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禪詩/禪師들의 禪詩

禪師의 禪詩 HOME

by 산산바다 2022. 10. 29.

산과바다

 

禪師禪詩 HOME

선사의 선시

 

 

禪詩 悟道頌 涅槃頌

禪師 禪詩 悟道頌 涅槃頌
1 鏡峰禪師(경봉선사)禪詩(선시)
    (1) 法語(법어) : 법어
    (2) 悟道頌(오도송) : 오도송
    (3) 茶詩(다시) : 차시
    (4) 夢中親見(몽중친견) : 꿈속에 鏡峰禪師(본인)를 뵈니
    (5) 禪詩(선시) 1 : 선시
    (6) 禪詩(선시) 2 : 선시
    (7) 紅桃花(홍도화) : 붉은 복사꽃
2 鏡巖應允(경암응윤)禪詩(선시)
    (1) 夢聽風鐸記(몽청풍탁기) : 꿈에 풍탁(風鐸) 소리를 듣고 적다
    (2) 送餽友人(송궤우인) : 벗이 보낸 物品
    (3) 雙溪室中(쌍계실중) : 쌍계사 禪室에서
    (4) 隱身庵詠雪(은신암영설) : 隱身庵에서 눈을 읊다
3 鏡虛惺牛(경허성우)禪詩(선시) (1)~(10)
    (1) 悟道頌(오도송) : 오도송
    (2) 涅槃頌(열반송) : 열반송
    (3) 伽倻山(가야산) : 가야산에서
    (4) 大光明體(대광명체) : 자성(自性), 불성(佛性)
    (5) 白雲(백운) : 흰 구름
    (6) 梵魚寺解夏日上元曉庵(범어사해하일상원효암) :  범어사 하안거 해제일 원효암에 올라
    (7) 霜葉風飛(상엽풍비) : 서리 맞은 落葉이 바람에 날린다.
    (8) 禪詩(선시) 1 : 선시
    (9) 禪詩(선시) 2 : 선시
    (10) 禪詩(선시) 3 : 선시
鏡虛惺牛(경허성우)禪詩(선시) (11)~20)
    (11) 詠蓮隱種樹栽花(영련은종수재화) : 절에서 나무 심고 꽃 재배하는 것을 읊다
    (12) 午睡(오수) : 낮잠
    (13) 偶吟(우음) 1 : 우연히 읊다
    (14) 偶吟(우음) 2 : 우연히 읊다
    (15) 偶吟(우음) 3 : 우연히 읊다
    (16) 偶吟(우음) 4 : 우연히 읊다
    (17) 偶吟(우음) 5 : 우연히 읊다
    (18) 偶吟(우음) 6 : 우연히 읊다
    (19) 偶吟(우음) 7 : 우연히 읊다
    (20) 偶吟(우음) 8 : 우연히 읊다
鏡虛惺牛(경허성우)禪詩(선시) (21)~(30)
    (21) 偶吟(우음) 9 : 우연히 읊다
    (22) 偶吟(우음) 10 : 우연히 읊다
    (23) 偶吟(우음) 11 : 우연히 읊다
    (24) 偶吟(우음) 12 : 우연히 읊다
    (25) 偶吟(우음) 13 : 우연히 읊다
    (26) 偶吟(우음) 14 : 우연히 읊다
    (27) 偶吟(우음) 15 : 우연히 읊다
    (28) 偶吟(우음) 16 : 우연히 읊다
    (29) 偶吟(우음) 17 : 우연히 읊다
    (30) 偶吟(우음) 18 : 우연히 읊다
鏡虛惺牛(경허성우)禪詩(선시) (31)~(42)
    (31) 偶吟(우음) 19 : 우연히 읊다
    (32) 偶吟(우음) 20 : 우연히 읊다
    (33) 偶吟(우음) 21 : 우연히 읊다
    (34) 遊隱仙洞(유은선동) : 仙洞에 숨어 지내며
    (35) 定慧寺(정혜사) : 정혜사
    (36) 題麻谷封(제마곡봉) : 麻谷寺에서 적어서
    (37) 題智異山靈源寺(제지리산영원사) : 지리산의 영원사에서
    (38) 題通度寺白蓮庵謹次喚惺先師韻(제 통도사백련암근차환성선사운) : 통도사 백련암의 환성선사님이 지으신 시에 次韻(차운)하여
    (39) 祖師一去(조사일거) : 조사께서 한번 다녀가시고
    (40) 坐熙川頭疊寺(좌희천두첩사) : 희천 두첩사에 앉아
    (41) 次採藥商趙氏韻(차채약상조씨운) : 채약상 조씨의 운을 차운하여
    (42) 通度寺白蓮庵 謹次喚惺老師韻 : 통도사 백련암에서 환성노사를 삼가 이어서 읊다
4 孤閑熙彦禪師(고한희언선사)禪詩(선시)
    (1) 涅槃頌(열반송)
5 括虛取如(괄허취여)禪詩(선시) (1)~(11)
    (1) 夢愁吟(몽수음) : 꿈속에서 근심을 읊다
    (2) 涅槃頌(열반송) : 열반송
    (3) 寒泉汲水(한천급수) : 찬 샘의 물을 길으며
    (4) 忌多路(기다로) : 갈림길을 꺼림
    (5) 答性心老宿(답성심로숙) : 性心 老宿에게 답하다
    (6) 捨衆(사중) : 大衆과 떠나며
    (7) 失路(실로) : 길을 잃다
    (8) 安心比丘求偈(안심비구구게) : 安心 비구가 偈頌을 구하기에
    (9) 一圓相(일원상) : 때때로
    (10) 風月(풍월) : 淸風明月 맑은 바람과 밝은 달
    (11) 雪淳大師求偈(설순대사구게) : 설순대사가 게송을 구하므로
6 九山禪師(구산선사)禪詩(선시) (1)~(3)
    (1) 禪詩(선시) : 선시
    (2) 悟道頌(오도송) : 오도송
    (3) 涅槃頌(열반송) : 열반송
7 金烏禪師(금오선사)禪詩(선시)
    (1) 悟道頌(오도송) : 오도송
8 奇巖法堅(기암법견)禪詩(선시) (1)~(11)
    (1) 伋師求語作句贈之(급사구어작구증지) : () 스님이 말()하므로 를 지어 주다
    (2) 無牛(무우) : 소가 없다
    (3) 賽仁魚山求語(새인어산구어) : 魚山스님이 말()을 구하므로 주다
    (4) 宿共各飛(숙공각비) : 모여 자고 흩어져 날아
    (5) 示衆(시중) : 大衆에게 보이다
    (6) 咏楓(영풍) : 단풍을 노래하다
    (7) 偶吟(우음) : 우연히 읊다
    (8) 吳翁(오옹) : 다시 吳翁에게
    (9) 自代心贈身形(자대심증신형) : 혼자 마음을 代身해서 몸에게 주다
    (10) 初秋有感(초추유감) : 가을에 느낌이 있어
    (11) 臨終偈(임종게) : 임종계
9 懶翁禪師(나옹선사)禪詩(선시) (1)~(10)
    (1) 禪詩(선시) : 선시
    (2) 警世(경세) : 世人警戒를 위하여
    (3) 孤舟(고주) : 일엽편주(一葉片舟)
    (4) 大圓(대원) : 큰 둥근 것
    (5) 無聞(무문) : 듣는바가 없음
    (6) 蚊子(문자) : 모기
    (7) 發弘誓六大願(발홍서륙대원) : 육대원을 크게 발하라
    (8) 百衲歌(백납가) : 불교가요(백 번 기운 누더기 노래)
    (9) 山居(산거) : 산에 살며 其一
    (10) 山居(산거) : 산에 살며 其二
懶翁禪師(나옹선사)禪詩(선시) (11)~(20)
    (11) 山居(산거) : 산에 살며 其三
    (12) 山居(산거) : 산에 살며 其四
    (13) 山居(산거) : 산에 살며 其五
    (14) 雪嶽(설악) : 눈 덮인 봉우리
    (15) 深谷(심곡) : 깊은 골짜기
    (16) 翫珠歌(완주가) : 불교가요
    (17) 一椀茶(일완차) : 한 잔의 차
    (18) 摘茶(적차) : ()의 싹을 따냄
    (19) 歎世(탄세) : 세상을 탄식함
    (20) 土窟歌(토굴가) : 토굴의 노래
懶翁禪師(나옹선사)禪詩(선시) (21)~(27)
    (21) 旱雨(한우) : 가뭄에 비
    (22) 偈頌(게송). 1
    (23) 偈頌(게송). 2 (無失)
    (24) 偈頌(게송). 3. (念佛)
    (25) 浮雲(부운) : 뜬구름
    (26) 悟道頌(오도송) : 오도송
    (27) 涅槃頌(열반송) : 열반송
10 樂玹(낙현)禪詩(선시) (1)~(3)
    (1) 題大芚寺(제대둔사) : 大芚寺하다
(2) 題七佛禪院四首(제칠불선원사수) 2 : 칠불사 칠불선원
    (3) 題七佛禪院四首(제칠불선원사수) 4 : 칠불사 칠불선원
11 大覺國師義天(대각국사의천)禪詩(선시) (1)~(10)
    (1) 感懷示徒 2(감회시도) : 感懷學徒에게 보임 其一
    (2) 感懷示徒 2(감회시도) : 感懷學徒에게 보임 其二
    (3) 講南山律鈔次偶成一絶 : 南山律鈔(남산율초)를 강의하던 차에 偶然히 한 句節 이룸
    (4) 孤大山景福寺飛來方丈, 禮普德聖師影 : 孤大山 景福寺의 비래방장에서 普德聖師影幀(영정)禮拜
    (5) 寄玄居士(기현거사) : 李資玄居士에게 부침
    (6) 到盤龍山延福寺, 禮普德聖師飛房舊址 : 반용산 延福寺에 이르러 普德聖師飛來方丈 옛 터에 禮敬
    (7) 讀海東敎迹(독해동교적) : 해동 교적(海東 敎迹)을 읽고
    (8) 某承中使至, 奉傳王旨 : 義天은 사신이 왕명을 받들어 其一
    (9) 某承中使至, 奉傳王旨 : 義天은 사신이 왕명을 받들어 其二
    (10) 某承中使至, 奉傳王旨 : 義天은 사신이 왕명을 받들어 其三
大覺國師義天(대각국사의천)禪詩(선시) (11)~(20)
    (11) 門人慧宣大師, 以住持告別, 因以贈之 :: 門人 慧宣大師住持가 되어 作別하므로 지어 줌
    (12) 送道生僧統, 歸俗離寺 :: 俗離寺로 돌아가는 道生僧統을 보내며
    (13) 送門人樂眞大師, 歸奉先寺 :: 奉先寺로 돌아가는 門人 樂眞大師를 보내며
    (14) 示新授大選大德 :: 새로 大選에서 大德을 받은 이에게 보임
    (15) 厭髑舍人(염촉사인) : 염촉사인의 묘
    (16) 留題智異山華嚴寺(유제현화사) :: 지리산 華嚴寺에 머물며 지음
    (17) 依海東疏, 講金剛經, 慶而有作 :: 해동소에 의해 '金剛經'講說하고 祝賀하여 지음
    (18) 以圓覺大懺寄三角山玄道人 :: 원각대참회(圓覺大懺悔)三角山 玄道人에게 부침
    (19) 因母后喪, 到西都, 登永明寺浮碧寮 :: 母后(모후)國喪으로 西京에 이르러 永明寺 浮碧寮(부벽료)에 올라
    (20) 自誡(자계) : 스스로 警誡(경계)
大覺國師義天(대각국사의천)禪詩(선시) (21)~(33)
    (21) 竊見尹相公灌, 擬常上人結杜, 叙意之什, 不勝感幸, 因而和酬 :: 尹瓘 相公常 上人結社에 비기어 뜻을 담은 를 보고 多幸하고 感謝함을 이기지 못해 和答하여 지음
    (22) 贈法王寺華嚴講主利上人二首 :: 法王寺 華嚴講主 利 上人에게 其一
    (23) 贈法王寺華嚴講主利上人二首 : 法王寺 華嚴講主 利 上人에게 其二
    (24) 聽樂眞大師講(청악진대사강) : 樂眞大師의 강의를 듣고
    (25) 柒長寺禮慧炤國師影 :: 칠장사에서 慧炤國師影幀(영정)禮拜
    (26) 學徒中有寫吾眞者佳其筆妙因而示之. :: 學徒 中에 나의 眞影을 그린 이가 있는데 그 筆妙를 아름답게 여겨 그로 해 보임
    (27) 學院書事(학원서사) : 學院에서 일삼아 쓰다
    (28) 海印寺退居有作四首 : 海印寺에 물러나 지음 其一
    (29) 海印寺退居有作四首 : 海印寺에 물러나 지음 其二
    (30) 海印寺退居有作四首 : 海印寺에 물러나 지음 其三
    (31) 海印寺退居有作四首 : 海印寺에 물러나 지음 其四
    (32) 華嚴寺禮緣起祖師影 : 華嚴寺에서 緣起祖師 影幀禮拜
    (33) 孝臺(효대) : 智異山 華嚴寺
12 大鑑國師(대감국사)禪詩(선시) (1)~(2)
    (1) 偈頌(게송) : 게송
    (2) 文殊寺(문수사) : 문수사
13 東溪敬一(동계경일)禪詩(선시) (1)~(8)
    (1) 萬法歸一(만법귀일) : 온갖 은 한곳으로 돌아간다.
(2) 示磧川寺湖長老(시적천사호장로) : 적천사의 장노에게 보임
    (3) 詠雲假山(영운가산) : 구름이 만든 가짜 을 노래하다.
    (4) 詠月(영월) : 밝은 달을 즐긴다.
    (5) 偶吟(우음) 1. : 우연히 읊다.
    (6) 偶吟(우음) 2. : 우연히 읊다.
    (7) 次客嘲太虛堂韻(차객조태허당운) : 太虛堂을 조롱한 객의 次韻하다.
    (8) 涅槃頌(열반송) : 열반송
14 滿空禪師(만공선사)禪詩(선시) (1)~(3)
    (1) 悟道頌(오도송) : 오도송
    (2) 傳法偈(전법게) : 후계자에게 법을 전함
    (3) 滿空禪師涅槃頌을 남기지 않았다.
15 卍雨禪師(만우선사)禪詩(선시)
    (1) 山中(산중) : 산속에서
16 明詧(명찰)禪詩(선시) (1)~(4)
    (1) 重遊淸平寺(중유청평사) : 다시 놀러온 청평사
    (2) 淸平寺仙洞(청평사선동) : 청평사의 仙洞
    (3) 詧幻寂堂小祥文在淸平寺(찰환적당소상문재청평사) :: 환적당 소상 제문은 淸平寺에 있다.(살필 찰)
    (4) 臨終偈(임종게) : 임종계
17 無竟孤松(무경고송)禪詩(선시) (1)~(5)
    (1) 山寺初昏(산사초혼) : 산사의 황혼
(2) 隨流(수류) : 흐름 따라
    (3) 月溪(월계) : 골짜기의 달
    (4) 往復無題(왕복무제) : 가고 오너라.
