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禪詩/禪師들의 禪詩

圓鑑國師, 圓鑑沖止(원감국사, 원감충지)의 禪詩(선시) (51)~(60)

by 산산바다 2022. 11. 4.

산과바다

禪師禪詩 HOME

선사의 선시 

 

 

 

                 圓鑑國師, 圓鑑沖止(원감국사, 원감충지) (1226~1292)禪詩 (51)~(60)

 

 

圓鑑國師, 圓鑑沖止, 釋圓鑑(원감국사, 원감충지, 석원감) (1226~1292. 高麗 . 俗名 魏元凱. 本貫 長興. 諡號(시호) 圓鑑國師. 定安 <現在長興人. 처음 法名法桓. 沖紙. 自稱 號宓庵이라 함)

 

* 원감국사 충지(圓鑑國師 沖止(12261292)

고려시대 선승(禪僧). 수성사(修禪社) 6(). 성은 위(). 속명은 원개 (元凱). 본래의 법명은 법환(法桓), 뒤의 법명은 충지. 자호는 복암(宓庵). 전 라남도 장흥출신. 아버지는 호부원외랑(戶部員外郞) 호소(號紹)이며, 어머니 는 이부원외랑(吏部員外郞) 송자옥(宋子沃)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선림(禪林) 에 나아가 득도하기를 원하였지만 양친의 허락을 얻지 못하여 관직에 몸을 담고 있었으나, 29세에 선원사(禪源社)의 원오국사(圓悟國師) 문하에 들어가 승려가 되었다. 비구계를 받은지 오래지 않아 남쪽의 여러 지방을 순력하였 는데, 이는 항상 도를 얻고자 53선지식(善知識)을 찾아다닌 <화엄경> 속의 선재동자(善財童子)를 본받고자 함이었다.

1266(원종 7) 여름에 원오국사의 교유(敎諭)와 조지(朝旨)로 인하여 부득이 경상남도 김해군의 감로사(甘露寺) 의 주지가 되었다. 1269년 삼중대사(三重大師)가 되었고, 다시 3년 후에는 감 로사를 떠나 승주군의 수선사로 옮겼다. 이때까지만 해도 그는 보조국사(普 照國師)로부터 시작된 수선사의 법통을 이어받을 기미가 없었고, 오히려 선 ()보다는 교()에 치중하였다.

128311월에는 대중을 거느리고 조계산을 출발하여 원오국사가 선원사에서 수선(修繕)하여 수선사로 옮기던 거란본대 장경을 도중에 맞이하여 나누어 지고 왔고, <단본대장경경찬소(丹本大藏經慶 讚疏)>와 시를 지었다. 1284년 수선사를 떠나 지리산 상무주암(上無住庵)으 로 옮겨 선정을 닦고 있던 중 12862월에 원오국사가 그를 수선사의 사주 (社主)로 추천하는 장문(狀聞)을 왕에게 올리고 입적하였다. 장문을 받은 충 렬왕은 원외시랑(員外侍郞) 김호담(金浩淡)을 시켜 그로 하여금 616일에 개당(開堂)하게 함에 따라 수선사의 제6세가 되었다.

불교의 삼장(三藏)에 이 해가 깊었을 뿐 아니라 사림(詞林)에도 조예가 깊었으며, 문장과 시는 당대의 유림에서도 추앙을 받았다. 도를 닦음에 있어서 육조(六祖) 혜능(慧能)이 오 조(五祖) 홍인(弘忍)에게서 법을 인가받은 파강이 경지에 이르지 못함을 부 끄러워하였지만, 수선사 제1세였던 지눌의 순수선시대와는 달리 유학사상과 상교(相交)하는 선풍(禪風)을 풍기고 있다.

그래서 그는 유사(儒士)들처럼 천 명을 믿고 운명에 안주하는 유선조화(儒禪調和)의 사상조류를 보였고, 상제상 천(上帝上天)의 신앙을 통하여 유도이교(儒道二敎)를 불교속에 수용하기도 하였다. 그의 선풍은 무념무사(無念無事)를 으뜸으로 삼았고, 지관(止觀)의 수행문 중 지()를 중시하였으며, 선교일치(禪敎一致)를 주장하여 지눌의 종 풍(宗風)을 계승하였다.

