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詩經/小雅

시경(詩經) 소아(小雅)

by 산산바다 2023. 11. 25.

산과바다

詩經(시경) HOME

 

 

 

시경(詩經) 소아(小雅)

 

시경(詩經)성질에 따른 분류

 

(): 서민의 노래. 주나라 각 제후국들의 일반적인 민요로, 각기 15개국의 민요를 담고 있다. 단 주나라 본국의 민요의 경우, 주풍이 아니라, 왕풍으로 기록되어 있다. 주남(周南소남(召南패풍(邶風용풍(鄘風위풍(衛風왕풍(王風정풍(鄭風제풍(齊風위풍(魏風당풍(唐風진풍(秦風진풍(陳風회풍(檜風조풍(曹風빈풍(豳風)15국풍 160.

 

(): 조회나 연향 때 연주하는 노래

* 대아(大雅): 주나라 왕실의 행사나 의식에 쓰인 왕실의 흥폐를 논한 노래. 31.

* 소아(小雅): 제후국의 행사나 의식에 쓰이거나, 작은 정사를 논할 때, 민간에서 의식이 있을 경우 쓰인 노래. 대아가 왕실에서 사용되어 무게가 있는 반면 제후나 신하, 서민의 의식에 쓰여 대아에 비해 작기 때문에 소아라고 한다. 80편이나 6편이 실전되어 현전하는 것은 74.

 

(): 선현을 기리는 노래. 주나라 왕실에서 쓰인 周頌(주송 31), 노나라 제후국에서 쓰인 魯頌(노송 4), 송나라에서 선대인 상나라를 기린 商頌(상송 5)의 세 종류가 있다. 40.

 

* 小雅(소아) : 80編의 구성

小雅(소아) : 80
. 鹿鳴之什(녹명지십) . 南有嘉魚之什  
     (남유가어지십)
. 鴻雁之什(홍안지십) . 節南山之什
    (절남산지십)
161. 鹿鳴(녹명)
162. 四牡(사모)
163. 皇皇者華(황황자화)
164. 常棣(상체)
165. 伐木(벌목)
166. 天保(천보)
167. 采薇(채미)
168. 出車(출거)
169. 杕杜(체두)
170. 魚麗(어려) ()연주
171. 白華(백화) ()연주
172. 華黍(화서) ()연주
173. 魚麗(어려)
174. 由庚(유경) ()연주
175. 南有嘉魚(남유가어)
176崇丘(숭구) 제목만 전함
177. 南山有臺(남산유대)
178. 由儀(유의) ()연주
179. 蓼蕭(요소)
180. 湛露(담로)
181. 彤弓(동궁)
182. 菁菁者莪(청청자아)
183. 六月(유월)
184. 采芑(채기)
185. 車攻(거공)
186. 吉日(길일)


187. 鴻雁(홍안)
188. 庭燎(정료)
189. 沔水(면수)
190. 鶴鳴(학명)
191. 祈父(기보)
192. 白駒(백구)
193. 黃鳥(황조)
194. 我行其野(아행기야)
195. 斯干(사간)
196. 無羊(무양)




197. 節南山(절남산)
198. 正月(정월)
199. 十月之交(십월지교)
200. 雨無正(우무정)
201. 小旻(소민)
202. 小宛(소완)
203. 小弁(소변)
204. 巧言(교언)
205. 何人斯(하인사)
206. 巷伯(항백)




. 谷風之什(곡풍지십) . 甫田之什(보전지십) . 魚藻之什(어조지십)  
207. 谷風(곡풍)
208. 蓼莪(요아)
209. 大東(대동)
210. 四月(사월)
211. 北山(북산)
212. 無將大車(무장대거)
213. 小明(소명)
214. 鼓鍾(고종)
215. 楚茨(초자)
216. 信南山(신남산)




217. 甫田(보전)
218. 大田(대전)
219. 瞻彼洛矣(첨피낙의)
220. 裳裳者華(상상자화)
221. 桑扈(상호)
222. 鴛鴦(원앙)
223. 頍弁(규변)
224. 車舝(거할)
225. 靑蠅(청승)
226. 賓之初筵(빈지초연)




227. 魚藻(어조)
228. 采菽(채숙)
229. 角弓(각궁)
230. 울류(菀柳)
231. 都人士(도인사)
232. 采綠(채녹)
233. 黍苗(서묘)
234. 隰桑(습상)
235. 白華(백화)
236. 緜蠻(면만)
237. 瓠葉(호엽)
238. 漸漸之石(점점지석)
239. 苕之華(초지화)
240. 何草不黃(하초부황)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