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선사의 선시
圓鑑國師, 圓鑑沖止(원감국사, 원감충지) (1226~1292)의 禪詩 (71)~(80)
● 圓鑑國師, 圓鑑沖止, 釋圓鑑(원감국사, 원감충지, 석원감) (1226~1292. 高麗 . 俗名 魏元凱. 本貫 長興. 諡號(시호) 圓鑑國師. 定安 <現在의 長興人. 처음 法名은 法桓. 後에 沖紙. 自稱 號를 宓庵이라 함)
* 원감국사 충지(圓鑑國師 沖止) (1226∼1292)
고려시대 선승(禪僧). 수성사(修禪社) 제6세(世). 성은 위(魏)씨. 속명은 원개 (元凱). 본래의 법명은 법환(法桓), 뒤의 법명은 충지. 자호는 복암(宓庵). 전 라남도 장흥출신. 아버지는 호부원외랑(戶部員外郞) 호소(號紹)이며, 어머니 는 이부원외랑(吏部員外郞) 송자옥(宋子沃)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선림(禪林) 에 나아가 득도하기를 원하였지만 양친의 허락을 얻지 못하여 관직에 몸을 담고 있었으나, 29세에 선원사(禪源社)의 원오국사(圓悟國師) 문하에 들어가 승려가 되었다. 비구계를 받은지 오래지 않아 남쪽의 여러 지방을 순력하였 는데, 이는 항상 도를 얻고자 53선지식(善知識)을 찾아다닌 <화엄경> 속의 선재동자(善財童子)를 본받고자 함이었다.
1266년(원종 7) 여름에 원오국사의 교유(敎諭)와 조지(朝旨)로 인하여 부득이 경상남도 김해군의 감로사(甘露寺) 의 주지가 되었다. 1269년 삼중대사(三重大師)가 되었고, 다시 3년 후에는 감 로사를 떠나 승주군의 수선사로 옮겼다. 이때까지만 해도 그는 보조국사(普 照國師)로부터 시작된 수선사의 법통을 이어받을 기미가 없었고, 오히려 선 (禪)보다는 교(敎)에 치중하였다.
1283년 11월에는 대중을 거느리고 조계산을 출발하여 원오국사가 선원사에서 수선(修繕)하여 수선사로 옮기던 거란본대 장경을 도중에 맞이하여 나누어 지고 왔고, <단본대장경경찬소(丹本大藏經慶 讚疏)>와 시를 지었다. 1284년 수선사를 떠나 지리산 상무주암(上無住庵)으 로 옮겨 선정을 닦고 있던 중 1286년 2월에 원오국사가 그를 수선사의 사주 (社主)로 추천하는 장문(狀聞)을 왕에게 올리고 입적하였다. 장문을 받은 충 렬왕은 원외시랑(員外侍郞) 김호담(金浩淡)을 시켜 그로 하여금 6월 16일에 개당(開堂)하게 함에 따라 수선사의 제6세가 되었다.
불교의 삼장(三藏)에 이 해가 깊었을 뿐 아니라 사림(詞林)에도 조예가 깊었으며, 문장과 시는 당대의 유림에서도 추앙을 받았다. 도를 닦음에 있어서 육조(六祖) 혜능(慧能)이 오 조(五祖) 홍인(弘忍)에게서 법을 인가받은 파강이 경지에 이르지 못함을 부 끄러워하였지만, 수선사 제1세였던 지눌의 순수선시대와는 달리 유학사상과 상교(相交)하는 선풍(禪風)을 풍기고 있다.
그래서 그는 유사(儒士)들처럼 천 명을 믿고 운명에 안주하는 유선조화(儒禪調和)의 사상조류를 보였고, 상제상 천(上帝上天)의 신앙을 통하여 유도이교(儒道二敎)를 불교속에 수용하기도 하였다. 그의 선풍은 무념무사(無念無事)를 으뜸으로 삼았고, 지관(止觀)의 수행문 중 지(止)를 중시하였으며, 선교일치(禪敎一致)를 주장하여 지눌의 종 풍(宗風)을 계승하였다.
