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詩聖 杜甫 詩

곡강배정팔장남사음(曲江陪鄭八丈南史飮)

by 산산바다 2020. 12. 13.

산과바다

曲江

두보 시(杜甫 詩) HOME

 

 

 

        곡강배정팔장남사음(曲江陪鄭八丈南史飮) - 두보(杜甫)

          곡강에서 정팔장 남사와 함께 술을 마시며

 

 

雀啄江頭黃柳花(작탁강두황류화) : 참새들 강 언덕의 누런 버들 꽃 쪼아대고

鵁鶄鸂䳵滿晴沙(교청계칙만청사) : 해오라기와 물오리 비갠 모래섬에 가득하네.

自知白髮非春事(자지백바비춘사) : 봄날에 흰머리 안 어울리는 것 알지마는

且盡芳樽戀物華(차진방준연물화) : 잠시 술잔 기울이며 풍경 맘에 담아보네.

近侍即今難浪跡(근시즉금난랑적) : 황제 모시는 지금은 떠돌기도 어렵지만

此身那得更無家(차신나득경무가) : 내게 어떻게 그런 날 올수 있으리오.

丈人才力猶强健(장인재력유강건) : 선배의 재주와 힘 아직도 강건한데

豈傍靑門學種瓜(기방청문학종과) : 어이하여 오이 심기나 배운단 말이오.

 

 

* 江頭(강두) : 강변. 강가의 나루근처. 강 언덕.

* 鵁鶄(교청) : 해오라기

* 鸂䳵(계칙) : 비오리. 물닭. 자원앙(紫鴛鴦)

* 芳樽(방준) : (무늬가 섬세한) 술잔

* 物華(물화) : 자연경물. 물질의 정수.

* 浪跡(낭적) : 정처 없이 떠돌아 다니다. 유랑하다. 방랑하다.

* 丈人(장인) : 고대에 나이든 남자에게 쓰던 존칭

* 才力(재력) : 재능. 재주.

* 靑門(청문) : 벼슬에서 물러나 은거 하는 곳을 가리킨다.

* 種瓜(종과) : 소평(邵平)이란 사람에 얽힌 고사와 관련이 있다. 사기史記》〈소상국세가蕭相國世家에 전하기를 邵平者, 故秦東陵侯. 秦破爲布衣貧, 種瓜於長安城東, 瓜美, 故世俗謂之東陵瓜, 從邵平以爲名也(소평이란 사람은 진나라 때 동릉후를 말한다. 진나라가 망한 뒤 베옷을 입고 가난하게 지내며 장안성 동쪽에 오이를 심었다. 사람들이 맛이 좋은 그 오이를 동릉과라 하였는데 소평의 이름을 따른 것이다).’라고 하였다.

 

건원(乾元)원년(758), 두보가 좌습유(左拾遺)로 있을 때 지은 작품이다.

정팔장(鄭八丈)이란 사람은 시구에 丈人이란 표현이 있는 것으로 보아 두보보다 연장인 아마도 南史라는 사관 비슷한 관직에 있던 사람이 아니었나 싶다. 두 사람 모두 벼슬에서 물러나 은자의 삶을 살 수 있기를 동경 했던 것으로 보이지만 두보에게는 어렵게 얻은 현직을 떠날 수 없었던 분명한 이유가 있었으니 그가 부양을 저버려도 될 만큼 그의 집이 여유를 갖추지 못한 때문이었다. 떠나고 싶어도 그러지 못하는 자신의 형편은 그렇다 치더라도 동병상련의 선배에게 그러지 말라고 말리는 두보의 심정을 생각한다.

 

 

 

 

산과바다 이계도

'*** 詩 *** > 詩聖 杜甫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낭(空囊)  (0) 2020.12.13
제갈공명(諸葛孔明)  (0) 2020.12.13
곡강대주(曲江對酒)  (0) 2020.12.13
곡강대우(曲江對雨)  (0) 2020.12.13
고안(孤雁)  (0) 2020.12.1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