    (5) 涅槃頌(열반송) : 열반송
18 默菴最訥(묵암최눌)禪詩(선시) (1)~(2)
    (1) 玩春(완춘) : 봄을 희롱하다
    (2) 禪詩(선시) : 선시
19 白谷處能(백곡처능)禪詩(선시) (1)~(12)
    (1) 感興(감흥) : 마음에 깊이 느끼어 일어나는 흥취
    (2) 敬次李晋州草堂韻(경차이진주초당운) : 이진주의 초당시 운에 따라 삼가 시를 짓다
    (3) 九言賦閑興(구언부한흥) : 九言으로 한가한 을 읊음
    (4) 短歌行(단가행) : 짧은 노래를 부르다
    (5) 宿田家(숙전가) : 農家에서 하룻밤 지내며
    (6) 白馬江懷古(백마강회고) : 백마강 옛 일을 그리며
    (7) 梨花(이화) : 배꽃
    (8) 幽居雜興(유거잡흥) : 그윽한 곳에 살면서
    (9) 臨水臺(임수대) : 임수대에서
    (10) 壺亭(호정) : 호정 鄭斗源의 초당에서
    (11) 題盤石(제반석) : 盤石에 대하여 몇 자 적는다.
    (12) 悟道頌(오도송) : 出山(출산)
20 白峯居士(백봉거사)禪詩(선시) (1)~(2)
    (1) 悟道頌(오도송) : 오도송
    (2) 涅槃頌(열반송) : 열반송
21 栢庵性聰(백암성총)禪詩(선시) (1)~(10)
    (1) 途中春暮(도중춘모) : 도중에 봄날은 저물어 가고
    (2) 挽人(만인) : 죽은 이를 哀悼하며
    (3) 暮春偶吟(모춘우음) : 봄을 보내며
    (4) 放觸蛛網蝶(방촉주망접) : 거미줄에 걸린 나비를 놓아주며
    (5) 別學天上人(별학천상인) : 學天 上人과 이별하며
    (6) 病中吟(병중음) : 병중에 읊다.
    (7) 送春(송춘) : 봄을 보내며
    (8) 孰聆天外步虛聲(숙령천외보허성) : 밤에 梵唄(범패) 소리를 들으며. 彩英 魚山에게 주었다
    (9) 漁父(어부) : 어부
    (10) 入山(입산) : 산에 들어
栢庵性聰(백암성총)禪詩(선시) (11)~(16)
    (11) 題暉上人房(제휘상인방) : () 스님의 방
    (12) 次庵師韵(차암사운) : () 스님의
    (13) 秋夜獨坐(추야독좌) : 가을밤 홀로 앉아
    (14) 秋懷(추회) : 가을철의 회포
    (15) 春晴(춘청) : 맑게 갠 봄날
    (16) 春興(춘흥) : 봄날의 흥취
22 白雲景閑(백운경한)禪詩(선시) (1)~(10)
    (1) 居山 (二十五首) : 산에 살며 (25)
    (2) 寄懶翁和尙入金剛山(기나옹화상입금강산) : 金剛山에 들어가는 懶翁和尙께 드림
    (3) 悼亡人(도망인) : 죽은 아내를 생각하여 슬퍼함
    (4) 無心歌(무심가) : 무심가
    (5) 答鄭偰宰臣詩韻(답정설재신시운) : 재상 정설(鄭偰)
    (6) 復答請法以五言示之(부답청법이오언시지) : 하기에 다시 五言詩
    (7) 思大和尙(사대화상) : 사대화상
    (8) 謝道號白雲(사도호백운) : 白雲이란 感謝하며
    (9) 四威儀頌(사위의송) : 다니고, 머물고, 앉고, 눕는 行動에서 修行者로서 지켜야 할 法度
    (10) 偈頌(게송) : 부처의 공덕을 찬미하는 노래
  白雲景閑(백운경한)禪詩(선시) (11)~(20)
    (11) 小艶詩(소염시) : 閨房에서 애만 태우는 女人의 마음
    (12) 送人洛迦山(송인락가산) : 洛迦山으로 가는 사람을 보내면서
    (13) 呈似指空(정사지공) : 지공화상께 드림
    (14) 呈似指空(정사지공) : 지공화상께 드림
    (15) 呈似指空(정사지공) : 지공화상께 드림
    (16) 呈似指空(정사지공) 十一 : 지공화상께 드림
    (17) 呈似指空(정사지공) 十二 : 지공화상께 드림
    (18) 又作十二頌(우작십이송) : 12을 짓다.
    (19) 出州廻山(출주회산) : 다른 地方에 갔다가 으로 돌아오며
    (20) 臨終揭(임종게) : 임종게
23 浮雪居士(부설거사)禪詩(선시) (1)~(6)
    (1) 八竹詩(팔죽시) : 여덟 개의 자 운으로
    (2) 四虛浮偈(사허부게) : 四首 끝이 虛浮浮(虛望한 일)라서 其一
    (3) 四虛浮偈(사허부게) : 四首 끝이 虛浮浮(虛望한 일)라서 其二
    (4) 四虛浮偈(사허부게) : 四首 끝이 虛浮浮(虛望한 일)라서 其三
    (5) 四虛浮偈(사허부게) : 四首 끝이 虛浮浮(虛望한 일)라서 其四
    (6) 涅槃頌(열반송) : 열반송
24 浮休善修(부휴선수)禪詩(선시) (1)~(10)
    (1) 感懷(감회) 1 : 지난일의 회포
    (2) 感懷(감회) 2 : 지난일의 회포
    (3) 警世(경세) : 世上사람을 警戒시킴
    (4) 寄松雲(기송운) : 松雲에게 드림
    (5) 挽松雲章(만송운장) : 松雲入寂哀悼하며
    (6) 望鄕(망향) : 고향을 그리워함
    (7) 無餘物(무여물) : 남길 물건 없다
    (8) 別天池(별천지) : 天池와 헤어지다
    (9) 病吟(병음) : 병중에 읊다.
    (10) 山居(산거) : 산속에서 머물며 삶
浮休善修(부휴선수)禪詩(선시) (11)~(20)
    (11) 山居雜詠(산거잡영) : 산에 살며 이저것 읊다.
    (12) 山中閑詠(산중한영) : 山中에서 閑暇로이 읊다
    (13) 宿空林寺(숙공림사) : 공림사에 묵으며
    (14) 一夢身(일몽신) : 꿈속의 한 몸
    (15) 一禪和求語(일선화구어) : 禪師에게
    (16) 一片閑雲過碧空(일편한운과벽공) : 한 조각 한가로운 구름 碧空을 지나가네.
    (17) 題雙溪寺(제쌍계사) : 雙溪寺에서
    (18) 嘲士大夫(조사대부) : 士大夫嘲弄(조롱)
    (19) 贈敬倫禪子(증경륜선자) : 敬倫 스님에게
    (20) 贈某禪子(증모선자) : 어떤 禪僧에게
浮休善修(부휴선수)禪詩(선시) (21)~(30)
    (21) 贈淳上人(증순상인) : 淳 上人에게 드림
    (22) 贈巖禪伯(증암선백) : 巖 禪伯께 드림
    (23) 贈照禪和(증조선화) : 스님에게
    (24) 贈峻上人(증준상인) : () 上人에게
    (25) 贈和法師(증화법사) : 和 法師에게 드림
    (26) 贈環師(증환사) : 스님께
    (27) 次覺林懸板韻(차각림현판운) : 覺林寺 懸板에 있는 을 따라
    (28) 次寄金生員(차기김생원) : 金 生員이 보낸
    (29) 次閔秀才(차민수재) : 閔秀才에게
    (30) 次邊處士山居韻(차변처사산거운) : 에 사는 邊 處士에게
浮休善修(부휴선수)禪詩(선시) (31)~(40)
    (31) 次山影樓題(차산영루제) : 山影樓에서
    (32) 次梁生員(차양생원) : 梁 生員에게
    (33) 次右慶樓韻(차우경루운) : 右慶樓에서
    (34) 次月精寺韻(차월정사운) : 月精寺에서
    (35) 次李相韻贈文道人(차이상운증문도인) : 文 道人에게
    (36) 次諸賢避亂書懷(차제현피난서회) : 피난 가는 여러 선비들을 보고 懷抱를 적다
    (37) 次鍾峰(차종봉) : 鍾峰 스님에게
    (38) 次熙師韻(차희사운) : 스님에게
    (39) 天地心(천지심) : 하늘과 땅의 마음과 나의 한마음
    (40) 秋日感懷(추일감회) : 가을날의 감회
浮休善修(부휴선수)禪詩(선시) (41)~(46)
    (41) 吹笛峰(취적봉) : 쥐적봉
    (42) 雉岳山上院庵(치악산상원암) : 치악산 上院庵에서
    (43) 贈華禪伯(증화선백) : 華 禪伯에게 드림
    (44) 紅流洞(홍류동) : 홍류동
    (45) 黃昏聞喚聲(황혼문환성) : 黃昏에 사람 부르는 소리 듣고
    (46) 涅槃頌(열반송) : 열반송
25 四溟惟政(사명유정)禪詩(선시) (1)~(10)
    (1) 我本靑山鶴(아본청산학) : 나는 靑山인데
임진왜란 때 四溟大師日本 德川家康가 나눈 問答詩
    (2) 降仙亭(강선정) : 신선이 내려와 놀던 亭子
    (3) 癸未秋關西途中(계미추관서도중) 1 : 계미년 가을 關西로 가는 途中
    (4) 癸未秋關西途中(계미추관서도중) 2 : 계미년 가을 關西로 가는 途中
    (5) 癸未秋關西途中(계미추관서도중) 3 : 계미년 가을 關西로 가는 途中
    (6) 過邙山(과망산) : 망산을 지나며
    (7) 過溟洲(과명주) : 溟洲를 지나며
    (8) 過西都(과서도) 1 : 西都를 지나며
    (9) 過西都(과서도) 2 : 西都를 지나며
    (10) 過西都(과서도) 3 : 西都를 지나며
四溟惟政(사명유정)禪詩(선시) (11)~(20)
    (11) 過善竹橋(과선죽교) : 선죽교를 지나며
    (12) 過震川(과진천) : 震川을 지나면서
    (13) 過咸陽(과함양) : 함양을 지나며
    (14) 歸鄕(귀향) : 고향으로 돌아옴
    (15) 己丑橫罹逆獄(기축횡리역옥) : 己丑年에 엉뚱하게 逆獄에 걸려들다
    (16) 寄春州刺史(기춘주자사) : 春州 刺史에게
    (17) 謹奉洛中諸大宰乞渡海詩(근봉락중제대재걸도해시) : 日本으로 使臣을 떠나면서 서울에서 여러 大臣들을 모시고
    (18) 鹿門長川別門下諸公(록문장천별문하제공) : 鹿門長川에서 門下諸公離別하다
    (19) 登香爐峯(등향로봉) : 香爐峯에 오르며
    (20) 萬瀑洞(만폭동) : 만폭동에서
四溟惟政(사명유정)禪詩(선시) (21)~(30)
    (21) 東林寺秋夕夜半(동림사추석야반) : 동림사 추석날 밤에
    (22) 謾書(만서) : 아무렇게나 쓰다
    (23) 鳴沙行(명사행) : 鳴沙로 가면서
    (24) 別松庵(별송암) : 松庵離別하며
    (25) 別松庵陪尊祖西行(별송암배존조서행) : 송암이 尊祖를 모시고 西行함을 離別하다
    (26) 奉錦溪沈明府(봉금계침명부) : 錦溪 沈明府에게 드림
    (27) 奉全羅防禦使元長浦(봉전라방어사원장포) : 전라 방어사 元長浦에게 드림
    (28) 浮碧樓用李翰林韻 : 부벽루에서 李翰林을 따서
    (29) 寫懷(사회) : 생각을 쓰다
    (30) 山居集句四. 1 : 에 살며 集句四首
四溟惟政(사명유정)禪詩(선시) (31)~(40)
    (31) 山居集句四. 2 : 에 살며 集句四首
    (32) 山居集句四. 3 : 에 살며 集句四首
    (33) 山居集句四. 4 : 에 살며 集句四首
    (34) 山中(산중) : 산속에서
    (35) 西風(서풍) : 서풍
    (36) 送昱山人還海西(송욱산인환해서) : 昱山人을 보내고 西海로 돌아가다
    (37) 酬李公求語(수리공구어) : 李公이 한 마디 말을 하기에 하다
    (38) 宿般若寺(숙반약사) : 반야사에서 묵으며
    (39) 宿佛頂庵(숙불정암) : 불정암에 묵으며
    (40) 十王洞(시왕동) : 시왕동
四溟惟政(사명유정)禪詩(선시) (41)~(50)
    (41) 嶺南金烏下臥病憶雲中寸調(령남금오하와병억운중촌조) : 영남 金烏山 아래서 으로 누운 雲中 寸調(촌조)를 생각하며
    (42) 己亥秋奉別邊注書(기해추봉별변주서) : 1599가을 邊注書와 이별하며
    (43) 在南原驛(재남원역) : 남원 兵營에 있으면서
    (44) 在東溟舘云云二(재동명관운운이) : 東溟館에서
    (45) 在馬島館庭菊大發感懷(재마도관정국대발감회) : 대마도 여관에서 뜰에 菊花가 가득 핀 것을 보고
    (46) 在本法寺除夜(재본법사제야) : 本法寺의 섣달 그믐날 밤
    (47) 題降仙亭(제강선정) : 降仙亭에 쓰다
    (48) 在竹島有一儒老譏山僧不得停息以拙謝之 : 竹島에 있을 때
    (49) 題降仙亭(제강선정) : 강선정에 쓰다
    (50) 贈蘭法師(증란법사) : 蘭 法師에게 주다
四溟惟政(사명유정)禪詩(선시) (51)~(60)
    (51) 贈白蓮寺和尙(증백련사화상) : 白蓮寺 스님에게
    (52) 贈浮休子(증부휴자) : 浮休子<浮休善修>에게
    (53) 贈洛陽士(증낙양사) : 洛陽 선비에게
    (54) 贈默山人(증묵산인) : 默 山人에게 드림
    (55) 贈白蓮僧(증백련승) 1 : 白蓮菴 스님에게
    (56) 贈白蓮僧(증백련승) 2 : 白蓮菴 스님에게
    (57) 贈成秀才(증성수재) : 성수재에게 주다.
    (58) 贈承兄(증승형) : 승형에게 주다.
    (59) 贈靈雲長老(증령운장로) : 靈雲 長老에게 주다.
    (60) 贈圓長老(증원장로) : 圓 長老에게 주다.
四溟惟政(사명유정)禪詩(선시) (61)~(73)
    (61) 贈閑長老(증한장로) : 閑 長老에게 주다.