1292110일 삭발 목욕한 뒤 옷을 갈아입고 문인 (門人)들에게 "생사(生死)가 있는 것은 인생의 일이다. 나는 마땅히 가리니 너희는 잘 있거라."는 말을 남겼다. 정오가 지나자 분향하고 축원을 올린 뒤 선상(禪床)에 앉아 '설본무설(說本無說)'이라 설하고, 문인들이 청하는 바에 따라 "돌아보니 세상살이 67년인데, 오늘 아침 모든 일을 마쳤네. 고향으로 돌아가는 길은 탄연하여 평탄하고, 노두가 분명하니 어찌 길을 잃으랴. 손에는 겨우 하나의 대지팡이뿐이지만, 가는 길에 다리가 피로하지 않을 것이 또 한 기뻐라(閱過行年六十七 及到今朝萬事畢 故鄕歸路坦然平 路頭分明未曾失 手中裳有一枝 且喜途中脚不倦)."라는 게송(偈頌)을 남기고 입적하였다. 법랍 39세였다. 저서로는 문집인 <원감국사집(圓鑑國師集)> 1권이 남아 있으며, <동문선>에도 시와 글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충렬왕은 원감국사(圓鑑國師)라는 시호와 함께 보명(寶明)이라는 탑명(塔名)을 내렸다.

 

 

(51) 雨中睡起(우중수기) : 비는 내리는 데 잠에서 일어나

 

禪房閑寂似無僧 ~ 禪房이 한적하여 僧侶가 아무도 없는 듯

雨浥低簷薜荔層 ~ 비에 젖은 처마 아래 담쟁이덩굴이 보인다.

午睡驚來日已夕 ~ 낮잠에서 깨어나니 해는 이미 저녁

山童吹火上龕燈 ~ 山村의 아이가 불을 붙여 龕燈(감등)으로 올라간다.

 

 

 

(52) 圓炤塔院秋日雨中作(원소탑원추일우중작) : 圓炤塔院에 가을날 비 내리는데

 

小院凄凉秋雨零 ~ 凄凉한 작은 절에 가을비는 내리고

疎林病葉墮空庭 ~ 성긴 숲의 든 나뭇잎 빈 뜰에 떨어진다.

倚簷唯有山茶樹 ~ 처마에 기대어 있으니 차나무만 보이는데

暑去寒來一樣靑 ~ 더위 가고 추위가 와도 언제나 푸르구나.

 

 

 

(53) 月夜登東樓(월야등동루) : 달밤에 樓臺에 올라

 

小樓高與廣寒隣 ~ 작은 樓臺 높은 廣寒樓만큼 차고 가까워

露洗風磨絶點塵 ~ 이슬에 씻기고 바람에 닦여 티끌 한 없구나.

入夜登臨肌骨爽 ~ 밤들어 올라보니 肌骨(기골)까지 시원하니

應逢駕鶴羽衣人 ~ 반드시 타고 나타나는 神仙과 만나리라.

 

 

 

(54) 幽居(유거) : 속세를 떠나 그윽하고 외딴곳에 묻혀 삶

 

棲息紛華外 ~ 一體繁華(번화) 밖에서 살며

優游紫翠間 ~ 붉고 푸른 숲에 멋대로 노닌다.

松廊春更靜 ~ 솔 행랑채는 봄날에 더욱 고요하고

竹戶晝猶關 ~ 대나무 大門은 낮에도 늘 잠겨있다.

簷短先邀月 ~ 추녀 끝이 짧아 달을 먼저 맞고

墻低不礙山 ~ 담장 높이 낮아 이 가리지 않는다.

雨餘溪水急 ~ 비 온 뒤라 시냇물 히 흐르고

風定嶺雲閑 ~ 바람 자니 고개구름 閑暇하다.

谷密鹿攸伏 ~ 깊은 골짝에 사슴이 엎드려있고

林稠禽自還 ~ 빽빽한 숲에 새가 절로 돌아온다.

