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禪詩/禪師들의 禪詩

眞覺國師(진각국사)의 禪詩(선시) (11)~(20)

by 산산바다 2022. 11. 6.

산과바다

眞覺國師(진각국사) 대각원조탑비 강진 월남사지

禪師禪詩 HOME

선사의 선시 

 

 

 

                 眞覺國師(진각국사) (1178~1234)禪詩 (11)~(20)

 

 

眞覺國師(진각국사) (1178~1234. 羅州 和順縣 出身. 俗姓 崔. 號 無衣子. 字 永乙. 法諱 慧諶. 諡號 眞覺國師)

 

眞覺國師는 고려 때 스님으로 지눌 普照國師 弟子이고 禪門拈頌 30권을 지은 분이기도 하다.

고려후기 대선사, 단속사 주지 등을 역임한 승려.

성은 최씨(崔氏). 자는 영을(永乙), 자호는 무의자(無衣子). 법명은 혜심(慧諶). 전라남도 나주 출신. 아버지는 완()이며, 어머니는 배씨(裵氏)이다. 지눌의 뒤를 이어 수선사(修禪社)의 제2세 사주(社主)가 되어, 간화선(看話禪)을 강조하면서 수선사의 교세를 확장하였다.

* 생애와 활동사항 :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출가하기를 원하였지만 어머니가 허락하지 않았다. 1201(신종 4)사마시에 합격하여 태학(太學)에 들어갔으나, 다음 해 어머니가 죽자, 당시 조계산(曹溪山)에서 수선사를 만들어 교화 활동을 하고 있던 지눌(知訥)에게 가서 어머니의 재()를 올린 다음, 지눌의 제자가 되었다. 이때부터 그는 힘써 정진하였으며, 지눌은 혜심의 재능을 아꼈다.

1210년 지눌이 입적(入寂)하자 혜심이 수선사로 돌아가 개당(開堂)하였다. 1212년 강종(康宗)이 수선사를 증축시키고 불법을 구하므로 그가 심요(心要)를 지어 올렸고, 당시 문하시중최우(崔瑀)는 그에게 두 아들을 출가시켰다. 고종(高宗)은 왕위에 올라 혜심에게 선사(禪師)에 이어, 대선사를 제수하였으며, 1220(고종 7)단속사(斷俗寺) 주지로 명하였다.

1234626일에 문인들을 불러 여러 가지 일을 부탁한 뒤 입적하였다. 나이 56, 법랍 32세였다.

문인에는 몽여(夢如진훈(眞訓각운(覺雲마곡 등이 있다. 저서로는 선문염송집(禪門拈頌集)30, 심요1, 조계진각국사어록(曹溪眞覺國師語錄)1, 구자무불성화간병론(狗子無佛性話揀病論)1, 무의자시집(無衣子詩集)2, 금강경찬(金剛經贊)1, 선문강요(禪門綱要)1권이 있다.

* 상훈과 추모 : 고종은 진각국사(眞覺國師)라는 시호를 내리고, 부도(浮屠)의 이름을 원소지탑(圓炤之塔)이라 사액(賜額)하였다. 부도는 광원암(廣遠庵) 북쪽에, 이규보(李奎報)가 찬한 진각국사비(眞覺國師碑)는 전라남도 강진군월남산 월남사(月南寺)에 각각 세워졌다. 현재 비문은 잔비(殘碑)만이 전해 오고 있으며, 동국이상국집, 동문선, 조선금석총람등에 그 글이 수록되어 있다.

 

 

(11) 對影(대영) : 그림자를 마주보며

 

池邊獨自坐 ~ 못 가에 홀로 앉아 있다가

池低偶逢僧 ~ 못 아래서 偶然히 어떤 중을 만났는데

黙黙笑相視 ~ 말없이 가만히 웃으며 바라보니

知君語不應 ~ 말해도 하지 않을 그대(自身의 그림자)를 알겠노라.

 

 

 

(12) 東臺卽事(동대즉사) : 동대에서 불현 듯 짓다

 

綠瘦黃肥田野濶 ~ 綠色 엷어지고 黃色 짙어져 들판 탁 트이고

蒼凹翠凸海山重 ~ 푸른색은 들고 翡翠色(비취색)은 나와서 과 바다는 무거워진다.