    (62) 贈海運(증해운) : 海運에게 주다.
    (63) 贈行脚僧(증행각승) : 行脚僧에게 주다.
    (64) 贈許生(증허생) : 許均(허균)에게 주다.
    (65) 眞歇臺(진헐대) : 진헐대
    (66) 集句(집구) 1 : 옛사람들의 글귀를 모아 새 를 만듦
    (67) 集句(집구) 2 : 옛사람들의 글귀를 모아 새 를 만듦
    (68) 次樂天堂(차악천당) : 樂天堂次韻하여
    (69) 次鄭子韻(차정자운) : 정자의 운을 빌어
    (70) 淸平寺西洞(청평사서동) : 청평사 서쪽 골짜기
    (71) 靑鶴洞秋坐(청학동추좌) : 靑鶴洞 가을에 앉아서
    (72) 秋軒夜坐(추헌야좌) : 가을밤 난간에 앉아서
    (73) 出峽憩江花石(출협게강화석) : 협곡을 나와 江花石에서 쉬다
26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禪詩(선시) (1)~(10)
    (1) 賈島(가도) : 人名 당나라 시인
    (2) 覺行大師(각행대사) : 각행대사
    (3) 感興集古詩(감흥집고시) : 感興을 모은 古詩
    (4) 回望淚沾巾(회망루첨건) :  돌아보며 手巾에 눈물 적시네.
    (5) 講圓覺(강원각) : 圓覺經講論하면서
    (6) 顧影有感(고영유감) : 물에 비친 모습을 보고
    (7) 讀罷楞嚴(독파능엄) : 능엄경을 읽고 읊은 시
    (8) 哭金居士女(곡김거사녀) : 金居士 女를 곡하며
    (9) 哭亡僧(곡망승) : 죽은 중을 하며
    (10) 過柯亭有感(과가정유감) : 柯亭을 지나며 느끼는 感懷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禪詩(선시) (11)~(20)
    (11) 過古寺(과고사) : 옛 절을 지나며
    (12) 過古戰場(과고전장) : 戰爭터를 지나며
    (13) 過法光寺(과법광사) : 法光寺를 지나며
    (14) 過鳳城聞午鷄(과봉성문오계) : 鳳城을 지나다가 한낮의 닭 울음소리를 듣고
    (15) 過扶餘(과부여) : 부여를 지나며
    (16) 過尹上舍舊宅(과윤상사구댁) : 尹 上舍의 옛집을 지나며
    (17) 過邸舍聞琴(과저사문금) : 거문고 소리 들리는 酒幕집 지나며
    (18) 過湖寺(과호사) : 호수가의 절을 지나며
    (19) 關東行(관동행) : 關東의 노래
    (20) 曲池(곡지) : 굽은 못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禪詩(선시) (21)~(30)
    (21) 金剛山彌勒峯偶吟(금강산미륵봉우음) : 금강산 미륵봉에서 우연히 읊다.
    (22) 金剛山百塔洞(금강산백탑동) : 금강산의 백탑동
    (23) 寄蓬萊子(기봉래자) : 봉래자에게 드리는
    (24) 寄新庵主人新庵禪子(기신암주인신암선자) : 신암의 主人 신암의 禪子에게
    (25) 洛山懷海禪子(낙산회해선자) : 낙산 회해선자에게
    (26) 洛中卽事(낙중즉사) : 낙양에서 생긴 일
    (27) 南溟夜泊(남명야박) : 남쪽바다(위 배에서) 밤에 묶으며
    (28) 南行卽事(남행즉사) : 쪽 지방을 다니다가
    (29) 內隱寂(내은적) : 내은적 암자에서
    (30) 內隱寂覺禪和出山因書警之(내은적각선화출산인서경지) : 산을 나서는 內隱寂庵스님에게 글을 써서 경계함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禪詩(선시) (31)~(40)
    (31) 老病吟(노병음) : 늙고 들고 보니
    (32) 茶禪一如(다선일여) : 은 하나이다.
    (33) 茶詩(다시) : 한 잔의 차
    (34) 達摩讚(달마찬) 1 : 達摩를 기리다.
    (35) 達摩讚(달마찬) 2 : 達摩를 기리다.
    (36) 答南海翁(답남해옹) : 南海의 늙은이에게 하다
    (37) 途中有感(도중유감) : 길을 가다가 생각나서
    (38) 頓敎訟(돈교송) : 돈교송
    (39) 杜鵑(두견) : 소쩍새
    (40) 頭流山內隱寂庵(두류산내은적암) : 두류산 내은적암에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禪詩(선시) (41)~(50)
    (41) 登高賞秋(등고상추) : 높이 올라 가을을 玩賞(완상)하다
    (42) 登檀君臺(등단군대) : 단군대에 올라
    (43) 登白雲山(등백운산) : 白雲山에 올라
    (44) 登天王嶺(등천왕령) : 天王嶺에 올라
    (45) 登香爐峯(등향로봉)/發香爐峰(발향로봉) : 香爐峯에 올라
    (46) 望高臺(망고대) : 高臺에서 바라보니
    (47) 夢覺(몽각) : 꿈에서 깨어나
    (48) 夢過李白墓(몽과리백묘) : 꿈에 李太白墓를 들렸었다.
    (49) 妙峰(묘봉) : 묘봉
    (50) 朴上舍草堂(박상사초당) : 박상사의 초당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禪詩(선시) (51)~(60)
    (51) 訪松間隱士(방송간은사) : 솔밭속의 은사를 찾아가
    (52) 訪謫客(방적객) : 流配 간 사람을 찾아 가서
    (53) 法王峯(법왕봉) : 법왕봉
    (54) 璧泉禪子(벽천선자) : 벽천선자에게
    (55) 別小師(별소사) : 이별
    (56) 蓬菜草堂(봉채초당) : 봉채 초당
    (57) 佛日菴(불일암) : 불일암
    (58) 謝鑑禪子來訪(사감선자래방) : 감선자의 내방에 감사하며
    (59) 謝金信士來訪(사김신사래방) : 金信士의 방문을 感謝하며
    (60) 謝送瓜(사송과) : 오이를 보내줌을 感謝하며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禪詩(선시) (61)~(70)
    (61) 謝行雲禪子之訪(사행운선자지방) : 行雲 禪子의 방문에 感謝하며
    (62) 四也亭(사야정) : 사야정
    (63) 題一禪庵壁(제일선암벽) : 一禪庵
    (64) 三夢詞(삼몽사) : 세 꿈 이야기
    (65) 上郭戎帥(상곽융수) : 郭再禑 장군께 보냄
    (66) 上敎師(상교사) : 가르치는 先生에게 올림
    (67) 上玉溪(상옥계) : 玉溪者에게
    (68) 上完山盧府尹書(상완산로부윤서) : 完山 盧府尹께 올리는 글
    (69) 上滄海(상창해) : 창해에게 올리다
    (70) 賞秋(상추) : 가을을 즐기다.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禪詩(선시) (71)~(80)
    (71) 賞春(상춘) : 봄을 즐기다.
    (72) 傷春(상춘) : 봄에 마음이 들뜸 
    (73) 賽西山老人求懷(새서산노인구회) : 서산노인이 회포를 구하네.
    (74) 書退溪卷(서퇴계권) : 退溪先生에 쓰다
    (75) 西湖(서호) : 항저우에 있는 호수
    (76) 書懷(서회) : 懷抱를 적다
    (77) 惜春(석춘) : 가는 봄이 아쉬워
    (78) 禪敎釋(선교석) : 禪敎의 풀이
    (79) 宣祖大王賜 西山大師墨竹詩(선조대왕사 서산대사묵죽시) : 宣祖大王이 내린 墨竹에 붙이는
    (80) 性訥禪子(성눌선자) : 性訥(성눌) 禪子에게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禪詩(선시) (81)~(90)
    (81) 性雲長老(성운장로) : 성운장로에게
    (82) 送鑑禪子之雲遊(송감선자지운유) : 구름처럼 떠나는 鑑 禪子를 보내며
    (83) 送明禪子(송명선자) : 明 禪子를 보내며
    (84) 送普願上人(송보원상인) : 普願스님을 떠나보내며
    (85) 送蟾禪子之鑑湖(송섬선자지감호) : () 禪子鑑湖로 보내며
    (86) 松巖道人(송암도인) : 松巖道人에게
    (87) 送英庵主出山(송영암주출산) : 庵子主人 英을 나서는 것을 보내며
    (88) 送圓上人(송원상인) : 圓 上人을 보내며
    (89) 送張萬戶應壁(송장만호응벽) : 만호 장응벽을 보내며
    (90) 送芝師(송지사) : () 스님을 보내며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禪詩(선시) (91)~(100)
    (91) 酬天敏禪子(수천민선자) : 天敏 禪子에게 하다
    (92) 宿瀛洲(숙영주) : 瀛洲(영주)에서 자다
    (93) 宿圓嵒驛(숙원암역) : 圓嵒(원암)에서 자면서
    (94) 示明鑑尙珠彦和諸門輩(시명감상주언화제문배) : 명감상주언화와 여러 문도에게 보이다.
    (95) 示寶大師(시보대사) : 寶 大師에게 보이다
    (96) 示離幻禪子(시리환선자) : 離幻 禪子에게 보이다.
    (97) 尋牛圖(심우도) : 불교의 선종(禪宗)에서, 본성을 찾는 것을 소를 찾는 것에 비유하여 그린 선화(禪畫).
    (98) 雙溪方丈(쌍계방장) : 쌍계사 주지
    (99) 夜雪(야설) : 눈 내린 밤
    (100) 漁翁(어옹) : 늙은 어부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禪詩(선시) (101)~(110)
    (101) 與趙學士遊靑鶴洞(여조학사유청학동) : 趙學士와 함께 靑鶴洞旅行하며
    (102) 念佛僧(염불승) : 부처를 생각하며 이름을 외는(南無阿彌陀佛)
    (103) 詠懷(영회) :  마음에 품은 생각을 읊다.
    (104) 偶吟(우음) : 우연히 읊다.
    (105) 雲波望蒼(운파망창) : 구름이 파도치니 푸른 하늘이 보이네.
    (106) 元惠長老(원혜장로) : 元惠 長老에게
    (107) 遊伽倻(유가야) : 伽倻山에서 노닐다
    (108) 遊西山(유서산) : 西으로 가는 길에
    (109) 有懷(유회) : 밤새도록 애끊는 울음이지
    (110) 尹方伯答(윤방백답) : 尹方伯에게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禪詩(선시) (111)~(120)
    (111) 隱夫(은부) : 은거하는 사나이
    (112) 崇義禪子訪淸虛(의선자방청허) : 崇義 스님이 淸虛를 찾아왔기에
    (113) 移居(이거) : 옮겨 살다.
    (114) 人境俱奪(인경구탈) : 사람도 경계도 모두 사라지고 없다
    (115) 因事有感(인사유감) : 어떤 일로 인한 느낌이 있어
    (116) 自嘲(자조) : 자기를 스스로 비웃다.
    (117) 雜詠(잡영) : 여러 가지 사물에 대하여 읊은 시가(詩歌).
    (118) 雜興(잡흥) : 이런저런 흥취
    (119) 墻壁頌(장벽송) : 담장을 노래함
    (120) 裁松菊(재송국) : 국화와 소나무를 심고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禪詩(선시) (121)~(130)
    (121) 積石寺柱聯(적석사주련) : 적석사의 주련(柱聯)
    (122) 情春(정춘) : 정취가 흐른 봄
    (123) 題鑑湖臺(제감호대) : 감호대에서 쓰다
    (124) 題淸涼影帖(제청량영첩) : 淸凉國師影幀을 보고
    (125) 俊禪子(준선자) : 俊 禪子에게
    (126) 贈江湖道人(증강호도인) : 江湖 道人에게 주다
    (127) 贈德義禪子(증덕의선자) : 德義 禪子에게 주다
    (128) 贈道能禪子(증도능선자) : 道能 禪子에게 주다
    (129) 贈別白蓮寺處敏禪子(증별백련사처민선자) : 白蓮寺에서 處敏 禪子와의 離別에 드림
    (130) 贈淳長老(증순장로) : 淳長老에게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禪詩(선시) (131)~(140)
    (131) 贈蓮華道人(증련화도인) : 蓮華 道人에게
    (132) 贈牧庵(증목암) : 牧庵님께 바친다.
    (133) 贈碧泉禪子(증벽천선자) : 碧泉 禪子에게
    (134) 贈別麟壽禪子(증별린수선자) : 인수(麟壽) 선자와의 이별에 드림
    (135) 贈別慧機長老(증별혜기장로) : 길 떠나는 제자에게
    (136) 贈李竹馬(증이죽마) : 李竹馬에게
    (137) 贈一禪子(증일선자) : 一 禪子에게
    (138) 贈眞禪和(증진선화) : 스님에게
    (139) 集孤雲字(집고운자) : 孤雲 최치원의 글자를 모아
    (140) 次順天倅雲江韻(차순천졸운강운) : 順天고을 님의 雲江韻하여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禪詩(선시) (141)~(150)
    (141) 次允大師韻(차윤대사운) : 대사 에 맞추어
    (142) 次李方伯拭(차이방백식) : 觀察使 李拭를 보고
    (143) 次許學士遊石門韻(차허학사유석문운) : 許 學士石門에 갔다가 지은 에 맞춰
    (144) 讚佛(찬불) : 부처의 공덕을 찬미함
    (145) 處士亭(처사정) : 처사정
    (146) 送處英禪子出山(송처영선자출산) : 산을 나서는 處英 禪子를 보내며
    (147) 天玉禪子(천옥선자) : 천옥 禪子
    (148) 淸澗亭(청간정) : 청간정
    (149) 靑海白沙行(청해백사행) : 푸른바다 백사장을 걷다가
    (150) 淸虛歌(청허가) : 맑고 텅 빈 노래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禪詩(선시) (151)~(160)
    (151) 草堂(초당) : 초당
    (152) 草堂詠柏(초당영백) : 草堂에서 잣나무를 바라보며
    (153) 招白雲子(초백운자) : 흰 구름을 부르다
    (154) 草屋(초옥) : 초가(草家)
    (155) 秋夜(추야) : 가을밤에
    (156) 春日詠(춘일영) : 봄날에 읊다
    (157) 嘆世(탄세) : 世上을 탄식함
    (158) 探密峯(탐밀봉) : 묘향산 탐밀봉
    (159) 夏日(하일) : 여름날에
    (160) 惠訔禪子(혜은선자) : 혜은 禪子에게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禪詩(선시) (161)~(170)
    (161) 呼犢鳥(호독조) : 송아지 부르는 새(쏙독새)
    (162) 花開洞(화개동) : 꽃피는 동리
    (163) 花雨(화우) : 꽃비
    (164) 還鄕(환향) : 고향에 돌아와서
    (165) 還鄕曲(환향곡) : 고향으로 돌아가는 노래
    (166) 會友(회우) : 벗을 만나며
    (167) 輝遠扶天道人(휘원부천도인) : 휘원부천 道人에게
    (168) 悟道頌(오도송) : 오도송
    (169) 涅槃頌(열반송) : 열밤송
    (170) 臨終偈(임종게) : 입적하며 깨달음을 후세들에게 전하는 마지막 글
27 西庵禪師(서암선사)禪詩(선시)
    (1) 涅槃頌(열반송) : 열반송
28 釋慶雲(석경운)禪詩(선시)
    (1) 寂滅庵(적멸암) : 갑사의 적멸암
29 釋宏演(석굉연)禪詩(선시) (1)~(9)
    (1) 奉和思謙題西宇鍊師山水圖(봉화사겸제서우련사산수도) : 사겸의 西宇鍊師山水圖에 쓴 和答하여
    (2) 分題得九曲溪送友(분제득구곡계송우) : 九曲溪題目을 얻어 벗에게 나누어 보내다.
