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선사의 선시
太古普愚國師(태고보우국사) (1301~1382)의 禪詩 (1)~(10)
● 太古普愚國師(태고보우국사) (1301~1382. 高麗 僧侶. 法號 太古. 첫 法名은 善虛. 法名 普愚. 俗姓 洪氏로 本貫과 出生 洪州 - 現 忠南 洪城)
고려 승려. 호 태고(太古)ㆍ보허(普虛), 속성은 홍(洪), 시호 원증(圓證). 탑호(塔號) 보월승공(寶月昇空)
* 생애와 활동 사항
13세에 출가하여 회암사(檜巖寺) 광지(廣智)의 제자가 되었고, 가지산(迦智山)에서 수행하였다. 19세부터 만법귀일(萬法歸一) 화두를 참구하였고, 26세에 화엄선(華嚴選)에 합격한 뒤, 선(禪) 수행에 몰두하였다. 1330년(충숙왕 17) 용문산 상원암(上院庵)에서 관음 기도를 하고, 1333년(충숙왕 복위 2) 성서(城西) 감로암(甘露庵)에서 정진하였으며, 1337년 불각사(佛脚寺)에서 『원각경(圓覺經)』을 읽다가 모든 알음알이를 타파한 뒤, 송도(松都)의 전단원(栴檀園)에서 무자(無字) 화두를 참구하던 중, 1338년 1월 크게 깨달았다.
그 뒤 양근(楊根)의 초당에서 어버이를 봉양하며 1,700칙(則) 공안을 점검하였고, 1339년 소요산 백운암(白雲庵)에서 「백운가」를 지었다.
1341년(충혜왕 복위 2) 중흥사(重興寺)에서 후학들을 지도하면서, 중흥사 동쪽에 태고암(太古庵)을 창건하여 5년 동안 머물 때 「태고암가」 1편을 지었다.
1346년(충목왕 2) 원나라 연경(燕京) 대관사(大觀寺)에 머물 때, 궁중에서 『반야경(般若經)』을 강설하였다.
1347년 7월 호주(湖州) 천호암(天湖庵)에서 석옥(石屋)에게 도를 인정받고, 「태고암가」의 발문과 가사(袈裟)를 받았다. 1348년 귀국하여 중흥사에 있다가, 미원(迷源)의 소설산(小雪山)에서 4년 동안 깨달음 뒤의 수행을 하였다. 이때 「산중자락가(山中自樂歌)」를 지었다. 1352년(공민왕 1) 궁중에서 설법하였으며 경룡사(敬龍寺)에 있었는데, 홍건적의 난을 피해 소설산으로 옮겼다.
1356년 왕의 청으로 봉은사(奉恩寺)에서 설법하였고, 그해 4월 왕사(王師)로 책봉되어 광명사(廣明寺)에 머물렀다. 1362년 왕은 그를 희양산 봉암사(鳳巖寺)에 있게 하였고,
1363년 가지산 보림사(寶林寺)로 옮기게 하였다. 그때 왕에게 총애 받던 신돈(辛旽)을 경계하는 글을 올리고 전주 보광사(普光寺)에 가서 머물렀다.
1368년 신돈의 참언(讒言)으로 속리산에 금고(禁錮)되었는데, 이듬해 3월 왕이 이를 뉘우치고 다시 소설산으로 돌아오게 하였다. 1371년 공민왕은 그를 국사로 봉한 뒤 영원사(營原寺)에 머물기를 청하였으나 사양하였다.
1381년(우왕 7) 양산사(陽山寺)로 옮겼는데, 우왕은 다시 국사로 봉하였다.
1382년 소설산으로 돌아와서 12월 17일 입적하였다. 나이 82세, 법랍 69세였다.
(1) 古佛覺(고불각) : 老長 僧侶의 깨달음
趙州古佛老 ~ 趙州의 老長 僧侶가
坐斷千聖路 ~ 千 聖人처럼 되길 決斷하고 앉아
吹毛覿面提 ~ 吹毛劍(취모검) 휘둘러 드러나는 面目을 보려하나
通身無孔竅 ~ 몸에 通하는 구멍이 없네.
狐兎絶潛踪 ~ 疑心하는 토끼(칠통漆桶)는 자취도 없고
飜身師子露 ~ 飜身(번신)하여 師子(自性)가 드러났네.
