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국풍(國風)
국풍(國風, 国风)은?
『시경(詩經, 诗经)』 305편의 핵심 부분으로 15개 국가의 민간가요 160편의 시가를 말한다. 국풍은 당시 일반 백성들의 사상과 감정 등을 노래한 시가로 주로 백성들의 생활감정, 남녀 간의 애정이나 현실에 대한 비판과 원망을 표현하고 있다.
국풍은?
『시경』을 내용으로 분류하여 풍(風, 风), 아(雅), 송(頌, 颂)으로 구분할 때, 민간의 노래인 풍에 속한다.
국풍은?
주(周)의 통치를 받던 15개의 국가에서 유행하던 민간의 가요이다. 국풍의 국(國, 国)은 주남(周南), 소남(召南), 패(邶), 용(鄘), 위(衛, 卫), 왕(王), 정(鄭, 郑), 제(齊, 齐), 위(魏), 당(唐), 진(秦), 진(陳, 陈), 회(檜, 桧), 조(趙, 赵), 빈(豳) 등 15개의 제후국을 가리킨다.
이 제후국들은 장강 유역의 남쪽에 위치한 주남과 소남을 제외하고, 모두 주의 수도가 있었던 현재의 산시(陝西, 陕西)지역을 둘러싸고 있는 황하 유역의 북방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풍(風, 风)은 풍자의 의미 혹은 가요라는 뜻을 가지고 있었는데, 일반적으로는 가요라고 한다.
따라서 국풍이란 바로 여러 국가의 가요라는 의미가 된다. 국풍은 여러 국가의 민간가요이므로 우리의 아리랑처럼 각 시가의 저자를 알 수는 없다.
國風(국풍)의 구성
국풍에 수록된 민간가요인 시가들은 채시(采詩), 헌시(獻詩), 산시(刪詩) 등을 거쳐 수집 및 정리되었다고 한다. 채시란 주나라에서 채시관(采詩官)을 두어 지방 여러 국가들의 민간가요를 수집한 것을 말한다. 채시관을 둔 이유는 지방의 민간가요를 통하여 민심을 살피려고 했기 때문이다. 헌시란 지방의 제후나 사대부들이 천자나 귀족들에게 바친 시가들을 말한다. 산시란 수집된 시가들을 정리한 것을 말한다. 일부 문헌에서 공자가 정리했다고 하지만 명백한 근거는 없으며, 대략 음악을 관장하는 관청에서 여러 사람들이 정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국풍의 주요한 내용은 몇 가지로 축약된다. 우선, 백성들이 받은 압박이나 착취에 대한 반항정신을 표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위풍의 「큰 쥐(石鼠)」는 백성들을 착취하는 관리에 대한 원망을 드러내고 있다.
둘째로는 노역이나 병역으로 야기된 백성들의 고통을 표현하고 있다. 예를 들면, 당풍의 「너새의 깃털(鴇羽, 鸨羽)」은 노역과 병역으로 생긴 백성들의 피해를 폭로하고 있다.
셋째로는 통치 집단의 무도한 행위와 탐욕을 고발하고 있다. 예를 들면, 위풍의 「박달나무를 베다(伐檀)」는 관리들의 탐욕을 고발하고 있다. 또한 진풍의 「주지역의 숲속에서(株林)」는 통치 계급의 무도한 행위를 폭로하고 있다.
넷째로는 남녀의 애정을 노래하고 있다. 예들 들면, 『시경』의 첫 시가인 주남의 「꾸꾸 우는 물수리 새(關雎)」가 있는데, 군자와 요조숙녀 간의 사랑이야기이다. 진풍의 「갈대(蒹葭)」는 짝사랑을 표현하고 있다. 정풍의 「큰길을 따라가(遵大路)」나 「간교한 사내(狡童)」는 모두 남자에게 버림받은 여자의 안타까운 심정을 표현하고 있다.
국풍의 예술적 특징은 아래와 같다.
우선, 비유와 상징 및 직설법을 적절하게 운용하는 수사적인 기교를 가지고 있다. 둘째로는 생동하는 구어로 백성들의 사상과 감정을 꾸밈없이 그대로 노래한 시가이므로, 소박하고 진솔하다. 셋째로는 풍부하고 생동하는 언어구사와 장단의 구법 및 의태어와 의성어를 적절하게 운용하고 있다. 넷째로는 단어나 문장에 대한 반복, 같은 음을 가진 단어나 같은 운을 가진 단어의 중첩 등을 이용하여 리듬감이 주며 음악적인 효과를 잘 살리고 있다.
국풍은 일반 백성들이 현실생활에서 느끼는 희로애락을 잘 표현하고 있기에 서정문학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착취 받고 고통 받는 백성들이 사는 현실사회를 잘 반영하고 있는 시가창작이므로 중국문학사상 현실주의 시가 전통의 원류이자 현실주의문학의 시발점이 되었다.
산과바다 이계도
'詩經 > 國風'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 螽斯(종사)-詩經(시경) (0) | 2016.02.02 |
---|---|
04 樛木(규목)-詩經(시경) (0) | 2016.02.02 |
03 卷耳(권이)-詩經(시경) (0) | 2016.02.02 |
02 葛覃(갈담)-詩經(시경) (0) | 2016.02.01 |
01 關雎(관저)-詩經(시경) (0) | 2016.0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