    (3) 分題得楊柳橋送友省親(분제득양류교송우성친) : 種柳橋에서 를 얻어 題目을 나누어 親舊 省親에게
    (4) 舂米行(용미항) : 쌀 방아 찧는 노래
    (5) 遊紫淸宮(유자청궁) : 자청궁에서 노닐며
    (6) 題劉仙巖(제유선암) : 유선암에 올라
    (7) 題飮馬圖(제음마도) : 음마도
    (8) 題驄馬飮水圖(제총마음수도) : 총마음수도를 보고
    (9) 秋夜宿蔣山寺(추야숙장산사) : 가을 밤 蔣山寺에 묵으며
30 釋卍雨(석만우)禪詩(선시) (1)~(2)
    (1) 山中(산중) : 산중에서
    (2) 送日本僧文溪(송일본승문계) : 日本 僧侶 文溪를 보내며
31 釋法堅(석법견)禪詩(선시)
    (1) 送雲之日本(송운지일본) : 송운이 일본으로 가는 것을 전송하며
32 釋參寥(석삼요)禪詩(선시)
    (1) 贈成川倅(증성천졸) : 성천 원님에게
33 釋禪坦(석선탄)禪詩(선시) (1)~(8)
    (1) 古風(고풍) : 예스러운 모습이나 풍취
    (2) 九日次淸淵詩韻(구일차청연시운) : 99淸淵次韻하여
    (3) 楞伽山中(능가산중) : 능가산에 머물며
    (4) 白鷺行(백로항) : 白鷺의 노래
    (5) 驪江讌集(여강연집) : 여강 연집
    (6) 題任實縣壁(제임실현벽) : 임실현벽에 남긴 시
    (7) 早春(조춘) : 이른 봄
    (8) 次普門寺閣上詩韻(차보문사각상시운) : 普門寺 閣上詩韻次韻하여
34 釋守初(석수초)禪詩(선시)
    (1) 睡起(수기) : 잠 깨어 일어나
35 釋彦機(석언기)禪詩(선시)
    (1) 贈覺池(증각지) : 覺池에게 주다
36 石友普化 大宗師(석우보화 대종사)禪詩(선시) (1)~(2)
    (1) 悟道頌(오도송) : 오도송
    (2) 涅槃頌(열반송) : 열반송
37 釋祖異(석조이)禪詩(선시)
    (1) 贈曹溪禪師云鑑得無字(증조계선사운감득무자) : 無字를 얻어 曹溪禪師 云鑑에게
38 釋天因(석천인)禪詩(선시) (1)~(12)
    (1) 寄沃洲誓上(기옥주서상) : 옥주 서() 스님에게 보내다.
    (2) 冷泉亭(냉천정) : 냉천정
    (3) 謝圓上人惠躑躅柱杖(사원상인혜척촉주장) : 스님이 척촉주장을 주심에 謝禮하여
    (4) 誓上人在龍穴寫經有詩見贈次韻奉答(서상인재룡혈사경유시견증차운봉답) : () 스님이 龍穴에서 寫經하면서 지은次韻하여 드림
    (5) 遊四仙嵓有作(유사선암유작) : 사선암에 놀면서
    (6) 次韻答晥上人(차운답환상인) : 次韻하여 () 上人에게 하며
    (7) 次韻晥上人山中作(차운환상인산중작) : ()스님의 山中作次韻하여
    (8) 次韻靑谷老弔趙承制(차운청곡로조조승제) : 趙承制弔喪하는 靑谷老次韻하여
    (9) 致遠庵主以詩見示仍以請予紀山中故事次韻答之 :: 致遠庵(치원암) 主人이 내게 를 보이고, 이내 내게 山中故事를 적기를 하기에, 을 따라 和答하여
    (10) 次韻雲上人病中作(차운운상인병중작) : 雲 上人病中에 지은 次韻하여
    (11) 海月樓看月(해월루간월) : 海月樓에서 달을 보다
    (12) 洪英上人以詩見贈次韻答之(홍영상인이시견증차운답지) : 洪英 上人를 주기에 次韻하여 하며
39 釋坦然(석탄연)禪詩(선시)
    (1) 文珠寺(문주사) : 문주사
40 釋海源(석해원)禪詩(선시)
    (1) 山客(산객) : 세상을 멀리하고 깊은 산속에서 사는 사람
41 聖能(성능)禪詩(선시) (1)~(2)
    (1) 登白雲峰(등백운봉) : 백운봉에 오르며
    (2) 元曉臺(원효대) : 원효대
42 雪潭自優(설담자우)禪詩(선시) (1)~(3)
    (1) 封友胃雨來訪(봉우위우래방) : 빗소리 들으며
    (2) 山水(산수) : 자연의 景致 景槪
    (3) 贈聖道友送太白山(증성도우송태백산) : 聖道友太白山으로 보내면서
43 雪巖秋鵬(설암추붕)禪詩(선시) (1)~(10)
    (1) 感懷(감회) : 지난 일을 돌이켜보고 느껴지는 회포
    (2) 古寺(고사) : 옛 절
    (3) 觀空僧(관공승) : 하는 스님.
    (4) 獨自歸(독자귀) : 나 홀로 돌아간다.
    (5) 漫興(만흥) : 저절로 일어나는 흥취
    (6) () :
    (7) 聞溪(문계) : 시냇물 소리 들으며
    (8) 寫經次偶吟(사경차우음) : 寫經을 하던 偶然히 읊다
    (9) 山居(산거) : 산에서 살며
    (10) 山房偶吟(산방우음) : 山房에서 偶然히 읊다
雪巖秋鵬(설암추붕)禪詩(선시) (11)~(20)
    (11) 深谷(심곡) : 깊은 골짜기
    (12) 詠懷(영회) : 마음에 품은 생각을 시가(詩歌)로 읊다
    (13) 雨後(우후) : 비가 개니
    (14) 幽居雜興(유거잡흥) : 살면서 이것저것 흥이 나서
    (15) 田中秋事(전중추사) : 가을의 들판
    (16) 贈客僧(증객승) : 객승에게 주다
    (17) 樵夫(초부) : 나무꾼
    (18) 春日感興(춘일감흥) : 봄날의 감흥
    (19) 嘆花(탄화) 1 : 꽃을 탄식하다
    (20) 嘆花(탄화) 2 : 꽃을 탄식하다
44 性徹禪師(성철선사)禪詩(선시) (1)~(4)
    (1) 出家頌(출가송) : 출가송
    (2) 悟道頌(오도송) : 오도송
    (3) 法語(법어) : 佛語
    (4) 臨終偈(임종게) : 임종게
45 逍遙太能(소요태능)禪詩(선시) (1)~(10)
    (1) 飢來喫飯困來眠(기래끽반곤래면) : 배고프면 밥 먹고 졸리면 자고
    (2) 騎牛子(기우자) : 소를 탄자여!
    (3) 馬祖喝(마조갈) : 마조(馬祖)의 고함()
    (4) 無位人(무위인) : 自由自在한 사람
    (5) 無題(무제) 1 : 무제
    (6) 無題(무제) 2 : 무제
    (7) 聞鍾有感(문종유감) : 종소리를 듣고서
    (8) 病裡書懹(병리서양) : 을 앓으면서 懷抱를 적다
    (9) 山中漫興(산중만흥) : 산속의 흥취 其一
    (10) 山中漫興(산중만흥) : 산속의 흥취 其二
逍遙太能(소요태능)禪詩(선시) (11)~(20)
    (11) 山中咏懷(산중영회) : 산중에 살면서 생각을 읊다
    (12) 賽尙俊法師(새상준법사) : 尙俊 法師에게 감사하다
    (13) 示繼雨法師(시계우법사) : 繼雨(계우) 法師에게
    (14) 示誾長老(시은장로) : () 長老에게 보임
    (15) 示學珠禪子(시학주선자) : 學珠 禪子에게
    (16) 新凉入郊墟(신량입교허) : 성 밖 언덕에서 서늘한 바람 불어오니
    (17) 詠無生(영무생) : 無生을 노래함
    (18) 詠懷(영회) : 생각을 읊다
    (19) 咏一卷經(영일권경) : 經典해 읊다
    (20) 雨日(우일) : 비 오는 날
逍遙太能(소요태능)禪詩(선시) (21)~(29)
    (21) 題燕谷寺香閣(제연곡사향각) : 연곡사 향각
    (22) 宗門曲(종문곡) : 선가의 정맥을 읊은 노래
    (23) 贈勝浩長老(증승호장로) : 勝浩 長老에게
    (24) 贈悅闍梨(증열도리) : 悅 闍梨에게 드림
    (25) 贈天海法師(증천해법사) : 天海 法師에게 주다
    (26) 次而善闍梨韻(차이선도이운) : 而善 闍梨次韻하여
    (27) 悟道頌(오도송) : 오도송
    (29) 涅槃頌(열반송) : 열반송
46 兒庵惠藏(아암혜장)禪詩(선시) (1)~(10)
    (1) 群山磊落出雲中(군산뇌락출운중) : 이 우뚝우뚝 구름 밖으로 솟구치고
    (2) 山居雜興(산거잡흥) 2 : 산속의 사소한 흥취
    (3) 山居雜興(산거잡흥) 4 : 산속의 사소한 흥취
    (4) 山居雜興(산거잡흥) 5 : 산속의 사소한 흥취
    (5) 山居雜興(산거잡흥) 14 : 산속의 사소한 흥취
    (6) 山居雜興(산거잡흥) 18 : 산속의 사소한 흥취
    (7) 長春洞雜興呈李使君台升十二首(장춘동잡흥정이사군태승십이수) : 장춘동 잡흥. 李使君 台升(태승)에게 드림
    (8) 贈加里浦節制金公宗煥(증가리포절제김공종환) : 가리포 節制 金宗煥 公에게
    (9) 盡日(진일) : 온종일
    (10) 籜翁歸後 索詩甚勤 又寄一篇(탁옹귀후 색시심근 우기일편) : 탁옹이 돌아간 뒤 시를 몹시 부지런히 요구하므로 또 한 편을 보낸다.
兒庵惠藏(아암혜장)禪詩(선시) (11)~(13)
    (11) 次韻呈籜翁(차운정탁옹) : 次韻하여 籜翁(탁옹)에게 드리다
    (12) 奉和籜翁坤卦六爻韻(봉화탁옹곤괘륙효운) : 탁옹의 坤卦 六爻詩韻에 삼가 和韻하다
    (13) 和中峰樂隱詞16(화중봉악은사16) : 중봉의 낙은사에 화답하다
47 野雲覺牛(야운각우)禪詩(선시) (1)~(2)
    (1) 禪詩(선시) : 선시
    (2) 題浮石寺極樂庵碧(제부석사극악암벽) : 부석사 극락암벽에
48 蓮潭有一(연담유일)禪詩(선시) (1)~(9)
    (1) 夢見亘賢(몽견긍현) : 꿈에 긍현(亘賢)을 만나보고
    (2) 夜懷(야회) : 밤의 회포
    (3) 漁父(어부) : 어부
    (4) 詠梅(영매) : 매화를 읊다
    (5) 次秋月大師三空字(차추월대사삼공자) : 秋月大師三空字 詩次韻하다
    (6) 山居(산거) : 산에서 산다.
    (7) <林下錄>에 수록된 시로 산중수도 생활의 회포를 읊음
    (8) 贈壯上人(증장상인) : 壯上人에게 주다
    (9) 涅槃頌(열반송) : 열반송
49 龍城辰鍾(용성진종)禪詩(선시)
    (1) 悟道頌(오도송) : 오도송
50 圓鑑國師, 圓鑑沖止(원감국사, 원감충지)禪詩(선시) (1)~(10)
    (1) 誡人(계인) 1 : 사람을 警誡
    (2) 誡人(계인) 2 : 사람을 警誡
    (3) 鷄峯苦(계봉고) : 鷄足峯의 괴로움
    (4) 苦熱吟(고열음) : 매우 심한 더위
    (5) 寄道安長老(기도안장로) : 道安 長老에게 부치다
    (6) 臘月十八日微雪中作(납월십팔일미설중작) : 섣달 18일 가는 눈이 내릴 때
    (7) 答李行儉(답리행검) : 李行儉에게 하다
    (8) 東方丈山茶花(동방장산다화) : 東 方丈山(방장산) 冬柏
    (9) 東征頌(동정 송) : 日本 征伐한 일을 찬양하다.