1292년 1월 10일 삭발 목욕한 뒤 옷을 갈아입고 문인 (門人)들에게 "생사(生死)가 있는 것은 인생의 일이다. 나는 마땅히 가리니 너희는 잘 있거라."는 말을 남겼다. 정오가 지나자 분향하고 축원을 올린 뒤 선상(禪床)에 앉아 '설본무설(說本無說)'이라 설하고, 문인들이 청하는 바에 따라 "돌아보니 세상살이 67년인데, 오늘 아침 모든 일을 마쳤네. 고향으로 돌아가는 길은 탄연하여 평탄하고, 노두가 분명하니 어찌 길을 잃으랴. 손에는 겨우 하나의 대지팡이뿐이지만, 가는 길에 다리가 피로하지 않을 것이 또 한 기뻐라(閱過行年六十七 及到今朝萬事畢 故鄕歸路坦然平 路頭分明未曾失 手中裳有一枝 且喜途中脚不倦)."라는 게송(偈頌)을 남기고 입적하였다. 법랍 39세였다. 저서로는 문집인 <원감국사집(圓鑑國師集)> 1권이 남아 있으며, <동문선>에도 시와 글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충렬왕은 원감국사(圓鑑國師)라는 시호와 함께 보명(寶明)이라는 탑명(塔名)을 내렸다.
(71) 卽事(즉사) : 즉흥적으로
半晴半雨天陰陰 ~ 개었다가 비 뿌리다 하늘은 칙칙한데
似暖似寒春寂寂 ~ 따뜻한 듯 쌀쌀한 듯 이 봄 또한 心亂하구나
閉門憨臥到黃昏 ~ 門 닫고 홀로 누워 黃昏에 이르나니
隱隱疎鐘撼窓壁 ~ 먼 절의 소북소리 窓壁에 와 부딪네.
* 憨臥(감와) : 오랫동안 누워 있다.
(72) 曾有擬古之作追而錄之(증유의고지작추이록지) : 옛사람의 詩를 본받아 지은 詩
大湖萬頃餘 ~ 큰 湖水에 萬 이랑의 물결이 일다가
風息波亦息 ~ 바람이 잦아드니 波濤 亦是 쉬는구나.
人心方寸間 ~ 四方 한 치의 사람 마음에서
浪起常千尺 ~ 千 자의 물결이 恒常 일어나네.
(73) 至元九年壬申三月初入定惠作偈示同梵(지원구년임신삼월초입정혜작게시동범) : 1272年 3月 初 처음 定惠寺에 들어가 偈頌을 지어 스님들에게 보임
鷄足峰前古道場 ~ 鷄足峰(계족봉) 앞의 옛 道場
今來山翠別生光 ~ 이제 오니 山이 푸르러 유난히 빛이 나네.
廣長自有淸溪舌 ~ 맑은 시냇물이 절로 수많은 說法을 하고 있는데
何必喃喃更擧揚 ~ 다시 새삼 재잘재잘 떠들 必要 있을까?
* 鷄足峰(계족봉) : 定惠寺가 있던 山. 只今은 鷄足山이라 한다.
* 定惠寺 : 全南 順川市에 있는 절. 沖止의 스승 慧炤國師가 처음 절을 짓다가 完成하지 못한 것을 弟子들이 完成시켰다가 戰爭으로 荒廢해진것을 沖止가 다시 復元시켰다.
(74) 初春寄悅禪伯(초춘기열선백) : 初봄에 悅 禪伯에게 드림
寒喧代謝是尋常 ~ 추위 더위 바뀌는 것 恒常 있는 일인데
人盡奔波賀歲忙 ~ 사람들은 모두 다 새해 祝賀 바쁘네.
舊去新來何所喜 ~ 한 해가 가고 옴이 무엇 그리 기쁜가?
鬢邊添得一莖霜 ~ 한 줄기 흰 서리만이 살쩍 가에 더할 뿐이건만.
寒喧代謝是尋常 ~ 추위 더위 바뀌는 건 日常의 일인데
人盡奔波賀歲忙 ~ 사람들 모두 새해 人事로 奔走하네.
舊去新來何所喜 ~ 묵은 해 가고 새해 온들 무엇이 기쁘랴
鬢邊添得一莖霜 ~ 귀밑머리에 흰 터럭 한 올만 늘었는데.
* 禪伯(선백) : 經綸이 있는 中鎭 禪修行者.
(75) 秋山(추산) : 가을 산
秋深林壑盡爛斑 ~ 가을 깊은 숲 골짜기 온통 반짝이는데
散步徑行畵障間 ~ 천천히 그림 屛風 속을 지름길로 걷는다.
恰似錢王歸故里 ~ 恰似(흡사) 돈 많은 富者가 故鄕으로 돌아가
都將錦繡裹溪山 ~ 緋緞(비단)을 사서 溪山을 싸버린 듯.
(76) 追和宏紹禪人訪到山中見贈之什(추화굉소선인방도산중견증지십) : 宏紹禪人(굉소선인)이 山中을 訪問하여 준 詩에 答하여
鷄桀元非丹鳳留 ~ 닭의 홰는 元來 鳳凰이 머물 곳이 아니고
駑閑不是瑞麟遊 ~ 駑馬(노마)의 마구간은 瑞隣(서린)이 노닐 데 아니다.
