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詩聖 杜甫 詩

증특진여양왕이십운(贈特進汝陽王二十韻)

by 산산바다 2020. 12. 21.

산과바다

大明宮

두보 시(杜甫 詩) HOME

 

 

 

        증특진여양왕이십운(贈特進汝陽王二十韻) - 두보(杜甫)

          특진 벼슬의 있는 영양왕에게 드리는 시

 

 

特進羣公表(특진군공표) : 특진께서는 여러 공들의 표상이시며

天人夙德升(천인숙득승) : 귀인의 오랫동안 쌓은 덕망이 높아집니다.

霜蹄千里駿(상제천리준) : 서리 밟는 발굽으로 천리를 달리는 명마이시고

風翮九霄鵬(풍핵구소붕) : 바람 날갯짓하며 하늘까지 오르는 붕새이십니다.

服禮求亳髮(복례구박발) : 예의를 갖추심에 철저하시고

惟忠忘寢興(유충망침흥) : 충성을 생각함에 자고 일어남도 잊으십니다.

聖情常有眷(성정상유권) : 천자의 마음에 항상 돌보심이 있으나

朝退若無憑(조퇴야무빙) : 조정에서 물러나면 의지할 곳도 없는 것 같다.

仙醴來浮蟻(선례내부의) : 왕실에서 내리는 감로주는 부의라는 술이 나오고

奇毛或賜鷹(기모혹사응) : 기이한 새로는 혹 송골매를 내려주셨습니다.

淸關塵不雜(청관진부잡) : 맑은 대문에는 먼지 같은 사람들로 잡되지 않았고

中使日相乘(중사일상승) : 대궐의 사신은 날마다 수레 타고 찾아옵니다.

晩節嬉遊簡(만절희유간) : 늙어서도 노는 것이 간소하고

平居孝義稱(평거효의칭) : 평소 생활함에 효도와 의리로 칭송 받았습니다.

自多親棣萼(자다친체악) : 형제간의 친애함을 스스로 아름답게 여기니

誰敢問山陵(수감문산능) : 누가 감히 산릉에 대해서 물을 수 있겠는가.

學業醇儒富(학업순유부) : 학업은 순정한 유가처럼 풍부하시고

辭華哲匠能(사화철장능) : 문장은 뛰어난 문장가처럼 능숙하셨다.

筆飛鸞聳立(필비난용립) : 글씨를 날려 쓰면 난새가 솟아오르는 듯하고

章罷鳳鶱騰(장파봉건등) : 문장을 다 지으면 봉황새처럼 뛰어오는 듯하다.

精理通談笑(정리통담소) : 이치에 정통하여 담소하심이 능통하고

忘形向友朋(망형향우붕) : 신분을 잊고 친구를 대하신다.

寸長堪繾綣(촌장감견권) : 작은 장점도 친밀하게 돌보아주시고

一諾豈驕矜(일낙개교긍) : 한 번 허락해주셔도 어찌 교만하게 자랑하겠습니까.

已忝歸曹植(이첨귀조식) : 이미 외람되게도 조식 같은 분에게 기탁하였는데

何如對李膺(하여대리응) : 어떻게 해서 권세가 이응을 대하겠습니까.

招要恩屢至(초요은누지) : 불러주시니 은혜가 여러 차례나 이르고

崇重力難勝(숭중력난승) : 높이고 귀하게 여기심을 제 힘으로 감당하기 어렵습니다.

披霧初歡夕(피무초환석) : 안개 헤치고는 처음 기쁜 저녁

高秋爽氣澄(고추상기징) : 높은 가을 하늘에 상쾌한 바람이 맑았습니다.

樽罍臨極浦(준뢰림극포) : 술잔을 들고 먼 포구에 서니

鳧雁宿張燈(부안숙장등) : 물오리와 기러기는 켜진 등불에서 자고 있었습니다.

花月窮遊宴(화월궁유연) : 꽃 핀 달 아래서 한껏 노닐며 잔치벌이고

炎天避鬱蒸(염천피울증) : 더운 여름날 무더운 습기를 피하였습니다.

硯寒金井水(연한금정수) : 벼루는 차가워 금정수 우물의 물 같고

簷動玉壺冰(첨동옥호빙) : 처마는 움직이는 것은 옥 같은 병의 얼음과 같다.

瓢飮惟三徑(표음유삼경) : 표주박으로 물 마시려면 오직 세 갈래 길이 있으니

巖棲在百層(암서재백층) : 바위굴 집은 백 층이나 높이 있습니다.

謬持蠡測海(류지려측해) : 잘못 표주박 가지고 바닷물을 재려하다니

況挹酒如澠(황읍주여민) : 하물며 승수와 같이 많은 술을 뜨려함에 있어서야.

鴻寶寧全袐(홍보녕전필) : 큰 보배가 어찌 완전히 숨겨질까

丹梯庶可凌(단제서가능) : 신선세계의 붉은 사다리는 오를 수 있을 것입니다.

淮王門有客(회왕문유객) : 회왕의 문하에는 빈객이 있으니

終不愧孫登(종부괴손등) : 끝내 손등과 같은 분에게 부끄럽지 않겠습니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