    (10) 暮春卽事(모춘즉사) : 저물어가는 봄날에
圓鑑國師, 圓鑑沖止(원감국사, 원감충지)禪詩(선시) (11)~(20)
    (11) 無碍(무애) : 막힘없이
    (12) 憫農黑羊四月旦日雨中作(민농흑양사월단일우중작) : 농부들이 가련하여 4月 初하루에 비속에서 짓다
    (13) 白雲庵中樂詩(백운암중악시) : 백운암에서의 즐거움
    (14) 法兄默公(법형묵공) : 법형 묵공이
    (15) 病脚自戲(병각자희) : 다리가 들어 스스로 戱弄한다
    (16) 病中言志(병중언지) 1 : 병중에 하는 말
    (17) 病中言志(병중언지) 2 : 병중에 하는 말
    (18) 賦月(부월) : 달을 읊음
    (19) 臂短歌(비단가) : 팔 짧음을 노래함
    (20) 舍弟就官韻(사 제취관운) : 한집의 동생을 축하한 시
圓鑑國師, 圓鑑沖止(원감국사, 원감충지)禪詩(선시) (21)~(30)
    (21) 山居(산거) : 산속에서 살며
    (22) 山居暮春卽事(산거모춘즉사) : 에 살면서 늦은 봄날에
    (23) 山中樂(산중악) : 山中의 즐거움
    (24) 禪餘得句書示同袍(선여득구서시동포) : 參禪하고 나서 얻은 句節同僚들에게 보임
    (25) 山中春日(산중춘일) : 산중의 봄날
    (26) 西原道俗 出城泣送 感而有作(서원도속 출성읍송 감이유작) : 西原의 스님과 信徒들이 밖까지 나와 눈물로 배웅하기에 느낌이 있어 짓다
    (27) 書情(서정) : 마음속의 생각을 적다
    (28) 惜春吟(석춘음) : 봄이 아쉬워 부르는 노래
    (29) 惜花吟(석화음) : 지는 꽃을 아쉬워하며
    (30) 雪中作苦寒詩 寄韓平陽謝(설중작고한시 기한평양사) : 눈 속에 추위로 苦生하는
圓鑑國師, 圓鑑沖止(원감국사, 원감충지)禪詩(선시) (31)~(40)
    (31) 率衆採蕨迴示同梵(솔중채궐회시동범) : 大衆과 함께 고사리를 캐러갔다가 돌아와 함께 있는 僧侶들에게 보이다
    (32) 睡起(수기) : 잠자다 깨다
    (33) 示人(시인) : 사람들에게 보이다
    (34) 試新筆次信手書一偈贈侍者(시신필차신수서일게증시자) : 새 붓을 試驗하면서 손 가는 대로 偈頌을 한 써서 侍者에게 주다
    (35) 侍者求偈善以贈之(시자구게선이증지) : 侍者偈頌하여 奇特하게 여겨 지어주다
    (36) 夜大雪都不覺知曉起望城中有作(야대설도불각지효기망성중유작) : 밤에 큰 눈 내린 줄 모르고 새벽에 일어나 안에서 짓다
    (37) 夜坐(야좌) 1 : 밤에 앉아
    (38) 夜坐(야좌) 2 : 밤에 앉아
    (39) 與南原倅趙酬唱詩(여남원졸조수창시) : 남원의 조 태수가 방문하여 시를 주기에 차운하여 사례하다
    (40) 嶺南艱苦壯(영남간고장) : 嶺南苦生하는 壯丁
圓鑑國師, 圓鑑沖止(원감국사, 원감충지)禪詩(선시) (41)~(50)
    (41) 嶺南艱苦狀二十四韻(영남간고상이십사운) : 苦生하는 嶺南地方의 모습
    (42) 寓居禪石庵觀種竹(우거선석암관종죽) : 禪石庵寓居(우거)하면서 심어놓은 대나무를 보다
    (43) 偶書(우서) : 우연히 쓰다
    (44) 偶書(우서) 1 : 우연히 쓰다
    (45) 偶書(우서) 2 : 우연히 쓰다
    (46) 偶書問禪者(우서문선자) : 禪僧에게 偶然히 적어 묻다
    (47) 偶書一絶(우서일절) : 偶然絶句 를 짓다
    (48) 偶閱晉人郭文傳 愛其能外身世 放情於山水間 因敍鄙懷 成 二十八韻 : 진나라 사람 郭文의 전기를 읽다가 그가 世俗을 벗어나 山水 사이에 을 펼쳤던 것을 사랑하여 나의 感懷28으로 적어본다.
    (49) 偶用雪堂韻示印二禪人(우용설당운시인이선인) : 雪堂을 빌어 를 지어 印二 禪人에게 주다
    (50) 雨中獨坐(우중독좌) : 빗속에 혼자 앉아
圓鑑國師, 圓鑑沖止(원감국사, 원감충지)禪詩(선시) (51)~(60)
    (51) 雨中睡起(우중수기) : 비는 내리는 데 잠에서 일어나
    (52) 圓炤塔院秋日雨中作(원소탑원추일우중작) : 圓炤塔院에 가을날 비 내리는데
    (53) 月夜登東樓(월야등동루) : 달밤에 樓臺에 올라
    (54) 幽居(유거) : 속세를 떠나 그윽하고 외딴곳에 묻혀 삶
    (55) 遊楞伽山(유능가산) : 능가산을 유람하며
    (56) 遊山回過三郞樓舟中作(유산회과삼랑루주중작) : 에 놀고 돌아오다가 三郞樓를 지나며 배 위에서 짓다
    (57) 遊元興寺林亭(유원흥사림정) : 元興寺 숲 속 亭子에 노닐며
    (58) 有一禪德請詩(유일선덕청시) : 어떤 禪僧하여
    (59) 有一禪者答云(유일선자답운) : 禪僧이 이르기를
    (60) 自敍(자서) : 자기 자신에 대한 일을 자기가 서술함
圓鑑國師, 圓鑑沖止(원감국사, 원감충지)禪詩(선시) (61)~(70)
    (61) 自靑巖將還鷄峯有作(자청암장환계봉유작) : 靑巖에서 鷄峯으로 돌아가면서 짓다
    (62) 自戲(자희) : 스스로를 戱弄
    (63) 作偈示諸德(작게시제덕) : 偈頌을 지어 여러 스님들께 보임
    (64) 作野牛頌示同人(작야우송시동인) : 野牛頌을 지어 同僚에게 보이다
    (65) 雜詠(잡영) : 여러 가지 사물에 대하여 읊은 詩歌
    (66) 齋餘偶作戲語一篇 寄示印禪伯(재여우작희어일편 기시인선백) : 공양(供良)이 끝나고 偶然히 재미로 지은 印 禪伯에게 드림
    (67) 絶句(절구) : 절구
    (68) 定惠寺偈(정혜사게) : 정혜사를 노래함
    (69) 拙語布懷示表兄之禪老(졸어포회시표형지선로) : 서툰 말로 懷抱를 적어 表兄 老스님께 보임
    (70) 重九日對花有感(중구일대화유감) : 重陽節에 꽃을 보고 느낌이 있어
圓鑑國師, 圓鑑沖止(원감국사, 원감충지)禪詩(선시) (71)~(80)
    (71) 卽事(즉사) : 즉흥적으로
    (72) 曾有擬古之作追而錄之(증유의고지작추이록지) : 옛사람의 를 본받아 지은
    (73) 至元九年壬申三月初入定惠作偈示同梵(지원구년임신삼월초입정혜작게시동범) : 12723月 初 처음 定惠寺에 들어가 偈頌을 지어 스님들에게 보임
    (74) 初春寄悅禪伯(초춘기열선백) : 봄에 悅 禪伯에게 드림
    (75) 秋山(추산) : 가을 산
    (76) 追和宏紹禪人訪到山中見贈之什(추화굉소선인방도산중견증지십) : 宏紹禪人(굉소선인)山中訪問하여 준 하여
    (77) 祝舍弟文凱就官韻(축사제문개취관운) : 아우 魏文凱(위문개)가 벼슬길에 오른 일을 祝賀
    (78) 閑居(한거) : 한가롭게 지냄
    (79) 閑中遣(한중견) : 閑暇로이 보냄며
    (80) 閑中偶書(한중우서) 1 : 閑暇로운 偶然히 짓다
圓鑑國師, 圓鑑沖止(원감국사, 원감충지)禪詩(선시) (81)~(88)
    (81) 閑中偶書(한중우서) 2 : 閑暇로운 偶然히 짓다
    (82) 閑中偶書(한중우서) : 閑暇로운 偶然히 짓다
    (83) 閒中偶書(한중우서) :  한가로운 때 우연히 쓰다
    (84) 閑中自慶(한중자경) : 閑暇한 내게 祝賀한다
    (85) 閑中詠懷(한중영회) : 閑暇한 가운데 속마음을 읊다
    (86) 曉起聞鳥聲有作(효기문조성유작) : 새벽에 일어나 새소리 듣고 짓다
    (87) 戲書(희서) : 장난스럽게 쓰다
    (88) 臨終偈(임종게) : 임종게
51 元曉國師(원효국사)禪詩(선시) (1)~(2)
    (1) 修行詩(수행시) : 수행시
    (2) 悟道頌(오도송) : 오도송 
52 月峯無住(월봉무주)禪詩(선시) (1)~(6)
    (1) 答性師問(답성사문) : 스님의 물음에 하다
    (2) 訪主人公(방주인공) : 主人公을 찾아 가다
    (3) 示悟師(시오사) : 스님께 보이다
    (4) 示慧師(시혜사) : 스님께 보이다.
    (5) 又示膺判事(우시응판사) : () 判事에게 또 보이다.
    (6) 歎世浮譽(탄세부예) : 世上의 뜬 名譽歎息
53 月山禪師(월산선사)禪詩(선시) (1)~(3)
    (1) 禪詩(선시) : 선시
    (2) 月山禪師法語(월산선사법어) : 月山 門徒會
    (3) 涅槃頌(열반송) : 열반송
54 月渚道安(월저도안)禪詩(선시) (1)~(9)
    (1) 空門建陽(공문건양) : 空門에 봄이 되어
    (2) 杜鵑(두견) : 두견새
    (3) 別良悅師(별량열사) : 良悅스님을 보내며
    (4) 偶吟(우음) : 우연히 읊다
    (5) 寓意(우의) : 마음속의 뜻에 맡겨
    (6) 有濫號竊形(유람호절형) : 함부로 號稱을 쓰고 形象을 훔치며
    (7) 村齋夜吟(촌재야음) : 시골 집 깊은 밤에 읊다
    (8) 春雪(춘설) : 봄눈
    (9) 涅槃頌(열반송) : 열반송
55 月荷戒悟(월하계오)禪詩(선시) (1)~(7)
    (1) 謹次石山韓上舍(근차석산한상사) : (愛憎) 石山 韓上舍에 삼가 次韻하다
    (2) 道伴 慶庵스님의 入寂消息을 듣고 지은
    (3) 病中(병중) : 병중에
    (4) 石門老人(석문노인) : 석문의 노인
    (5) 咏懷(영회) : 懷抱를 읊다
    (6) 題披香堂(제피향당) : 披香堂에 쓰다
    (7) 太和樓(태화루) : 태화루
56 義砧(의침)禪詩(선시)
    (1) 偶吟(우음) : 우연히 읊다
57 仁谷禪師(인곡선사)禪詩(선시)
    (1) 涅槃頌(열반송) : 열반송
58 仁嶽義沾(인악의첨)禪詩(선시)
    (1) 廢講(폐강) : 강의(講義)를 그만둠
59 一禪禪師(일선선사)禪詩(선시)
    (1) 悟道頌(오도송) : 一念廻光(한 생각 돌이킴)
60 一然(일연)禪詩(선시) (1)~(2)
    (1) 順道肇麗(순도조려) : 順道高句麗에서 처음 열다
    (2) 涅槃頌(열반송) : 열반송
61 日陀禪師(일타선사)禪詩(선시) (1)~(2)
    (1) 愛敬(애경) : 공경하고 사랑함
    (2) 涅槃頌(열반송) : 열반송
  作者未詳 禪詩 (1)~(10)
  作者未詳 禪詩 (1)~(24)
62 靜觀一禪(정관일선)禪詩(선시) (1)~(10)
    (1) 古寺(고사) : 옛 절
    (2) 本源自性天眞佛(본원자성천진불) : 本源自性이 참된 부처
    (3) 不忘記(불망기) : 잊지 않고 記憶하기 한 글
    (4) 謝惠劒(사혜검) : 을 준 데 대해 謝禮하다
    (5) 山堂雨後(산당우후) : 비 그친 산당
    (6) 上報恩太守(상보은태수) : 報恩 太守게 올리다
    (7) 雪松演初(설송연초) : 雪松演初 선사
    (8) 夜坐(야좌) : 밤에 앉아서
    (9) 偶吟(우음) : 우연히 읊다
    (10) 留隱仙偶吟(유은선우음) : 隱仙庵에 머물며 偶然히 읊다
靜觀一禪(정관일선)禪詩(선시) (11)~(24)
    (11) 題七佛菴(제칠불암) : 七佛菴에서
    (12) 贈觀禪子(증관선자) : 觀 禪子에게
    (13) 贈頭流僧(증두류승) : 頭流山 중에게
    (14) 贈盲禪者(증맹선자) : 盲目的으로 參禪하는 이에게 드림
    (15) 贈盲聾禪老(증맹롱선로) : 맹롱(盲聾) 老禪師에게 드림
    (16) 贈禪者(증선자) : 參禪 修行者에게
    (17) 贈詩僧(증시승) : 詩僧에게 드림
    (18) 贈俊道人(증준도인) : 俊 道人에게 드림
    (19) 贈芝禪客(증지선객) : () 禪客에게 드림
    (20) 行脚歸故山(행각귀고산) : 行脚을 다니다가 元來 山으로 돌아와
    (21) 行路難(행로난) : 世上 살이 어려움
    (22) 話頭鳥(화두조) : 화두새
    (23) 聞杜鵑(문두견) : 두견새 울음소리를 듣다
    (24) 臨終偈(임종게) : 임종게
63 霽月敬軒(제월경헌)禪詩(선시) (1)~(14)
    (1) 勸僧入山(권승입산) : 승려에게 산에 들 것을 권하다.
    (2) 聞鶯有感(문앵유감) : 꾀꼬리 소리를 듣고 느낌이 있어
    (3) 賽禪德安宅(새선덕안댁) : 安宅스님에게 주다
    (4) 禪詩(선시) : 꿈에도 저자거리 가지 않다
    (5) 雪中訪梅(설중방매) : 눈 속에 매화를 찾았더니 
    (6) 送別(송별) : 떠나는 사람을 작별하여 보냄
    (7) 宿空寺吟(숙공사음) : 빈 절에 묵고 읊네.
