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희작화경가(戲作花卿歌) - 두보(杜甫)
장난삼아 지은 화경(花卿)의 노래
成都猛將有花卿(성도맹장유화경) : 성동의 용맹한 장군, 화경 장군이 있는데
學語小兒知姓名(학어소아지성명) : 말 배우기 시작한 어린아이도 그 이름 알고 있다네.
勇如決鶻風火生(용여결골풍화생) : 날랜 매처럼 용감하여 바람과 불이 일어나고
見賊唯多身始輕(견적유다신시경) : 보이는 적군이 많아야 몸이 비로소 가벼워진다네.
緜州副使著柘黃(면주부사 저자황) : 면주부사 단자장이 모반하여 누런 천자의 옷 입어
我卿掃除卽日平(아경소제즉일평) : 우리 화경 장군이 쓸어버리고 바로 평정했었네.
子璋髑髏血糢糊(자장촉루혈모호) : 단자장의 해골과 뼈에는 피가 흥건하여
手提擲還崔大夫(수제척환최대부) : 손으로 끌어 던져버리고 최 대부에게 돌아왔었네.
李侯重有此節度(이후중유차절도) : 이환은 다시 이곳 절도사로 돌아왔으나
人道我卿絶世無(인도아경절세무) : 사람들 우리 화경 장군을 세상에 다시없는 분이라 하네.
旣稱節世無天子(기칭절세무천자) : 세상에 다시없는 장군이라 하는데 천자는 없는 것이다.
何不喚取守東都(하불환취수동도) : 어째서 다시 불러 동도를 지키게 하지 않으시는가?
* 제목에 ‘戱作(희작)’이란 말을 쓴 것은 시의 마지막 두 구가 표면적으로는 화경(花卿)을 매우 칭찬한 듯하지 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기 때문이라 한다. 화경(花卿)은 화경정(花敬定)으로, 이 시에 나오는 사건의 대략은 다음과 같다.
상원(上元) 2년(761) 4월 재주자사(梓州刺史) 단자장(段子璋)이 반란을 일으켜 동천절도사(東川節度使) 이환(李奐)이 있던 면주(緜州)를 습격하여 스스로 양왕(梁王)이라 칭하고 황룡(黃龍)이라 개원(改元)하였으며 면주를 황룡부(黃龍府)로 개칭하고 백관(百官)을 설치하였다. 5월에 성도윤(成都尹)인 최광원(崔光遠)이 부하 장수 화경정(花敬定)을 이끌고 단자장을 공격하여 면주를 탈환하고 그를 잡아 목 베었다. 뒤에 화경정이 단자장을 죽이고 동촉(東蜀)을 크게 약탈하자, 천자는 최광원이 군사들을 제대로 단속하지 못한 것에 분노하여 그를 파면시켰다. 그러나 이 시에서는 화경정의 잘못은 말하지 않고 그가 용감하게 싸워 반란을 평정한 점을 주로 언급하였다.
* 学語小児(학어소아) : 말을 배우기 시작한 어린아이.
* 用如快鶻風火生(용여쾌골풍화생) : 《南史(남사)》에 조경종(曹景宗)이 친한 사람에게 이르기를 “내가 옛날 향리에 있을 적에 용처럼 잘 달리는 말을 타고 가니, 귀 뒤에서 바람이 나오고 콧구멍에서 불이 나오는 것을 느꼈는바, 이 즐거움이 사람으로 하여금 죽음을 잊게 한다.” 하였다.
* 快鶻(쾌골) : 날랜 송골매.
* 緜州副使著柘黃(면주부사저자황) : 면주부사(緜州副使)는 단자장(段子璋)을 가리키며 자황(柘黃)은 산뽕나무로 물들인 적황색(赤黃色)으로 수(隋)ㆍ당(唐) 이래 제왕(帝王)의 복색(服色)이 되었는바 곧 단자장이 면주에서 반란을 일으킨 것을 의미한다.
* 崔大夫(최대부) : 성도윤(成都尹)으로 있던 최광원(崔光遠)을 가리킨다. 이덕홍(李德弘)의 《艮齋集(간재집)》 속집 4권에 “면주부사(緜州副使)는 관직으로 말한 것이고 자장(子璋)은 이름으로 말한 것이니, 자연 중첩되지 않는다. 두시(杜詩)의 주(註)를 살펴보건대 ‘최광원(崔光遠)이 검남절도사(劍南節度使)가 되었는데, 이때 단자장(段子璋)이 반란을 일으키자, 동천절도사(東川節度使) 이환(李奐)이 패주하여 최광원에게 의지하였다. 최광원의 아장(牙將)인 화경(花卿)이 단자장을 토벌하여 베어 죽였다.’ 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화경이 손으로 단자장의 해골을 들어 최광원에게 주었다고 말한 것이다. 환(還)은 준다는 뜻이다.” 하였다.
* 李侯重有此節度(이후중유차절도) : 이후(李侯)는 동천절도사(東川節度使)로 있던 이환(李奐)을 가리킨다. 당시 이환(李奐)은 단자장(段子璋)의 공격을 받고 성도(成都)로 도망해 있다가 화경정(花敬定)이 반란을 평정하자, 다시 동천(東川)으로 돌아왔다. 이덕홍(李德弘)은 “이환(李奐)이 이미 패주하여 절도사의 직책을 잃었는데, 화경(花卿)이 단자장(段子璋)을 토벌하여 목을 베었으므로 이환이 다시 절도사의 직책을 보유하게 되었음을 말한 것이다.” 하였다.
* 人道我卿絶世無(인도아경절세무) : 절세무(絶世無)는 세상에 없는 장수라는 뜻으로, 이덕홍(李德弘)은 “화경이 이미 반란을 평정한 뒤에 공(功)을 믿고 포악하게 노략질하였는데 최광원이 이를 금지시키지 못하였다. 여기에서 말한 다시없는 장수라는 것은 화경을 비판하여 풍자한 것이다.” 하였다.
* 天子何不喚取守京都(천자하불환취수경도) : 경도(京都)는 낙양(洛陽)인데, 당시 안록산(安祿山)의 장수인 사사명(史思明)이 낙양을 점거하고 있었는바, 이것을 말하려는 것이 본의였으므로 제목에 희작(戱作)이라 하였다.
산과바다 이계도
'*** 詩 *** > 詩聖 杜甫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고삼십오첨사(寄高三十五詹事) (0) | 2020.12.21 |
---|---|
입주행(入奏行)/(入奏行贈西山檢察使竇侍禦) (0) | 2020.12.21 |
즉사(卽事) (0) | 2020.12.20 |
독열기간최평사십륙제(毒熱寄簡崔評事十六弟) (0) | 2020.12.20 |
칠월삼일(七月三日) (0) | 2020.1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