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國風(국풍)
九 魏風(위풍) 107~113
107 葛屨(갈구)
칡 신
糾糾葛屨(규규갈구) : 껍질 얽어 만든 칡 신으로
可以履霜(가이리상) : 서리라도 밟을 수 있겠다
摻摻女手(섬섬여수) : 곱고 가녀린 여인의 손으로
可以縫裳(가이봉상) : 옷을 짓게 할 수 있다
要之襋之(요지극지) : 허리대고 동정도 대면
好人服之(호인복지) : 남편은 그 옷을 입을 것이다
好人提提(호인제제) : 남편은 점잖아
宛然左辟(완연좌벽) : 겸손하게 왼쪽으로 비킨다
佩其象揥(패기상체) : 상아 족집게를 차고 있다
維是褊心(유시편심) : 나만 내 좁은 마음에
是以爲刺(시이위자) : 이렇게 불평해본다
<해>
糾糾葛屨 可以履霜 摻摻女手 可以縫裳 要之襋之 好人服之
興이다. 糾糾는 엉성하게 얽어서 寒凉하다는 뜻이다. 여름에는 葛屨를 신고 겨울에는 가죽신을 신는다. 삼삼은 纖纖과 같다. 女는 婦人이 廟에 뵙지 않았을 때의 칭호이니 부인을 취하여 석달만에 廟에 참배한 후에야 부인의 일을 맡는다. 要는 하복의 허리이요, 襋은 옷의 옷깃이다. 好人은 大人과 같음이다.
○ 魏나라 땅이 그 풍속이 儉嗇하며 褊急하였다. 그러므로 칡신발로 서리를 밟은 것으로 興을 일으켜서, 그 여자로 하여금 하의를 꿰매게 하고, 또 그 옷의 허리와 옷깃을 다스려서 드디어 입었음을 기롱하였다. 이 詩는 의심컨대 옷을 꿰매는 여자가 지은 것으로 보인다.
好人提提 宛然左辟 佩其象揥 維是褊心 是以爲刺
賦이다. 提提는 安舒하다는 뜻이다. 宛然은 사양하는 모양이니, 사양하며 피하는 자는 반드시 왼편에 있는다. 揥는 머리카락을 뽑는 것이니, 상아로 만든 것은 귀한 자의 장식이다. 그 사람이 이와 같다면 풍자할 만한 것이 없을듯한데 풍자한 것은 그 褊迫하고 急促하여 前章의 이른 바와 같다.
葛屨 二章이니, 一章은 六句요, 一章은 五句이다.
廣漢張氏가 말하였다. “夫子께서 그 사치하기보다는 차라리 검박하게 하라고 하셨으니 검박함이 비록 中을 잃은 것이나 본래는 惡德이 아니다. 그러나 검박함이 지나치면 吝嗇하고 迫隘함에 이르러 分毫의 사이를 計較하여 이익을 도모하는 마음이 급한 것이다. 「葛屨」`「汾沮洳」`「園有桃」 세 詩는 모두 急迫하며 瑣碎한 뜻을 말한 것이다.
산과바다 이계도
'詩經 > 國風'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9. 園有桃(원유도)-詩經 魏風(시경 위풍) (0) | 2016.02.04 |
---|---|
108. 汾沮洳(분저여)-詩經 魏風(시경 위풍) (0) | 2016.02.04 |
106. 猗嗟(의차)-詩經 齊風(시경 제풍) (0) | 2016.02.04 |
105. 載驅(재구)-詩經 齊風(시경 제풍) (0) | 2016.02.04 |
104. 敝笱(폐구)-詩經 齊風(시경 제풍) (0) | 2016.0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