    (8) 宿佛日庵(숙불일암) : 불일암에서 묵고서
    (9) 示同住道伴(시동주도반) : 함께 사는 道伴에게 보여주다
    (10) 神興寺(신흥사) : 신흥사
    (11) 旅館逢友人(여관봉우인) : 旅館에서 벗을 만나
    (12) 自嘲(자조) : 스스로 자기를 비웃음
    (13) 贈淸溪道人(증청계도인) : 淸溪 道人에게
    (14) 臨終偈(임종게) : 임종게
64 中觀海眼(중관해안)禪詩(선시) (1)~(10)
    (1) 金剛山彌勒峰(금강산미륵봉) : 금강산 미륵봉
    (2) 畣分歲話(답분세화) : 제석의 對話하다
    (3) 讀南華經有感(독남화경유감) : 제월경헌 남화경을 읽고
    (4) 冬日湖南行(동일호남행) : 겨울날 호남으로 감
    (5) 莫相疑行(막상의행) : 의심하지 말아달라고 읊은 노래
    (6) 夢見一文士夢中作(몽견일문사몽중작) : 꿈에 한 文士를 보고 꿈속에서 짓다
    (7) 山居秋興(산거추흥) : 산속의 가을 흥취
    (8) 言外(언외) : 말 밖에
    (9) 龍門閑居(용문한거) 1 : 허공에서 큰 깨우침을 얻다
    (10) 龍門閑居(용문한거) 2 : 허공에서 큰 깨우침을 얻다
中觀海眼(중관해안)禪詩(선시) (11)~(20)
    (11) 有感(유감) : 느낌이 있어
    (12) 擬古二首(의고이수) 其一 : 詩歌를 본떠
    (13) 擬古二首(의고이수) 其二 : 詩歌를 본떠
    (14) 仁伯禪子敬麟賽句(인백선자경린새구) : 인백 선자 경린이 시를 청하기에
    (15) 將向楞迦山訪長沙太守林公(장향릉가산방장사태수림공) : 나그네 마음
    (16) 贈忠原太守宋公(증충원태수송공) : 충원태수 宋公에게
    (17) 次張溪谷(차장계곡) : 장계곡을 따라
    (18) 閑中雜詠(한중잡영) : 솔바람 창밖에
    (19) 虎丘淸規禪話牋(호구청규선화전) : 虎丘淸規禪話가 담긴 便紙
    (20) 戱人言禪(희인언선) : 을 말하는 사람을 희롱함 
65 眞覺國師(진각국사)禪詩(선시) (1)~(10)
    (1) 感興(감흥) : 마음에 깊이 감동되어 일어나는 흥취
    (2) 過故鄕(과고향) : 고향을 지나가며
    (3) 過生臺有作(과생대유작) : 過生臺에서 짓다
    (4) 國師圓寂日(국사원적일) : 普照國師 돌아가신 날
    (5) 金剛藏章(금강장장) : 금강장
    (6) 冷翠臺(냉취대) : 냉취대
    (7) 茶詩(다시). 1 : 차에 대한 시
    (8) 茶詩(다시). 2 : 차에 대한 시
    (9) 茶泉(다천) : 찻물 샘
    (10) 團扇(단선) : 둥근 부채
眞覺國師(진각국사)禪詩(선시) (11)~(20)
    (11) 對影(대영) : 그림자를 마주보며
    (12) 東臺卽事(동대즉사) : 동대에서 불현 듯 짓다
    (13) 木蓮(목련) : 목련
    (14) 無題(무제) : 무제
    (15) 文殊章(문수장) : 문수장
    (16) 彌勒章(미륵장) : 미륵장
    (17) 憫世(민세) 1 : 世上 憫望(민망)하여
    (18) 憫世(민세) 2 : 世上 憫望(민망)하여
    (19) 白雲臺上憶先師(백운대상억선사) : 白雲臺에서 禪師回想하다
    (20) 普賢章(보현장) : 보현장
眞覺國師(진각국사)禪詩(선시) (21)~(30)
    (21) 盆池(분지) : 연못
    (22) 惜春(석춘) : 가는 봄을 아쉬워함
    (23) 靈山獻茶(영산헌다) 1 : 靈山의 신불(神佛)께 차를 올림
    (24) 靈山獻茶(영산헌다) 2 : 靈山의 신불(神佛)께 차를 올림
    (25) 受位安座篇 茶偈(수위안좌편 다게) :  다시 자리에 앉기를 권하는 진언 (차를 올리는 게송)
    (26) 入室茶禮(입실다례) : 入室하여서 茶禮
    (27) 祖師殿 獻茶禮(조사전 헌다례) : 祖師殿에서 차를 바치는 예
    (28) 禪堂示衆(선당시중) : 선원에서
    (29) 逍遙谷(소요곡) : 소요곡
    (30) 小池(소지) : 작은 연못
眞覺國師(진각국사)禪詩(선시) (31)~(40)
    (31) 息心偈(식심게) : 마음을 쉬게 하는 노래
    (32) 夜坐示衆(야좌시중) : 밤중에 앉아
    (33) 漁父詞(어부사) 1 : 어부사
    (34) 漁父詞(어부사) 2 : 어부사
    (35) 漁父詞(어부사) 3 : 어부사
    (36) 漁父詞(어부사) 4 : 어부사
    (37) 蓮池注泉(연지주천) : 蓮池에 샘물 대다
    (38) 列嶂(열장) : 늘어선 높고 가파른
    (39) 雨後松巒(우후송만) : 비 갠 뒤 소나무 봉우리
    (40) 幽居(유거) : 속세를 떠나 그윽하고 외딴 곳에 묻혀 삶
眞覺國師(진각국사)禪詩(선시) (41)~(50)
    (41) 遊山(유산) : 산으로 놀러 다님
    (42) 因雪示衆(인설시중) : 눈을 依支하여 大衆을 가르치다
    (43) 隣月臺(茶詩) : 인월대에서
    (44) 栽松柏(재송백) : 소나무 잣나무를 기르며
    (45) 餞別鄭郎中(전별정랑중) : 정랑중을 모내드리며
    (46) 正旦(정단) : (元旦) 설날 아침
    (47) 祖月庵聞笛(조월암문적) : 조월암(祖月庵)에서 피리소리를 들으며
    (48) 竹尊者(죽존자) : 대나무 어른
    (49) 中秋翫月(중추완월) : 중추에 달구경
    (50) 池上偶吟(지상우음) 1 : 연못에서 우연히 읊다
眞覺國師(진각국사)禪詩(선시) (51)~(59)
    (51) 池上偶吟(지상우음) 2 : 연못에서 우연히 읊다
    (52) 知足樂(지족락) : 분수를 알고 만족하는 즐거움
    (53) 淸靜惠章(청정혜장) : 청정혜장
    (54) 秋感(추감) : 가을의 느낌
    (55) 春遊燕谷寺(춘유연곡사) : 봄날 연곡사에서 노닐다.
    (56) 春日遊山(춘일유산) : 봄날 산에서 노닐다.
    (57) 瀑布(폭포) : 폭포
    (58) 悟道頌(오도송) : 오도송
    (59) 臨終偈(임종게) : 임종게
66 震墨一玉(진묵일옥)禪詩(선시)
    (1) 悟道頌(오도송) : 오도송
67 鐵船惠楫(철선혜즙)禪詩(선시) (1)~(11)
    (1) 金剛山(금강산) : 금강산
    (2) 獨坐(독좌) : 홀로 앉아
    (3) 山居(산거) 1 : 산에서 살며
    (4) 山居(산거) 2 : 산에서 살며
    (5) 山居幽趣(산거유취) : 집의 그윽한 興趣
    (6) 山居雜詠(산거잡영) 1 : 산에서 살며 읊다
    (7) 山居雜詠(산거잡영) 2 : 산에서 살며 읊다
    (8) 山居雜詠(산거잡영) 3 : 산에서 살며 읊다
    (9) 雪夜(설야) : 밤눈이 내려
    (10) 安禪(안선) : 즐거운 禪定
    (11) 悠然(유연) : 침착(沈着)하고 여유(餘裕)가 있음
68 靑梅印悟(청매인오)禪詩(선시) (1)~(10)
    (1) 看到知知篇(간도지지편) : 제대로 안다는 것은
    (2) (一喝): 벼락같은 한 소리에 (큰 소리로 꾸짖음)
    (3) 偈頌(게송) : 게송
    (4) 偈頌(게송) : 陽地에는 꽃 陰地에는 눈
    (5) 偈頌(게송) : 두 끝을 버려라
    (6) 偈頌(게송) : 게송
    (7) 光不透脫(광불투탈) : 빛이 꿰뚫어 지나지를 못함
    (8) 求他作(구타작) : 다른 데서 하는 것을 보고 지음
    (9) 悼世(도세) : 世上哀悼
    (10) 途中(도중) : 길을 가는 중에
靑梅印悟(청매인오)禪詩(선시) (11)~(24)
    (11) 洞山麻三斤(동산마삼근) : 洞山의 삼 세 의 무게여
    (12) 悟道頌(오도송) : 오도송 無念(무념)
    (13) 悟道頌(오도송) : 오도송
    (14) 示求法人(시구법인) : 하는 사람에게 보임
    (15) 十無益頌(십무익송) : 열 가지 무익송
    (16) 十二覺詩(십이각시) : 12번 나오는
    (17) 漁翁(어옹) : 고기잡이 노인
    (18) 長沙翫月(장사완월) : 長沙 禪師의 달맞이
    (19) 贈大圭禪僧(증대규선승) : 大圭 禪僧에게 드림
    (20) 贈義天禪子(증의천선자) : 義天 禪子에게
    (21) 春日(춘일) : 봄날에
    (22) 出山(출산) : 절에서 나옴
    (23) 置卷(치권) : 을 버림
    (24) 香嚴擊竹(향엄격죽) : 돌멩이가 대나무에 부딪치는 소리를 듣고
69 草衣意恂(초의의순)禪詩(선시) (1)~(5)
    (1) 偈頌(게송) : 게송
    (2) 冽水泛舟(열수범주) : 맑은 물에 배 띄워
    (3) 王右承終南別業之作(왕우승종남별업지작) : 왕우승(王維)終南別業을 따라 짓다.
    (4) 用前韻奉呈水使深公(용전운봉정수사심공) : 水使深公에게 前韻으로 를 지어 드리다
    (5) 鷹山樵歌(응산초가) : 응산(鷹山) 나무꾼의 노래
70 秋波泓宥(추파홍유)禪詩(선시) (1)~(2)
    (1) 宿華莊庵遇豊溪和贈(숙화장암우풍계화증) : 華莊庵에 묵으며 豊溪를 만나 서로 和答하다
    (2) 思鄕(사향) : 고향 생각
71 春性禪師(춘성선사)禪詩(선시)
    (1) 涅槃頌(열반송) : 열반송
72 翠微守初 禪師(취미수초 선사)禪詩(선시) (1)~(10)
    (1) 澗花(간화) : 골짜기에 핀 꽃
    (2) 江上聞笛(강상문적) : 강가에서 듣는 피리소리
    (3) 警相諍(경상쟁) : 서로 다툼을 警戒
    (4) 敬次東岳李先生安訥泛江集赤壁賦字韻(경차동악리선생안눌범강집적벽부자운) : 東岳 李安訥(이안눌) 先生에 배를 띄우고 赤壁賦(적벽부)韻字次韻하여
    (5) 金剛山白雲庵有感(금강산백운암유감) : 金剛山白雲庵에서의 느낌
    (6) 途中春暮(도중춘모) : 길 가던 중에 봄날 저물어
    (7) 面壁(면벽) : 벽을 향하고 坐禪
    (8) 訪山寺(방산사) : 산속 사찰을 방문하다.
    (9) 山居(산거) : 산속에서 삶
    (10) 山中迷路(산중미로) : 산에서 길을 잃다.
  翠微守初 禪師(취미수초 선사)禪詩(선시) (11)~(21)
    (11) 山中偶吟(산중우음) : 산에서 우연히 읊다
    (12) 禪詩(선시) : 선시
    (13) 送竺空師(송축공사) : 竺空 스님을 보내며
    (14) 睡起(수기) : 꿈 깨고 보니
    (15) 示問禪僧(시문선승) : 을 묻는 스님에게 보이다
    (16) 義湘臺(의상대) : 의상대
    (17) 坐禪僧(좌선승) : 坐禪하는 스님
    (18) 贈擇行上人(증택행상인) : 擇行 上人께 드림
    (19) 秋夜(추야) : 가을밤에
    (20) 回鄕(회향) : 故鄕으로 돌아감
    (21) 滿空秋月(만공추월) : 마음 달빛
73 枕肱懸辯(침굉현변)禪詩(선시) (1)~(12)
    (1) 歸家時途中作(귀가시도중작) : 귀가하는 도중에 지음
    (2) 笑吟(소음) : 웃음을 읊다
    (3) 送友人(송우인) : 벗을 보내며
    (4) 與故人遊仙巖寺(여고인유선암사) : 벗과 仙巖寺에 갔다가
    (5) 幽居偶吟(유거우음) : 속세를 떠나 살며 우연히 읊다
    (6) 題鰲山庵(제오산암) : 鰲山庵에서
    (7) 呈岑道人(정잠도인) : 岑道人에게 드림
    (8) 贈行脚僧(증행각승) : 떠돌아다니며 수행하는 승려에게 지어 주다
    (9) 智異山金流洞偶吟(지이산금류동우음) : 지리산 금류동을 지나다 우연히 읊다
    (10) 次翠峯韻(차취봉운) : 취봉(翠峯)에게
    (11) 淸夜聞磬(청야문경) : 맑은 밤에 풍경 소리 듣고서
    (12) 香爐庵吟(향로암음) : 香爐庵의 노래
74 太古普愚國師(태고보우국사)禪詩(선시) (1)~(10)
    (1) 古佛覺(고불각) : 老長 僧侶의 깨달음
    (2) 古林(고림) : 오랜 숲
    (3) 空溪(공계) : 빈 산골짜기
    (4) 過雲(과운) : 지나가는 구름
    (5) 南谷(남곡) : 남쪽 골짜기
    (6) 斷巖(단암) : 낭떠러지
    (7) () :
    (8) 無文(무문) : 글로 할 수 없다 (=不立文字)
    (9) 文殊讚(문수찬) : 문수찬
    (10) 伴雲(반운) : 구름을 벗하여
太古普愚國師(태고보우국사)禪詩(선시) (11)~(20)
    (11) 白雲庵歌(백운암가) : 백운암의 노래
    (12) 雪梅軒(설매헌) : 雪梅 핀 집에서
    (13) 送珦仙人之江南(송향선인지강남) : 珦仙人江南으로 감을 전송하며
    (14) 庵在雲重處(암재운중처) : 암자는 겹겹 구름 속
    (15) 雲山(운산) : 구름과 산
    (16) 隱峰(은봉) : 숨은 봉우리
    (17) 竹庵(죽암) : 대숲속의 암자
    (18) 證庵(증암) : 부처님 眞理證得庵子
    (19) 參禪錄(참선록) : 참선록
    (20) 參禪銘(참선명) 1 : 참선명
太古普愚國師(태고보우국사)禪詩(선시) (21)~(26)
    (21) 參禪銘(참선명) 2 : 참선명
    (22) 參禪銘(참선명) 3 : 참선명
    (23) 淸澗(청간) : 맑은 계곡
    (24) 太古庵歌(태고암가) : 太古庵의 노래
    (25) 海雲(해운) : 바다위에 뜬 구름
    (26) 悟道頌(오도송) : 오도송
75 鞭羊彦機(편양언기)禪詩(선시) (1)~(10)
    (1) 居通性庵(거통성암) : 通性庵에 살며
    (2) 敬賽行師 求禪旨(경새행사 구선지)
    (3) 奉賽鑑長老(봉새감장로)
    (4) 奉示申處士(봉시신처사) : 申處士에게 받들어 보이다.
    (5) 山居(산거) : 산속에서 살며
    (6) 山中偶吟(산중우음) : 산속에서 우연히 읊다.
    (7) 送軒師住庵(송헌사주암)
    (8) 示允師(시윤사) : 允師에게 보이다
    (9) 示誦蓮經僧(시송연경승) : 연화경을 외우는 승려에게 보이다.
    (10) 悟道頌(오도송) : 오도송
鞭羊彦機(편양언기)禪詩(선시) (11)~(23)
    (11) 悟心(오심) : 깨달음의 마음
    (12) 偶吟一絶贈戒明山人(우음일절증계명산인) : 우연히 읊어 戒明山人에게 드림
    (13) 遊逍遙山(유소요산) : 逍遙山에서 노닐다.
