁궐령) : 밝으신 그 영성이로다.

壽考且寧(수고차녕) : 오래도록 장수하시고 평안하시어

以保我後生(이보아후생) : 우리 후손들을 보호하신다.

 

陟彼景山(척피경산) : 저 경산에 오르면

松栢丸丸(송백환환) : 쭉 뻗은 아름드리 소나무와 잣나무

是斷是遷(시단시천) : 베어다가 옮겨서

方斲是虔(방착시건) : 깎고 자르고 하여

松桷有梴(송각유천) : 소나무 서까래를 길게 하고

旅楹有閑(려영유한) : 늘어선 기둥을 크게 하여

寢成孔安(침성공안) : 정침을 편안하게 이루었도다.

 

 

()

撻彼殷武  奮伐荊楚  冞入其阻  裒荊之旅  有截其所 湯孫之緖

은 빠른 모양이다. 殷武殷王의 굳셈이다. 는 무릅씀이다. 는 모임이다. 湯孫高宗을 이른 것이다. 舊說에 이것을 高宗을 제사하는 음악이라 하였다. 대개 盤庚한 이래로 나라의 가 쇠미해져서 楚人들이 배반하였는데, 高宗撻然武德을 써서 그 나라를 치고 그 險阻한 곳에 들어가서 그 대중을 이르게 하여 그 땅을 모두 평정하여 截然히 가지런하고 한결같이 하게 하였으니, 모두가 高宗의 공이다. 에 이르기를 高宗鬼方을 정벌하여 三年만에 이겼다.”라 하였으니, 아마도 이것을 이름인 것 같다.  

 

維女荊楚  居國南鄕  昔有成湯  自彼氐羌  莫敢不來享  莫敢不來王  曰商是常

이다. 氐姜夷狄이니, 나라가 西方에 있다. 은 드림이다. 대를 이은자가 뵙는다는 자를 이라 한다. 蘇氏가 말하였다. “이미 이겼다면 고하기를 네가 비록 멀리 있으나 또한 내 나라의 남쪽에서 산다. 옛날에 成湯의 치세에 비록 氐姜이 멀었으나 오히려 來朝하지 않음이 없어서 이것을 나라의 떳떳한 이다.’라 하였으니, 하물며 너 가 어찌 감히 이르지 아니하랴.” 

 

天命多辟  設都于禹之績  歲事來辟  勿予禍適  稼穡匪解

이다. 多辟諸侯이다. 來辟來朝하는 왕이다. 과 통한다. 하늘이 제후에게 명하여 각기 가 다스렸던 땅에 도읍하게 하여 모두가 歲事로써 나라에 와서 왕의 꾸짖지 말기를 바라면서 나의 稼穡을 감히 풀 수는 없기로소니 거의 가히 허물을 면할 것이다.”라 하였으니, ·가 이미 평정됨에 제후들이 畏服함을 말한 것이다.  

 

天命降監  下民有嚴  不僭不濫  不敢怠遑  命于下國 封建厥福

이다. 은 봄이다. 을 어긋나게 줌이다. 은 형벌이 지나친 것이다. 은 겨를이요, 은 큼이다. 天命의 내려지고 보심이 저에 있지 아니하여 모두 백성들의 보고 들음에 있으니, 下民에게 또한 함이 있는 것이다. 오직 주기를 어긋나게 하지 아니하고 형벌을 넘치게 하지 아니하여 감히 게을리 할 겨를이 없다면 하늘이 명하시기를 천하로써 하여 그 큰 복을 세울 것이니, 이는 高宗이 천명을 받아서 중흥한 것이다.   

 

商邑翼翼  四方之極  赫赫厥聲  濯濯厥靈  壽考且寧 以保我後生

이다. 商邑王都이다. 翼翼整勅한 모양이다. 함이다. 赫赫은 드러나고 한 모양이요, 濯濯은 빛나고 밝음이니, 高宗中興함이 이와 같은 것이다. 壽考且寧이라 이른 것은 高宗의 나라를 다스린 것이 59년이었다. 我後生後嗣子孫을 이름이다.

 

陟彼景山  松柏丸丸  是斷是遷  方斲是虔  松桷有梃 旅楹有閑 寢成孔安

이다. 은 산 이름이니, 나라가 도읍한 곳이다. 丸丸은 바름이다. 은 옮김이요, 은 바르게 함이다. 또한 끊음이다. 은 긴 모양이다. 는 많음이다. 閑然히 큼이다. 안의 이다. 高宗을 편안하게 하는 所以이다. 이는 대개 특히 百世不遷가 되어 三昭三穆의 수에 있지는 않으니, 이미 이루어짐에 비로소 붙여서 제사하는 이다. 그러나 이 장은 閟宮卒章文意가 대략 통하니, 무엇을 이른 것인지는 미상이다.

 

殷武 六章이니, 三章章 六句, 二章章 七句一章五句이다.

商頌 五篇十六章이요, 一百五十四句이다

 

- 詩經 終 -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