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詩聖 杜甫 詩

만행구호(晩行口號)

by 산산바다 2020. 12. 29.

산과바다

 

캄캄한 밤길

두보 시(杜甫 詩) HOME

 

 

          만행구호(晩行口號) - 두보(杜甫)

           밤길을 가다가 입에서 나오는 대로 읊다

 

 

三川不可到(삼천불가도) : 삼천에는 가지 못하고 마는 것인가

歸路晩山稠(귀로만산조) : 집으로 가는 밤길에 산도 많은데

落雁浮寒水(낙안부한수) : 기러기는 찬물 위로 내려앉아 떠 있고

飢烏集戍樓(기오집수루) : 굶주린 까마귀는 수루 위에 모여 있네.

市朝今日異(시조금일이) : 저자와 조정이 지난날과 같지 않으니

喪亂幾時休(상란기시휴) : 난리는 어느 때나 멈추려는가?

遠愧梁江總(원괴양강총) : 양나라 때 강총을 생각하면 부끄럽구나.

還家尙黑頭(환가상흑두) : 집으로 돌아갔을 때도 머리칼이 검었다 하니

 

* 口號(구호) : 고시에서 표제로 쓰던 용어로 입에서 나오는 대로 읊어 된 시를 가리킨다. ‘口占과 유사한 뜻이다.

* 市朝(시조) : 저자와 조정 또는 조정과 재야在野를 가리킨다. 명리名利를 다투는 곳을 가리킨다. 저자 또는 조정만을 가리키기도 한다.

* 喪亂(상란) : 재난이나 정쟁을 만나 죽다. 시세나 정국이 혼란한 때를 가리킨다. 시경詩經대아大雅운한雲漢에서 天降喪亂, 飢饉薦臻(하늘이 재난과 전란을 내려 / 몇 년씩 굶주림이 이어지고 있네)’이라고 했다.

​​* 三川은 두보의 가족이 머물러 있던 부주(鄜州)의 현() 이름으로 물줄기 셋이 합해지는 곳이라 해서 생긴 지명일 것인데 여기서 말하는 세 물줄기는 화수(華水)와 흑수(黑水), 그리고 낙수(洛水)를 가리킨다. 현재 지명은 산시성(陕西省) 부현(富縣) 서남쪽에 있는 삼천역(三川驛)이다.

* 7,8 두 구절은 남조(南朝) 때 양()과 진(), 그리고 수()나라에서까지 벼슬을 살았던 강총(江總)의 일화를 인용한 것인데 세 왕조에서 벼슬을 살고 고향으로 돌아갔을 때도 강총의 머리칼이 여전히 검었던 것을 부러워한 것이리라.

그러나 강총은 양나라에 이어 진()나라에서도 높은 벼슬을 살면서 정무를 돌보지 않고 진후주(陳後主)와 함께 연회에만 골몰하며 진후주에게 염정시(艶情詩)를 써 올려 사람들이 그를 압객(狎客)’이라 불렀던 망국의 시인이다.

 

 

 

산과바다 이계도

'*** 詩 *** > 詩聖 杜甫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휴(廢畦)  (0) 2020.12.30
우청(雨晴)  (0) 2020.12.29
우과소단(雨過蘇端)  (0) 2020.12.29
일백오일야대월(一百五日夜對月)  (0) 2020.12.29
억유자(憶幼子)  (0) 2020.12.2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