    (14) 庭花(정화) : 뜰의 꽃
    (15) 贈覺地(증각지) : 覺地에게
    (16) 贈敬嚴(증경엄) : 敬嚴에게
    (17) 贈別法蓮師(증별법련사) : 法蓮스님과 이별하며
    (18) 贈別天隱師(증별천은사) : 天隱스님과 이별하며
    (19) 贈隱師以別(증은사이별) : 스님과 이별하며
    (20) 次處能韻(차처능운) : 처능(處能) 스님에게 드리는 답시
    (21) 次朴上舍長遠韻(차박상사장원운) : 박상사 장원의 운에 차운함
    (22) 秋意(추의) : 가을의 기분
    (23) 香爐詠懷(향로영회) : 향로봉에서
76 鶴鳴禪師(학명선사)禪詩(선시) (1)~(2)
    (1) 夢中遊(몽중유) : 꿈속에 산다네.
    (2) 悟道頌(오도송) : 오도송
77 寒溪玄一(한계현일)禪詩(선시) (1)~(2)
    (1) 久旱次韻(구한 차운) : 오랜 가뭄 次韻해 짓다.
    (2) 贈遊山僧(증유산승) : 산놀이 하는 승려에게 주다.
78 韓龍雲(한용운)禪詩(선시) (1)~(10)
    (1) 遣悶(견민) : 시름을 달래다.
    (2) 見櫻花有感(견앵화유감) : 앵두나무 꽃을 보고 감흥이 있어
    (3) 見月(견월) : 달을 바라보며
    (4) 京城逢映湖錦峯兩伯同唫(경성봉영호금봉량백동금) : 도반을 기리는 노래
    (5) 孤遊(고유) : 홀로 거닐며
    (6) 古意(고의) 1 : 예스러운 情趣
    (7) 古意(고의) 2 : 예스러운 情趣
    (8) 過九曲嶺(과구곡령) : 九曲嶺을 지나며
    (9) 觀落梅有感(관낙매유감) : 지는 매화 바라보며
    (10) 龜巖寺與宋淸巖兄弟共唫(구암사여송청암형제공금) : 구암사에서 본 풍경
韓龍雲(한용운)禪詩(선시) (11)~(20)
    (11) 龜岩寺初秋(구암사초추) : 구암사의 초가을
    (12) 龜岩瀑(구암폭) : 구암폭포
    (13) 宮島舟中(궁도주중) : 미야지마 <みやじま> 의 배 안에서
    (14) 謹賀啓礎先生晬辰(근하계초선생수진) : 삼가 계초 선생의 생신을 축하함
    (15) 唫晴(금청) : 개인 날
    (16) 寄學生(기학생) : 學問하는 이들에게
    (17) 內院庵有牧丹樹古枝受雪如花因唫(내원암유목단수고지수설여화인금) : 눈꽃
    (18) 代萬化 和尙挽林鄕長(대만화 화상만림향장) : 만화 화상을 대신하여 임향장을 조상함
    (19) 獨唫(독금) : 홀로 읊다
    (20) 獨夜(독야) 1 : 홀로 있는 밤
韓龍雲(한용운)禪詩(선시) (21)~(30)
    (21) 獨夜(독야) 2 : 홀로 있는 밤
    (22) 獨坐(독좌) : 홀로 앉아
    (23) 獨窓風雨(독창풍우) : 창가를 스치는 비바람
    (24) 讀風雅朱子用東坡韻賦梅花用其韻賦梅花(독풍아주자용동파운부매화용기운부매화) : 매화 시
    (25) 東京旅館聽蟬(동경려관청선) : 동경 여관에서 매미 소리를 듣고
    (26) 冬至(동지) : 동지
    (27) 登高(등고) : 높은 곳에 올라서
    (28) 登禪房後園(등선방후원) : 선방 뒷들에 올라
    (29) 咏燈影(獄中詩) 영등영(옥중시) : 등불 그림자
    (30) 馬關舟中(마관주중) : 시모노세키(しものせきし)의 배 안에서
韓龍雲(한용운)禪詩(선시) (31)~(40)
    (31) 梅花詩(매화시) : 매화시
    (32) 暮歲寒雨有感(모세한우유감) : 차가운 비가 내리는 年末
    (33) 無題(무제) 1
    (34) 無題(무제) 2 獄中吟
    (35) 無題(무제) 3
    (36) 無題(무제) 4
    (37) 無題(무제) 5
    (38) 無題(무제) 6
    (39) 無題(무제) 7
    (40) 訪白華庵(방백화암) : 백화암을 찾아서
韓龍雲(한용운)禪詩(선시) (41)~(50)
    (41) 梵魚寺雨後述懷(범어사우후술회) : 비 온 뒤의 梵魚寺
    (42) 別玩豪學士(별완호학사) : 玩豪(완호) 學士와 헤어지며
    (43) 病監後園(병감후원) : 병상에서
    (44) 病唫(병금) : 병으로 신음하다.
    (45) 病愁(병수) : 병으로 시름하며
    (46) 乳雲和尙病臥甚悶又添鄕愁(유운화상병와심민우첨향수) : 병든 벗을 생각하며
    (47) 備風雪閉內外戶窓黑痣看書戲作(비풍설폐내외호창흑지간서희작) : 문틈 사이로 본 세월
    (48) 思夜聽雨(사야청우) : 비오는 날의 故鄕 생각
    (49) 思鄕(사향) 1 : 고향 생각
    (50) 思鄕(사향) 2 : 고향 생각
韓龍雲(한용운)禪詩(선시) (51)~(60)
    (51) 思鄕苦(사향고) : 故鄕을 생각하는 괴로움
    (52) 山家逸興(산가일흥) : 산골 집 흥취
    (53) 山家曉月(산가효월) : 산가의 새벽달
    (54) 山晝(산주) : 산의 대낮
    (55) 釋王寺逢映湖乳雲兩和尙作二首(석왕사봉영호유운양화상작) : 도반을 기리는 노래
    (56) 仙巖寺病後作二首(선암사병후작이수) : 선암사에서 병후에 지은 2
    (57) 雪夜(설야) : 눈이 내리는 밤
    (58) 雪夜看畵有感(설야간화유감) : 눈 오는 밤 그림을 보고
    (59) 雪曉(설효) : 눈 내린 새벽
    (60) 雪後漫唫(설후만금) : 눈 그친 후에
韓龍雲(한용운)禪詩(선시) (61)~(70)
    (61) 歲寒衣不到戲作(세한의불도희작) : 추운 겨울에 옷이 오지 않아
    (62) 述懷(술회) : 懷抱 마음에 품은 생각
    (63) 新聞廢刊(신문폐간) : 조선일보의 폐간에 즈음하여 지은 시
    (64) 新晴(신청) : 비 그치고 새로 갬
    (65) 雙溪樓(쌍계루) : 白羊寺 쌍계루
    (66) 安海州(안해주) : 안중근 의사를 기림
    (67) 野行(야행) 1 : 들길을 걸으며
    (68) 野行(야행) 2 : 들길을 걸으며
    (69) 藥師庵途中(약사암도중) : 藥師庵 가는 길
    (70) 養眞庵(양진암) : 桐華寺의 양진암
韓龍雲(한용운)禪詩(선시) (71)~(80)
    (71) 養眞庵臨發贈鶴鳴禪伯(양진암임발증학명선백) : 양진암에서 떠나며 학명스님에게
    (72) 漁笛(어적) : 어부의 피리 소리
    (73) 與錦峯伯夜唫(여금봉백야금) : 錦峯 禪師를 만나 달 밝은 밤에 읊었던 시
    (74) 與映湖錦峯兩伯作(在宗務院) 여영호금봉양백작(재종무원) : 영호(映湖) 금봉(錦峯) 禪師와 시를 짓다.(종무원에서)
    (75) 與映湖乳雲兩伯夜唫(여영호유운양백야금) : 밤에 영호(映湖) 유운(乳雲) 두 스님과 함께
    (76) 與映湖和尙訪乳雲和尙乘夜同歸(여영호화상방유운화상승야동귀) : 영호 화상과 함께 유운 화상을 찾아갔다가 밤길을 같이 돌아옴
    (77) 旅懷(여회) : 客懷 객지에서 느끼는 외롭고 쓸쓸한 심정
    (78) 榮山浦舟中(영산포주중) : 영산포의 배 안에서
    (79) 咏雁(영안) : 기러기
    (80) 咏閑(영한) : 한가함
韓龍雲(한용운)禪詩(선시) (81)~(90)
    (81) 悟道頌(오도송) : 의심이 씻은 듯 풀리다
    (82) 獄中感懷(옥중감회) : 옥중의 감회
    (83) 玩月(완월) : 달구경하며 즐김
    (84) 又古人梅題下不作五古余有好奇心試唫(우고인매제하불작오고여유호기심시금) : <梅花禮讚> 또 옛사람들이 매화를 두고 5언 시를 쓴 일이 없기에 호기심으로 시험 삼아 읊어본다.
    (85) 雨中獨唫(우중독금) : 빗속에 홀로 노래하다.
    (86) 雲水(운수) : 떠돌이 중 (修行僧)
    (87) 遠思(원사) : 멀리 생각함
    (88) 月方中(월방중) : 달이 한가운데 올라
    (89) 月欲落(월욕락) : 달이 지려할 때
    (90) 月欲生(월욕생) : 달이 돋으려할 때
韓龍雲(한용운)禪詩(선시) (91)~(100)
    (91) 月初生(월초생) : 달이 처음 뜰 때
    (92) 留仙岩寺次梅泉韻(유선암사차매천운) : 선암사에서 매천의 시에 부쳐
    (93) 日光道中(일광도중) : 닛코(にっこうし)로 가는 길
    (94) 日光南湖(일광남호) : 닛코의 湖水
    (95) 自京歸五歲庵贈朴漢永(자경귀오세암증박한영) : 서울로 돌아와 오세암에서 박한영에게
    (96) 自樂(자락) : 스스로 즐기며
    (97) 自悶(자민) : 스스로 煩悶하다
    (98) 自笑詩癖(자소시벽) : 쓰는 버릇을 웃다
    (99) 征婦怨(정부원) : 출정 군인 아내의 한
    (100) 曺洞宗大學校別院(조동종대학교별원) : 어느 日本 절의 追憶
韓龍雲(한용운)禪詩(선시) (101)~(110)
    (101) 周甲日卽興(주갑일즉흥) : 回甲날의 卽興. 一九三九. . 十二日 於淸凉寺
    (102) 重陽(중양) 1 : 중양절에
    (103) 重陽(중양) 2 : 중양절에
    (104) 卽事(즉사) 1 : 본 대로 느낀 대로
    (105) 卽事(즉사) 2 : 본 대로 느낀 대로
    (106) 卽事(즉사) 3 : 본 대로 느낀 대로
    (107) 卽事(즉사) 4 : 본 대로 느낀 대로
    (108) 卽事(즉사) 5 : 본 대로 느낀 대로
    (109) 卽事(즉사) 6 : 본 대로 느낀 대로
    (110) 卽事(즉사) 7 : 본 대로 느낀 대로
韓龍雲(한용운)禪詩(선시) (111)~(120)
    (111) 贈古友禪話( 증고우선화) : 옛 벗에게 주는 글(禪話)
    (112) 贈南亨祐(증남형우) : 南亨祐에게
    (113) 贈別(증별) : 헤어지면서 드림
    (114) 增上寺(증상사) : 일본 동경에 있는 증상사에서
    (115) 贈宋淸巖(증송청암) : 宋淸巖에게
    (116) 次映湖和尙香積韻(차영호화상향적운) : 映湖和尙이 보내온 향적봉의 운을 차운하여
    (117) 淸唫(청금) : 淸淨한 노래
    (118) 淸寒(청한) : 상큼한 추위
    (119) 淸曉(청효) : 맑은 새벽
    (120) 秋夜雨(추야우) : 가을밤에 비는 내리고
韓龍雲(한용운)禪詩(선시) (121)~(130)
    (121) 秋夜聽雨有感(추야청우유감) : 가을밤에 빗소리를 듣고
    (122) 秋雨(추우) : 가을비
    (123) 秋懷(추회) : 가을의 회포
    (124) 秋曉(추효) : 가을 새벽
    (125) 春閨怨(춘규원) : 봄철 규방의 한
    (126) 春夢(춘몽) : 봄날의 꿈
    (127) 砧聲(침성) : 다듬이질 소리
    (128) 巴陵漁父棹歌(파릉어부도가) : 파릉 어부의 뱃노래
    (129) 避亂途中滯雨有感(피란도중체우유감) : 피난길에 비에 막혀 머물며
    (130) 漢江(한강) : 한강
韓龍雲(한용운)禪詩(선시) (131)~(141)
    (131) 閑唫(한금) : 한가한 노래
    (132) 寒寂(한적) : 추운 적막
    (133) 香爐庵夜唫(향로암야금) : 향로암에서 밤에 읊다
    (134) 香爐庵卽事(향로암즉사) : 향로암에서
    (135) 蝴蝶(호접) : 나비
    (136) 華嚴寺散步(화엄사산보) : 화엄사 산책
    (137) 和淺田敎授(화천전교수) : 아사다 교수에게 답함
    (138) 黃梅泉(황매천) : 梅泉 黃玹(매천 황현)
    (139) 懷吟(회음) : 회포를 읊음
    (140) 曉景(효경) : 새벽 풍경
    (141) 曉日(효일) : 새벽
79 涵月海源(함월해원)禪詩(선시) (1)~(12)
    (1) 壁上掛瓢(벽상괘표) : 벽 위에 걸린 표주박
    (2) 山客(산객) : 산속 나그네
    (3) 禪詩(선시) : 선시
    (4) 禪詩(선시) : 선시
    (5) 禪詩(선시) : 선시
    (6) 心燈花(심등화) : 마음의 등불 꽃
    (7) 再到龍湫寺(재도룡추사) : 龍湫寺에 다시 와서
    (8) 贈月松大師(증월송대사) : 월송 대사에게
    (9) 贈意慧(증의혜) : 意慧에게 줌
    (10) 知足(지족) : 만족할 줄 알고
    (11) 悟道頌(오도송) : 오도송
    (12) 涅槃頌(열반송) : 열반송
80 函虛得通(함허득통)禪詩(선시) (1)~(10)
    (1) 偈頌(게송) : 게송
    (2) 茶偈頌(다게송) : ()를 올리며 아뢰는 게송
    (3) 山居(산거) : 산에서 살며
    (4) 松堂(송당) : 솔 숲속의 집
    (5) 松皮飯(송피반) : 소나무 껍질 밥
    (6) 雨中(우중) : 비 오는 중에
    (7) 臨津船上吟(임진선상음) : 임진강 배위에서 읊다.
