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詩經/國風

138. 衡門(형문)-詩經 陣風(시경 진풍)

by 산산바다 2016. 2. 5.

산과바다

詩經(시경) HOME

 

 

 

國風(국풍)

十二. 陳風(진풍) 136~145

 

138 衡門(형문)

           초라한 집에는

 

衡門之下(형문지하) : 초라한 집에서라도

可以棲遲(가이서지) : 마음 편히 살 수 있다

泌之洋洋(필지양양) : 철철 넘쳐흐르는 샘물은

可以樂飢(가이락기) : 배고픔도 즐길 수 있다

 

豈其食魚(기기식어) : 어찌 물고기를 먹는데

必河之魴(필하지방) : 반드시 황하의 방어라야 하는가

豈其取妻(기기취처) : 어찌 아내를 취함에

必齊之姜(필제지강) : 반드시 제나라 강씨 딸이어야 하는가

 

豈其食魚(기기식어) : 어찌 물고기를 먹음에

必河之鯉(필하지리) : 반드시 황하의 잉어라야 하는가

豈其取妻(기기취처) : 어찌 아내를 취함에

必宋之子(필송지자) : 반드시 송나라 자씨 딸이어야 하는가

 

 

<>

衡門之下  可以棲遲  泌之洋洋  可以樂飢

이다. 衡門은 나무를 가로대어 문을 만든 것이다. 문의 깊은 것은 ···가 있거늘 이에 오직 衡木만을 두었다. 棲遲는 놀며 쉬는 것이다. 는 샘물이다. 洋洋은 물이 흐르는 모양이다.

이는 隱居하면서 自樂하여 구함이 없는 자의 노래이다. “衡門이 비록 淺陋하나 또한 가히 놀며 쉴 수가 있고 泌水로 비록 배부를 수는 없으나 또한 가히 玩樂하며 주림을 잊을 수 있다.”라 한 것이다.

 

豈其食魚  必河之魴  豈其取妻  必齊之姜

이다. 나라의 이다.

 

豈其食魚  必河之鯉  豈其取妻  必宋之子

이다. 나라의 이다.

衡門 三章이니, 章 四句이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