翛然度晨暝 ~ 새벽 저녁을 閑暇히 보내니

聊以養疏頑 ~ 게으르고 둔한 버릇 기르기 알맞아라.

 

 

 

(55) 遊楞伽山(유능가산) : 능가산을 유람하며

 

舊聞海上有名山 ~ 바다 위에 名山이 있다는 말 들었는데

幸得遊尋斷宿攀 ~ 찾아와 다행히 宿願을 풀었도다.

萬壑煙嵐行坐裏 ~ 앉거나 거니는 가운데 온 골짜기의 안개

千重島嶼顧瞻間 ~ 앞을 보나 뒤를 보나 겹겹이 섬들이로다.

義湘庵峻天連棟 ~ 높은 義湘庵(의상암)은 지붕이 하늘에 맞닿고

慈氏堂深石作關 ~ 彌勒菩薩(미륵보살) 慈氏堂은 돌로 을 만들었다

避世高棲無此地 ~ 世上 피해 사는 높은 樓閣은 이만한 곳 없고

堪誇倦鳥解知還 ~ 지친 새 돌아올 줄 안 것을 자랑할 만하도다.

 

 

 

(56) 遊山回過三郞樓舟中作(유산회과삼랑루주중작) : 에 놀고 돌아오다가 三郞樓를 지나며 배 위에서 짓다

 

杖回五老峯前路 ~ 지팡이는 五老峰 앞길을 지나고

舟過三郞樓下灣 ~ 배는 三郞樓 밑의 물굽이를 지내나니

沙鳥馴人不驚避 ~ 모래밭 새는 사람과 친해 놀라 피하지 않고

掠帆飛過又飛還 ~ 돛을 스쳐 날아갔다가 또 날아 돌아오네.

 

 

 

(57) 遊元興寺林亭(유원흥사림정) : 元興寺 숲 속 亭子에 노닐며

 

滿山松柏鬱蒼蒼 ~ 에 가득한 소나무 잣나무 울창하고

中有高禪水石莊 ~ 그 안에는 高僧水石 莊園(장원)이 있다.

一杖來遊良有意 ~ 지팡이 짚고 와 노님에는 뜻이 있나니

小亭閑味要同當 ~ 작은 亭子 閑暇한 멋 같이해야 함이라.

 

 

 

(58) 有一禪德請詩(유일선덕청시) : 어떤 禪僧하여

 

春日花開桂苑中 ~ 봄날 桂樹나무 동산에 꽃이 피어

暗香不動少林風 ~ 少林寺의 바람에도 香氣 나지 않더니

今朝果熟沾甘露 ~ 오늘에야 과일 익어 단 이슬에 젖었으니

無限人天一味同 ~ 無限世上 사람들이 모두 한맛일랑 보리라.

 

 

 

(59) 有一禪者答云(유일선자답운) : 禪僧이 이르기를

 

寅漿飫一杓 ~ 아침엔 () ()주박

午飯飽一盂 ~ 點心으로는 한 바릿대

渴來茶三椀 ~ 목마르면

不管會有無 ~ 깨우침 있고 없고야 相關없네.

 

 

 

(60) 自敍(자서) : 자기 자신에 대한 일을 자기가 서술함

 

光陰忽已邁 ~ 歲月이란 참으로 빨리 지나니

老病鎭相依 ~ 늙음과 이 잇달아 따르는구나.

脚跛筇全力 ~ 절룩이는 다리는 지팡이만 믿고

身羸帶減圍 ~ 여윈 몸에 허리띠는 줄어드는구나.

飽閑仍得懶 ~ 배부르고 閑暇하니 나태해지나

飧道不成肥 ~ 를 먹고 사는 몸 살찌지 않는다.

日晏方麤糲 ~ 해 늦어서야 비로소 꽁보리 朝飯

春深尙衲衣 ~ 봄은 다 갔으나 아직 묵은 누비옷

居貧禪侶少 ~ 살림이 가난하니 參禪 동무 적고

城遠俗緣稀 ~ 고을이 멀어 世俗 因緣도 드물구나.

獨有孤雲伴 ~ 오직 외로운 구름과 짝이 되어

時從簷下歸 ~ 때때로 처마 아래로 돌아가노라.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