最憐壁立千巖上 ~ 가장 사랑스러움은 一千 바위 위에 서서

坐依和雲萬世松 ~ 구름과 함께 앉은 一萬 年 살아있는 소나무로구나.

 

 

 

(13) 木蓮(목련) : 목련

 

見葉初疑柿 ~ 잎사귀는 감잎인가 疑心스럽고

看花又是蓮 ~ 꽃을 보면 또 꽃 같네.

可憐無定相 ~ 서글프다 一定이 없는 것

不落兩頭邊 ~ 便에도 저 便에도 매이지 않았네.

 

 

 

(14) 無題(무제) : 무제

 

摩竭當年老葛藤 ~ 摩竭陀國(마갈타국) 當時의 늙은 칡덩굴

蔓來時復繞山僧 ~ 뻗어 와 이 山僧을 에워싼 끝에

五旬困絆無廻避 ~ 五旬이나 뒤엉켜 애태우더니

今日芟除喜不勝 ~ 오늘 온통 베어 버려 爽快(상쾌)도 하네.

 

* 五旬(오순) : 50

* 摩竭(마갈) : Magadha音譯摩竭陀略稱. 印度에 있던 나라 이름. 부처님께서 깨달으신 고장이다.

 

 

 

(15) 文殊章(문수장) : 문수장

 

妄認心身受苦輪 ~ 心身이 고통의 수레바퀴라 잘못 안다면

都緣不識天眞佛 ~ 모두가 自然이 부처임을 모르는 탓이라.

欲知法行最初因 ~ 의 실천이 최초의 인과임을 알면

空本無花天一月 ~ 空間本來 꽃 없고 하늘에 달이 있다.

 

* 文殊章(문수장) : 圓覺經 HOME

 

 

 

(16) 彌勒章(미륵장) : 미륵장

 

衆生病本全癡受 ~ 衆生의 병은 元來 어리석음에서 얻은 것

菩薩醫方大智悲 ~ 보살의 의료 處方은 커다란 智慧慈悲.

病去藥除方自制 ~ 이 낫고 도 사라져야 스스로 다스려져

妙藏嚴域任遊戱 ~ 奧妙하고 장엄한 境地에서 마음대로 놀리라.

 

* 彌勒章(미륵장) : 圓覺經 HOME

 

 

 

(17) 憫世(민세) 1 : 世上 憫望(민망)하여

 

服食矯奢德不修 ~ 衣食奢侈(사치)하고 驕慢(교만)함은 을 닦지 않은 탓이니

農公蠶母見幽囚 ~ 農事짓는 아버지와 누에치는 어머니는 罪人으로 본다.

從玆擧世受寒餓 ~ 이런 奢侈驕慢을 따르면 世上이 추위와 굶주림 받으리니

爲報時人信也不 ~ 時代 사람들을 하여 알리노니 믿어 줄는지 몰라라.

 

 

 

(18) 憫世(민세) 2 : 世上 憫望(민망)하여

 

田蠶不熟已多年 ~ 논농사도 누에농사도 이미 몇 년이나 흉년이라

饑饉相仍疾疫連 ~ 기아와 흉년이 이어지고 질병도 계속된다.

禍本無門人所召 ~ 災殃이란 本來 들어오는 없고 사람이 불러오는 것

不知自作怨諸天 ~ 自身이 만든 줄도 모르고 하늘만 怨望한다.

 

 

 

(19) 白雲臺上憶先師(백운대상억선사) : 白雲臺에서 禪師回想하다

 

江山如畵出 ~ 江山은 그림인 듯 솟아있고

巖嶂似屛開 ~ 바위屛風인 듯 둘러있었다.

曾向先師口 ~ 일찍이 禪師說法하는 입

幾經呑吐來 ~ 이나 왔다는 말 했었다.

 

 

 

(20) 普賢章(보현장) : 보현장

 

幻修如木兩相磨 ~ 幻想修行은 두 나무가 서로 갈리는 것

火了煙灰都散滅 ~ 불타고 나면 煙氣와 재 모두 흩어져 消滅된다.

欲知末後句如何 ~ 마지막 眞理의 말이 어떠한가를 알려고 하면

萬里凝然一條鐵 ~ 萬 里 머나먼 길이 한 가닥 쇠사슬로 되리라.

 

* 普賢章(보현장) : 圓覺經 HOME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