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詩經/國風

66. 君子于役(군자우역)-詩經王風(시경 왕풍)

by 산산바다 2016. 2. 3.

산과바다

詩經(시경) HOME

 

 

 

國風(국풍)

. 王風(왕풍) 065~074

 

066 君子于役(군자우역)

           임은 부역 나가고

 

君子于役(군자우역) : 임은 부역 나가고

不知其期(불지기기) : 돌아올 기약 없으니

曷至哉(갈지재) : 언제나 돌아오실까

雞棲于塒(계서우시) : 닭은 홰에 오르고

日之夕矣(일지석의) : 날이 저무니

羊牛下來(양우하래) : 양과 소도 내려 왔도다

君子于役(군자우역) : 임이 부역 가셨으니

如之何勿思(여지하물사) : 어찌 그립지 않으랴

 

君子于役(군자우역) : 임은 부역 떠나고

不日不月(불일불월) : 날도 달도 모르니

曷其有佸(갈기유괄) : 언제 다시 만날까

雞棲于桀(계서우걸) : 닭은 홰에 오르고

日之夕矣(일지석의) : 날이 저무니

羊牛下括(양우하괄) : 양과 소도 돌아왔는데

君子于役(군자우역) : 임이 부역 떠나시어

苟無飢渴(구무기갈) : 진실로 기갈이나 겪지 않았으면

 

 

<>

君子于役  不知其期  曷至哉  鷄棲于塒  日之夕矣  羊牛下來  君子于役  如之何勿思

이다. 君子婦人이 그 지아비를 지목한 말이다. 담장을 뚫고서 사는 것을 라 한다. 日夕이 먼저 돌아가고 소가 다음에 간다.

大夫가 오래도록 밖에 행역을 나가니 그 室家가 그리워하며 읊기를, “君子行役나감이여. 그 돌아올 기일을 알 수 없기로 소니 항차 지금은 또한 어느 곳에 이르렀을까. 닭은 횃대에서 살고, 날이 저물었으므로 소와 양이 내려오니 이는 畜産出入도 오히려 旦暮의 절도가 있거늘 行役나간 君子는 바로 휴식할 시간이 없으니 나로 하여금 어떻게 그리워하지 않게 하리요.”

 

君子于役  不日不月  曷其有佸  鷄棲于桀 日之夕矣  羊牛下佸  君子于役  苟無飢渴

이다. 은 모음이요, 은 말뚝이요, 은 이름이요, 는 우선이다.

君子行役을 오랫동안 나가서 日月로 헤아릴 수가 없고 또한 그 어느 때에 가히 와서 만날 수 있을지를 알지 못하니, 또한 거의 飢渴만을 면할 뿐이다. 이는 근심하기를 깊이하고 그리워하기를 간절히 함이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