    (8) 題雲嶽山(제운악산) : 운악산에서
    (9) 宗風(종풍) : 종파의 풍습
    (10) 秋日書懷(추일서회) : 가을날 품은 마음을 적다
函虛得通(함허득통)禪詩(선시) (11)~(15)
    (11) 獻香(헌향) : 향을 올리며
    (12) 花咲(화소) : 꽃 웃음
    (13) 恢頭土面忘天眞(회두토면망천진) : 더벅머리 흙투성이 얼굴 天眞無垢(천진무구)로세
    (14) 悟道頌(오도송) : 오도송
    (15) 涅槃頌(열반송) : 열반송
81 海曇致益(해담치익)禪詩(선시) (1)~(12)
    (1) 警心(경심) : 경계하는 마음
    (2) 誡口(계구) : 입을 조심하고 삼가다
    (3) 樂自業(악자업) : 자신의 일을 즐겨라
    (4) 謾吟(만음) : 제목 없이 생각나는 대로 시를 지어 읊음
    (5) 守分(수분) : 分守本分을 지킴
    (6) 宿馬山浦(숙마산포) : 馬山浦에 머물며
    (7) 示了空禪子(시료공선자) : 요공스님에게 보여주다
    (8) 示指月禪子(시지월선자) : 指月스님에게 보여주다
    (9) 示衆(시중) : 대중에게 보이다
    (10) 念佛(염불) : 불경을 외움
    (11) 自吟(자음) : 스스로 읊어보네
    (12) 叅句(참구) : 參禪
82 海峯有璣(해봉유기)禪詩(선시) (1)~(2)
    (1) 庚申病中作(경신병중작) : 庚申病中에 짓다.
    (2) 碧巖覺性 影讚(벽암각성 영찬) : 碧巖覺性 禪師의 영상을 讚揚한 글
83 虛白明照禪師(허백명조선사)禪詩(선시) (1)~(10)
    (1) 伽倻山吹笛蜂(가야산취적봉) : 가야산 취적봉
    (2) 共坐山影樓示巡使(공좌산영루시순사) : 山影樓에 함께 앉아 巡使에게
    (3) 東街愚吟(동가우음) : 수양버들 늘어선 길
    (4) 登佛頂臺(등불정대) : 金剛山 佛頂臺에 올라
    (5) 復到東萊(복도동래) : 다시 東萊에 이르러
    (6) 山居(산거) : 산속에서 삶
    (7) 山居吟(산거음) : 산속에 살며 읊다
    (8) 賽行脚僧之求三(새행각승지구삼) : 행각승에게
    (9) 受大興衆請作禪偈傳後代(수대흥중청작선게전후대) : 대흥사 대중들이 禪偈를 지어 후대에 전하게 해 달라는 간청을 받고
    (10) 拾栗(습률) : 알밤을 주우려고
  虛白明照禪師(허백명조선사)禪詩(선시) (11)~(15)
    (11) 示凜師(시름사) : () 선사에게
    (12) 贈金居士(증김거사) : 金 居士에게
    (13) 次鄭同知韵(차정동지운) : 同知(동지) 答詩 次韻
    (14) 紅菊(홍국) : 붉은 국화
    (15) 幻智(환지) : 과 같은智慧
84 虛應堂普雨(허응당보우)禪詩(선시) (1)~(10)
    (1) 開窓賞春(개창 상춘) : 창문을 열고 봄 경치를 구경하며 즐김
    (2) 見山茶花(견산다화) : 산다화를 보면서
    (3) 遣興(견흥) : 흥취를 보내며
    (4) 高閑(고한) : 閑寂한 곳
    (5) 空溪(공계) : 빈 냇가에서
    (6) 橋灘夜行(교탄야행) : 교탄을 밤에 가다
    (7) 寄醉仙(기취선) : 醉仙에게 주다.
    (8) 寄醉仙(기취선) : 醉仙에게 주다.
    (9) 寄醉仙(기취선) : 醉仙에게 주다.
    (10) 寄醉仙(기취선) : 醉仙에게 주다.
虛應堂普雨(허응당보우)禪詩(선시) (11)~(20)
    (11) 洛山雜咏(낙산잡영) : 낙산에서 잡영
    (12) 南池卽事(남지즉사) : 南池에서 바로 짓다
    (13) 登望高峰(등망고봉) : 望高峰에 올라
    (14) 登悟道山(등오도산) : 悟道山에 올라
    (15) 明雄二友(명웅이우) : , 두 벗에게
    (16) 夢破餘不勝自幸快詠一律以示心知(몽파여불승자행쾌영일률이시심지) : 꿈을 깨고 나서 스스로 幸福함을 이기지 못해 를 읊어 마음에 터득한 것을 보인다.
    (17) 聞世之人 以余病退仙洞退 更築臺壇 晦養餘生 稱知行藏 善隱現云 卽述二偈. :: 世上 사람이 내가 으로 仙洞에 물러나 다시 臺壇을 쌓고 숨어서 남은 養生한다는 消息을 듣고, 할 때와 감출 때를 알아서 훌륭히 숨고 드러낼 줄 안다고 稱讚한다고 하기에 곧 두 偈頌을 지었다.
    (18) 泊三雷津 望淸平山(박삼뢰진 망청평산) : 三雷津碇泊하고 靑平山을 바라보다
    (19) 別寶上人(별보상인) : 벗과 이별하며
    (20) 別宗中禪友(별종중선우) : 宗中 禪友와 이별하며
虛應堂普雨(허응당보우)禪詩(선시) (21)~(30)
    (21) 病裏懷故山(병리회고산) : 病 中에 옛 을 그리워함
    (22) 奉和應中德軸韻(봉화응중덕축운) : 응중덕이 지은 詩軸(시축)에 삼가 화답하다 
    (23) 師子庵(사자암) : 사자암
    (24) 山居雜咏(산거잡영) 15首 中. 7 : 산에 살면서 짓다
    (25) 山居雜咏(산거잡영) 15首 中. 14 : 산에 살면서 짓다
    (26) 山居雜咏(산거잡영) : 산에 살면서 짓다
    (27) 山我兩忘(산아량망) : 산과 나를 잊음이여
    (28) 山中卽事(산중즉사) : 산에서 즉흥적으로 짓다
    (29) 上須彌庵(상수미암) : 수미암에 올라
    30) 西川對月夜遊回文(서천대월야유회문) : 西川에서 달맞이하며 밤놀이하자고 돌리는 글
虛應堂普雨(허응당보우)禪詩(선시) (31)~(40)
    (31) 西川望希夷子廟有感(서천망희이자묘유감) : 西川에서 希夷子(희이자를 바라보며 感懷가 있어
    (32) 書興(서흥) : 흥취를 쓰다
    (33) 仙洞奇遇有感(선동기우유감) : 仙洞에서 奇異한 만남에 느낌이 있어서
    (34) 禪詩(선시) : 선시
    (35) 禪心詩思爭雄不已(선심시사쟁웅불이) : 의 마음과 의 생각이 英雄을 다툼
    (36) 睡餘聞鍾卽事(수여문종즉사) : 잠을 자고 난 뒤 소리를 듣고
    (37) 宿上雲庵(숙상운암) : 구름 위 庵子에서 잠들다
    (38) 示光則兩中德(시광칙량중덕) : , 두 스님에게 보이다
    (39) 示膚上人(시부상인) : ()스님에게
    (40) 示小師法語(시소사법어) : 어린 스님에게 주는 法語
虛應堂普雨(허응당보우)禪詩(선시) (41)~(50)
    (41) 示義玉禪人, 玉以耳聾爲屈(시의옥선인, 옥이이롱위굴) : 義玉스님에게 보이다. 義玉은 귀가 먹어 주눅이 들었다
    (42) 示正因寺住持(시정인사주지) : 正因寺 住持에게 보이다
    (43) 息庵懷古(식암회고) : 息庵에서 옛날을 생각하다
    (44) 庵在雲重處(암재운중처) : 암자는 겹겹 구름 속에
    (45) 煙霞病客 邂逅玉節 眞天幸也 欽次辱贈允禪詩三絶 仰露感懷 伏冀笑擲 :: 煙霞든 나그네 使臣을 만난 것은 참으로 天幸이다. 恭敬히 보내주신 禪詩 韻字를 빌려서 우러러 感懷吐露하였으니 엎드려 웃어 버리시길 바랍니다.
    (46) 龍潭卽事(용담즉사) : 용담(龍潭)에서 보이는 대로 바로 짓다
    (47) 牛頭槐木亭(우두괴목정) : 牛頭寺槐木亭
    (48) 牛頭寺(우두사) : 우두사
    (49) 牛頭藥師殿(우두약사전) : 牛頭寺藥師殿
    (50) 又與諸小師 重尋廣石二偈(우여제소사 중심광석이게) : 또 여러 弟子와 다시 너럭바위를 찾아가다.
虛應堂普雨(허응당보우)禪詩(선시) (51)~(60)
    (51) 偶吟(우음) : 우연히 읊다.
    (52) 雲禪人求頌(운선인구송) : 雲 禪人偈頌
    (53) 有客來問山中之樂 以偈示之(유객래문산중지악 이게시지) : 어떤 나그네가 와서 山中의 즐거움을 묻기에 偈頌으로 보여주다.
    (54) 自慶吟(자경음) : 스스로 기뻐하는 노래
    (55) 自仙洞來天壇卽事(자선동래천단즉사) : 仙洞에서 天壇으로 와서 卽席에서 짓다.
    (56) 雜詠(잡영) : 이 저것 읊다
    (57) 題廣石(제광석) : 너럭바위에서
    (58) 題雙池(제쌍지) : 雙池에서
    (59) 霽夜秋窓坐詠(제야추창좌영) : 비 개인 가을 밤 가에 앉아 읊다
    (60) 題淸平抝體(제청평요체) : 淸平로 짓다.
虛應堂普雨(허응당보우)禪詩(선시) (61)~(70)
    (61) 舟中卽事(주중즉사) : 배 안에서
    (62) 贈別緝默兩禪人(증별집묵량선인) : . 두 스님과 헤어지며 주다.
    (63) 智軒萬德 訪余於淸平之祖室 求存心養性之要 及臨衆處事之方 以偈示之 :: 智軒萬德 스님이 淸平寺 祖室로 나를 찾아와 마음을 保存하고 本性을 기르는 要諦大衆하여 일에 對處하는 方法하기에 偈頌을 보여주다.
    (64) 眞佛庵(진불암) : 진불암
    (65) 次無爲子韻(차무위자운) : 無爲子를 따서
    (66) 次嵩師韻(차숭사운) : 스님의 시운을 빌려
    (67) 虛樓待月(허루대월) : 텅 빈 樓閣에서 달을 기다리며
    (68) 天壇祝釐(천단축리) : 天壇에서 祝壽하다
    (69) 淸平洞盤石上見寺僧欣迎拗體(청평동반석상견사승흔영요체) : 淸平洞 盤石에서 스님들이 반갑게 맞이함을 보고
    (70) 淸平述懷(청평술회) 1 : 청평산에서 마음에 품은 생각
虛應堂普雨(허응당보우)禪詩(선시) (71)~(80)
    (71) 淸平述懷(청평술회) 2 : 청평산에서 마음에 품은 생각
    (72) 淸平入院後書示大衆(청평입원후서시대중) : 淸平山 절집에 들어가 大衆에게 써서 보이다
    (73) 秋樓述懷(秋樓述懷) : 가을의 樓閣에서 懷抱를 적다
    (74) 淸平雜詠(청평잡영) : 淸平寺에서 읊다
    (75) 淸平八詠 1. 盤石送客 : 盤石에서 손님을 보냄
    (76) 淸平八詠 2. 龍潭看瀑 : 龍潭에서 瀑布를 보다
    (77) 淸平八詠 3. 南池照影 : 南池에 비치는 그림자
    (78) 淸平八詠 4. 西川洗衲 : 西川에서 납의(衲衣)를 씻다
    (79) 淸平八詠 5. 天壇禮象 : 天壇에서 를 올리다
    (80) 淸平八詠 6. 逍遙遣寂 : 逍遙臺에서 적적함을 달래다
虛應堂普雨(허응당보우)禪詩(선시) (81)~(88)
    (81) 淸平八詠 7. 仙洞尋幽 : 仙洞 그윽한 곳을 찾다
    (82) 淸平八詠 8. 息菴觀靜 : 식암(息菴)에서 고요함을 보다
    (83) 秋樓述懷(추루술회) : 가을 樓閣에서 述懷하다
    (84) 行上人雪中來見病僧以偈贈別(행상인설중래견병승이게증별) : 行上人이 눈 속에 든 나를 찾아왔기에 偈頌을 지어 離別하며 주다
    (85) 慧宗兩禪客 聞余有採薪之憂 來訪淸平之三聖殿 眞毘耶當日事也 聊吟一偈 以示病懷 :: . 두 스님이 내가 들었다는 消息을 듣고 淸平三聖殿으로 찾아왔다. 참으로 옛날 비야성(毘耶城)으로 維摩居士를 찾아간 舍利佛의 일에 該當한다. 이에 잠시 한 首 偈頌을 읊어 懷抱를 보이다
    (86) 還仙洞 到琴松臺 見菊花滿開 桂子半落 :: 仙洞으로 돌아와 琴松臺에 이르러 菊花는 활짝 피고 桂樹나무 열매가 쯤 떨어졌음을 보고서
    (87) 喜晴(희청) : 날이 개어 기뻐서
    (88) 臨終偈(임종게) : 임종게
85 慧庵玄門(혜암현문)禪詩(선시) (1)~(4)
    (1) 偈頌(게송) : 게송
    (2) 偈頌(게송) : 게송
    (3) 悟道頌(오도송) : 오도송
    (4) 涅槃頌(열반송) : 열반송
86 慧超(혜초)禪詩(선시) (1)~(6)
    (1) 求法詩(구법시) : 부처의 진리를 구하는
    (2) 望鄕詩(망향시) : 고향을 그리워함
    (3) 南天路 爲言(남천로 위언) : 남천의 길에서
    (4) 禪詩(선시) : 선시
    (5) 五言詩(오언시) : 印度 나게라태나(那揭羅駄娜)절에서 工夫마치고 歸國하려던 中國僧侶 病死 消息哀悼하며 지은 오언시
    (6) 播密吟(파밀음) : 播密高原을 넘으며
87 喚惺志安(환성지안)禪詩(선시) (1)~(12)
    (1) 偈頌(게송) : 게송
    (2) 登伽倻山(등가야산) : 가야산에 올라
    (3) 示道英師(시도영사) : 道英스님에게
    (4) 示學徒(시학도) : 學徒(학생)에게 보이다
    (5) 心燈(심등) : 마음의 등불
    (6) 悟道頌(오도송) : 오도송
    (7) 偶吟(우음) : 우연히 읊다
    (8) 幽居(유거) : 그윽한 곳에 살면서
    (9) 幽吟(유음) : 유유하게 살며 읊음
    (10) 題草堂(제초당) : 초당에서
    (11) 春吟(춘음) : 봄을 읊다
    (12) 呼韻(호운) : 운을 부르기에
88 晦庵定慧 大師(회암정혜 대사)禪詩(선시) (1)~(2)
    (1) 訪普聞庵主不遇(방보문암주불우) : 普聞庵 住持를 만나지 못하고
    (2) 禪詩(선시) : 선시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