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小雅(소아)
二. 南有嘉魚之什(남유가어지십) 175~186
184 采芑(채기)
고들빼기 캐기
薄言采芑(박언채기) : 고들빼기를 캔다
于彼新田(우피신전) : 재작년 새로 만든 저 밭에서
于此菑畝(우차치무) : 작년에 새로 마든 밭에서 캔다
方叔蒞止(방숙리지) : 방숙님 오실 때
其車三千(기차삼천) : 그 수레 삼천이고
師干之試(사간지시) : 군사와 무기를 살피신다
方叔率止(방숙솔지) : 방숙님 이를 이끄시어
乘其四騏(승기사기) : 네 필 말을 타시니
四騏翼翼(사기익익) : 네 필은 나란히 달리는구나
路車有奭(로차유석) : 제후의 수레에 붉은 색
簟笰魚服(점불어복) : 대자리 덮개와 물개 가죽 전대
鉤膺鞗革(구응조혁) : 말의 배에 두른 쇠고리 고삐 끝엔 쇠장식이로다
薄言采芑(박언채기) : 고들빼기를 캔다
于彼新田(우피신전) : 재 작년 새로 만든 저 밭에서
于此中鄉(우차중향) : 마을 가운데 이곳에서 캔다
方叔蒞止(방숙리지) : 방숙님 오실 때
其車三千(기차삼천) : 그 수레 삼천이고
旂旐央央(기조앙앙) : 교룡, 거북, 뱀 그린 깃발 뚜렷도하다
方叔率止(방숙솔지) : 방숙님은 이끄시니
約軝錯衡(약기착형) : 붉은 가죽 바퀴통과 무늬 새긴 앞턱나무
八鸞瑲瑲(팔란창창) : 여덟 개 말방울 짤랑짤랑
服其命服(복기명복) : 천자께서 주신 옷 입고
朱芾斯皇(주불사황) : 붉은 폐슬 반짝이며
有瑲蔥珩(유창총형) : 푸른 구슬 짤랑거린다
鴥彼飛隼(율피비준) : 훨훨 나는 새매가
其飛戾天(기비려천) : 하늘에 닿을 듯 날아올라
亦集爰止(역집원지) : 나무에 모여 앉는 구나
方叔蒞止(방숙리지) : 방숙님 오실 때
其車三千(기차삼천) : 그 수레 삼천이고
師干之試(사간지시) : 군사와 무기를 살피신다
方叔率止(방숙솔지) : 방숙님은 이끄시고
鉦人伐鼓(정인벌고) : 정을 치는 군사는 북을 울려
陳師鞠旅(진사국려) : 군사를 훈련하고 출동 연습한다
顯允方叔(현윤방숙) : 밝고 진실한 방숙님
伐鼓淵淵(벌고연연) : 북소리 둥둥
振旅闐闐(진려전전) : 소리 맞춰 부대를 정렬 시키는구나
蠢爾蠻荊(준이만형) : 어리석은 형만의 오랑캐
大邦為讎(대방위수) : 큰 나라 원수 삼는데
方叔元老(방숙원로) : 방숙임이 늙으셨도다
克壯其猶(극장기유) : 훌륭하다, 그 전략
方叔率止(방숙솔지) : 방숙님이 이끄시어
執訊獲醜(집신획추) : 그 첩자 사로잡고 악인을 사로잡으신다
戎車嘽嘽(융차탄탄) : 수레는 덜거덩 덜거덩
嘽嘽焞焞(탄탄돈돈) : 우루르 쾅쾅 요란하여
如霆如雷(여정여뢰) : 번개 치듯 천둥치듯 하는 구나
顯允方叔(현윤방숙) : 밝고 진실하신 방숙님
征伐玁狁(정벌험윤) : 험윤의 오랑캐를 치시니
蠻荊來威(만형래위) : 형만의 오랑캐 왕도 위엄에 두려워하는 구나
산과바다 이계도
'詩經 > 小雅'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6. 吉日(길일)-詩經 小雅(시경 소아) (0) | 2016.02.06 |
---|---|
185. 車攻(거공)-詩經 小雅(시경 소아) (0) | 2016.02.06 |
183. 六月(유월)-詩經 小雅(시경 소아) (0) | 2016.02.06 |
182. 菁菁者莪(청청자아)-詩經 小雅(시경 소아) (0) | 2016.02.06 |
181. 彤弓(동궁)-詩經 小雅(시경 소아) (0) | 2016.02.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