豈圖微雨同床夜 ~ 어찌 가랑비 내리는 밤 寢床을 같이 할 줄 알았으랴
正値新凉別洞秋 ~ 때맞추어 新鮮한 바람 이는 別天地의 가을 아닌가.
高捲疎簾看疊聚 ~ 성긴 珠簾(주렴) 높이 걷고 疊疊한 山을 바라보며
靜憑危檻聽奔流 ~고요히 오뚝한 欄干에 기대여 흐르는 물소리 듣네.
邇來淸景無人共 ~ 近來 맑은 景致 같이 할 사람 없어
竟日寥寥守獨幽 ~ 終日토록 고요히 홀로 외로움 지키네.
(77) 祝舍弟文凱就官韻(축사제문개취관운) : 아우 魏文凱(위문개)가 벼슬길에 오른 일을 祝賀한 詩
黃金榜首吾曾占 ~ 黃金 방 首席은 내 일찍 차지했으니
丹桂巍科子亦收 ~ 丹桂(단계)의 높은 가지 그대 또한 얻었구나.
千萬古來稀有事 ~ 이는 千古萬古토록 드문 일이라
一家生得二龍頭 ~ 한 집안에서 龍頭가 둘씩이나 나왔다니.
(78) 閑居(한거) : 한가롭게 지냄
百結霞衣五綴盂 ~ 온통 기운 누더기 옷과 꿰맨 鉢盂에
平生睡足復何須 ~ 한 平生 充分한 잠자니 무얼 더 바랄까.
雨餘深院無人到 ~ 비 갠 깊은 절에 찾는 사람 하나 없어
閑倚風欞只自娛 ~ 閑暇히 바람 부는 欄干에 기대어 스스로 즐기노라.
(79) 閑中遣(한중견) : 閑暇로이 보냄며
野性便幽獨 ~ 타고난 性品이 모르는 곳에 홀로 있기 좋아하여
棲遲寄翠微 ~ 푸른 山빛에 깃들어 느긋하게 살아가네.
光陰雙雪鬢 ~ 歲月이 흘러 두 귀밑머리엔 눈이 내렸고
活計一霞衣 ~ 살아갈 計策은 한 벌 長衫(장삼)뿐이로다.
帶雨移松栽 ~ 비 맞으며 소나무를 옮겨 심고
和雲掩竹扉 ~ 구름 따라 대나무 사립門을 닫는다.
山華輕綉幕 ~ 山꽃은 가벼워 수놓은 帳幕(장막)과 같고
庭栢當羅幃 ~ 뜰 앞의 잣나무는 揮帳을 펼친 듯.
靜對爐煙細 ~ 가느다랗게 피어오르는 火爐의 煙氣 고요히 對하고
閑看磴蘚肥 ~ 돌다리에 도톰하게 자라나는 이끼를 閑暇로이 보기도 하네.
人來休問我 ~ 사람들아 내게 와서 묻지 말게나.
早與世相違 ~ 일찌감치 나는 世上 사람들과 어긋났다오.
(80) 閑中偶書(한중우서) 1 : 閑暇로운 中에 偶然히 짓다
古寺無人到 ~ 아무도 오지 않는 옛 절
林深日更長 ~ 숲이 깊어 해가 더욱 길다.
嫩苔初上砌 ~ 연한 이끼는 섬돌에 막 오르고
新竹欲過墻 ~ 새 대나무 담장 위를 지나려 한다.
雨浥芭蕉綠 ~ 비에 젖은 芭蕉(파초)는 더욱 푸르고
風傳芍藥香 ~ 바람에 날려 傳해오는 작약 香氣.
坐慵聊散步 ~ 앉았기도 지쳐 散步길 나서보니
襟袂有餘凉 ~ 소맷자락에 남아있는 서늘한 氣運이 인다.
산과바다 이계도
'禪詩 > 禪師들의 禪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元曉國師(원효국사)의 禪詩(선시) (1)~(2) (0) | 2022.11.04 |
---|---|
圓鑑國師, 圓鑑沖止(원감국사, 원감충지)의 禪詩(선시) (81)~(88) (0) | 2022.11.04 |
圓鑑國師, 圓鑑沖止(원감국사, 원감충지)의 禪詩(선시) (61)~(70) (0) | 2022.11.04 |
圓鑑國師, 圓鑑沖止(원감국사, 원감충지)의 禪詩(선시) (51)~(60) (0) | 2022.11.04 |
圓鑑國師, 圓鑑沖止(원감국사, 원감충지)의 禪詩(선시) (41)~(50) (0) | 2022.1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