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詩經/國風

60 芄蘭(환란)-詩經衛風(시경위풍)

by 산산바다 2016. 2. 3.

산과바다

詩經(시경) HOME

 

 

 

國風(국풍)

五 衛風(위풍) 055~064

 

060 芄蘭(환란)

           새박 덩굴

 

芄蘭之支(환란지지) : 새박 덩굴의 가는 줄기

童子佩觿(동자패휴) : 어린 아이가 뼈송곳을 차고 있다

雖則佩觿(수칙패휴) : 비록 그렇게 뼈송곳 차고 있어도

能不我知(능불아지) : 나를 알아보지 못하네

容兮遂兮(용혜수혜) : 폼 잡고 나대며

垂帶悸兮(수대계혜) : 드리운 띠 늘어뜨려 흔들흔들

 

芃蘭之葉(봉란지엽) : 새박 덩굴의 가는 줄기

童子佩韘(동자패섭) : 어린 아이가 뼈송곳을 차고 있다

雖則佩韘(수칙패섭) : 비록 그렇게 상아 깍지 차고 있어도

能不我甲(능불아갑) : 나를 가까이하지 아니 하네

容兮遂兮(용혜수혜) : 폼 잡고 나대며

垂帶悸兮(수대계혜) : 드리운 띠 늘어뜨려 흔들흔들

 

 

<>

芄蘭之支 童子佩觿  雖則佩觿  能不我知  容兮遂兮  垂帶悸兮

이다. 芄蘭은 풀이니 일명 蘿摩인데 덩굴로 자라고 자르면 흰 즙이 있어서 먹을 수 있다. 와 같다. 觿는 송곳이니, 코끼리뼈로 만든다. 맺힌 것을 푸는 것이니 成人이 차는 것이요, 童子가 수식은 아니다.

와 같으니 그 재주가 능히 족히 나보다 낫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徐緩하며 放肆한 모양이다. 는 띠 아래 드리운 모양이다.

 

芄蘭之葉  童子佩韘  雖則佩韘  能不我甲  容兮遂兮  垂帶悸兮

이다. 은 깍지이니, 코끼리 뿔로 만든다.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에 끼우니, 활시위를 당겨 활의 몸통을 여는 것이다. 鄭氏가 말하였다. “깍지이니, 바로 大射禮에 이른바 朱極三이 이것이다. 붉은 가죽으로 만드는데 이것을 사용하여 오른손의 食指將指·無名指에 씌우는 것이다.”라 하였다. 은 뛰어남이니 그 재주가 능히 나보다 뛰어나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