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詩聖 杜甫 詩

복수12수(復愁十二首)

by 산산바다 2020. 12. 18.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복수십이수(復愁十二首) - 두보(杜甫)

                    다시 고향이 시름겨워

 

 

其一

人煙生處僻(인연생처벽) : 사람과 연기 이는 곳 드물어

虎跡過新蹄(호적과신제) : 새로 난 발자국 호랑이 지나갔나보다.

野鶻翻窺草(야골번규초) : 들판의 독수리 번득 풀섶을 노리는데

邨船逆上溪(촌선역상계) : 마을의 배는 거슬러 계곡을 올라간다.

 

 

其二

釣艇收緡盡(조정수민진) : 낚시배 낙시줄 다 걷으니

昏鴉接翅稀(혼아접시희) : 저녁 까마귀 날갯짓 드물다.

月生初學扇(월생초학선) : 달이 떠올라 둥글어지는데

雲細不成衣(운세부성의) : 구름은 엷어서 옷이 되지 못한다.

 

 

其三

萬國尙戎馬(만국상융마) : 온 나라가 여전히 전쟁터인데

故園今若何(고원금약하) : 고향은 지금쯤 형편이 어떠할까?

昔歸相識少(석귀상식소) : 저번 고향 가니 아는 사람 적었는데

早已戰爭多(조이전쟁다) : 이미 전란이 휩쓸고 갔기 때문이리라.

 

이 시()는 당대종(唐代宗) 대력(大歷) 2(767) 가을 시인이 56세 때 지은 12() 연작(連作) 중 세 번째 작품이다. 기구(起句)와 승구(承句)는 현재를, 전구(轉句)와 결구(結句)는 과거 이야기이다. 결구의 석귀상식소(昔歸相識少)”예전 고향에 돌아갔을 적에는 모두 징병되어 낯익은 사람이 적었다는 뜻으로 ()’은 당숙종(唐肅宗) 건원(乾元) 원년(758) 화주사공참군(華州司功參軍) 때에 뤄양(洛陽)에 들른 일을 말한다. 그 후 10, ()나라 현종(玄宗) 천보(天寶) 14(755) 안록산(安祿山)의 난()과 더불어 토번(吐蕃-티베트), 회흘(回紇-위구르)의 침입 등 전란(戰亂)은 그치지 않았다.

* : ‘회복할 복, 다시 부자로 여기선 다시, 거듭의 뜻으로 쓰였다.

* 萬國 : ‘온 나라의 뜻이다.

* : ‘오히려 상자로 오히려, 그 밖에, 여전히, 반드시, 더하다, 숭상하다, 높이다등의 뜻이 있다.

* 戎馬(융마) : 군대에서 쓰는 군마(軍馬) 또는 전쟁에서 쓰는 수레와 말이란 뜻으로 군대(軍隊)를 이르는 말이다. 여기서는 전쟁 중이라는 의미로 쓰였다.

* 故園 : 옛날에 만들어진 뜰이란 뜻으로 고향(故鄕)을 의미한다.

 

 

其四

身覺省郎在(신각생낭재) : 벼슬 버린 몸임을 알았으니

家須農事歸(가수농사귀) : 집에 반드시 농사일로 돌아온다.

年深荒草徑(년심황초경) : 해마다 거친 풀 길을 깊게 하니

老恐失柴扉(노공실시비) : 늙은이 사립문 뵈지 않을까?

 

 

其五

金絲鏤箭鏃(금사루전족) : 금실로 화살에 새기고

皁尾製旗竿(조미제기간) : 말꼬리에 깃대를 만들었다

一自風塵起(일자풍진기) : 한번 풍진이 일어나니

猶嗟行路難(유차항노난) : 여전히 행로난을 탄식한다.

 

 

其六

胡虜何曾盛(호노하증성) : 오랑캐 어찌 그렇게 성 했는가

干戈不肯休(간과부긍휴) : 전쟁은 그치려 하지 않는구나.

閭閻聽小子(여염청소자) : 마을마다 젊은이들 소리 들리니

談笑覓封侯(담소멱봉후) : 담소를 나누며 벼슬을 찾는구나.

 

 

其七

貞觀銅牙弩(정관동아노) : 당 태종은 구리 화살을 쏘고

開元錦獸張(개원금수장) : 당 현종기는 錦獸張 이여

花門小箭好(화문소 전호) : 花門의 져근 사리 됴할시

此物棄沙場(차물기사장) : 이거슬 沙場애 버렷도다.

 

 

其八

今日翔麟馬(금일상린마) : 오늘은 기린마를 타고 빙빙 도는데

先宜駕鼓車(선의가고차) : 마땅히 북을 치며 수레가 앞서가네.

無勞問河北(무로문하북) : 하북을 물으나 소용이 없고

諸將覺榮華(제장각영화) : 여러 장수들 이름이 빛남 만 깨닫네.

 

 

其九

任轉江淮粟(임전강회속) : 오곡은 양자강이 쓸어가고

休添苑囿兵(휴첨원유병) : 대궐의 병사는 휴가를 더하네.

由來貔虎士(유래비호사) : 말미암아 비휴호랑이가 오니

不滿鳳凰城(불만봉황성) : 봉황성은 불만이네.

 

 

其十

江上亦秋色(강상역추색) : 강물은 가을색이 비추어 아름답고

火雲終不移(화운종불이) : 붉은 구름은 이동하지 않고 멈추었네.

巫山猶錦樹(무산유금수) : 무산은 오직 비단 같은 고운 나무 덮여있고

南國且黃鸝(남국차황리) : 남국은 또한 황금꾀꼬리가 지저귀네.

 

 

其十一

每恨陶彭澤(매한도팽택) : 항상 도연맹을 한스럽게 여긴 것

無錢對菊花(무전대국화) : 돈 없어서 국화만 바라본 것이라네.

如今九日至(여금구일지) : 이제 중양절이 다가오나니

自覺酒須賖(자각주수사) : 나도 술을 사야겠다고 생각하네.

 

 

其十二

病減詩仍拙(병감시잉졸) : 병이 호전되니 시는 더욱 졸해지고

吟多意有餘(음다의유여) : 시구를 읊조리다 보니 뜻은 더욱 유여해지네.

莫看江總老(막간강총로) : 강총을 늙었다고 하지 마오

猶被賞時魚(유피상시어) : 오히려 銀 魚袋을 상으로 받았거늘

 

 

 

 * 수(愁) - 근심 

 

 

 

 

산과바다 이계도

'*** 詩 *** > 詩聖 杜甫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봉답잠삼보궐견증(奉答岑參補闕見贈)  (0) 2020.12.19
산수이수(散愁二首)  (0) 2020.12.19
수(愁)  (0) 2020.12.18
초당즉사(草堂卽事)  (0) 2020.12.18
복거(卜居)  (0) 2020.12.1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