打破牢關後 ~ 가둬둔 우리를 때려 부수니
淸風吹太古 ~ 맑은 바람 太古에 불어오네.
* 吹毛劍이란 : 칼날 위에 솜털을 올려놓고 입으로 불면 끊어지는 銳利하고 날카로운 칼로 古代의 名劍이다. 禪語錄에는 金剛寶劍, 鏌鋣劒(막鋣검), 關羽 張軍의 大刀가 자주 登場하는데, 般若의 智慧의 靈妙한 作用을 比喩한 것이다.
維摩經에 智慧의 劍으로 煩惱의 寂을 打破한다고 하는 것처럼, 一切의 思量分別을 끊어버리고 곧바로 如來의 境地를 體得하는 것을 比喩한 것이다.
* 漆桶(칠통) : 無始以來 쌓인 煩惱가 佛性을 덮고 있는 狀態.• 아주 까맣고 깜깜하여 아무 곳도 알 수 없는 狀態.
(2) 古林(고림) : 오랜 숲
無枝無葉樹 ~ 가지도 잎도 없는 나무
春風動其根 ~ 봄바람 불어와 뿌리를 흔든다.
非靑非白色 ~ 靑色도 白色도 아니어서
花發又無痕 ~ 꽃 피어도 痕跡(흔적)도 없겠구나.
(3) 空溪(공계) : 빈 산골짜기
百萬人蹤絶 ~ 百萬의 사람들 자취 끊어지고
三祗客路窮 ~ 無窮한 歲月에 나그네 길 다하다.
落花浮碧淥 ~ 떨어진 꽃잎 푸른 물에 뜨고
白日徹西東 ~ 한낮의 해는 東西로 通하는구나.
(4) 過雲(과운) : 지나가는 구름
平生行止大無端 ~ 平生의 몸가짐 크게 頉(이)이 없고
是處無求是處安 ~ 이곳은 바라는 곳이 아니라 便한 곳이라.
行滿天下沒蹤迹 ~ 行動이 天下에 가득해도 蹤迹(종적)이 없어
今日依然臥碧山 ~ 오늘도 如前히 푸른 山에 누워있노라.
* 頉(기를 이) 기르다. 보양하다. 부리다.
(5) 南谷(남곡) : 남쪽 골짜기
童子行尋千載後 ~ 童子僧이 千 年 뒤를 찾아갔더니
寥寥寂寂但淸虛 ~ 쓸쓸하고 寂寂하여 맑게 비어 있다.
老僧無事臥雲裏 ~ 늙은 스님 일 없어 구름에 누우니
白日靑山對結廬 ~ 대낮의 푸른 山이 草家와 마주한다.
(6) 斷巖(단암) : 낭떠러지
路隔靑山斷世緣 ~ 靑山에 길 막혀 끊어진 世上 因緣
亦無佛祖到門前 ~ 門 앞에 이르는 부처와 祖師도 없다.
含花百鳥絶來往 ~ 꽃 머금은 새들 往來함도 끊겼는데
但祝名君一炷煙 ~ 다만 君主에게 올리는 한 줄기 香불이여.
(7) 無(무) : 無
靜也千般現 ~ 고요할 땐 森羅萬象 나타나더니
動也一物無 ~ 움직이자 하나도 있는 것 없네.
無無是什麽 ~ 無, 無라는 이것은 都大體 무엇인가
霜後菊花稠 ~ 서리친 뒤 도리어 滿開한 菊花는?
(8) 無文(무문) : 글로 할 수 없다. (=不立文字)
一物盡色聲 ~ 한 物件은 色깔과 소리를 모두 包含하고
無形亦絶名 ~ 形象도 없고 또한 이름도 끊겨 있다.
從玆興萬有 ~ 이로부터 萬有가 생겨난 것이니
物化若神靈 ~ 物體의 變化는 神靈 같은 것이다.
* 不立文字(불립문자) : 깨달음은 문자나 언설(言説)을 가지고 전할 수 없고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것이라는 뜻 즉 「以心傳心(이심전심)」과 함께 선종(禅宗)의 입장을 나타내는 표어(標語)
(9) 文殊讚(문수찬) : 문수찬
提起吹毛利 ~ 吹毛利劍 휘둘러 (漆桶打破 하여) 發生한
家風妙奇絶 ~ 그 집안의 가풍 妙하고 奇異하여 비할데 없구나.
逍遙千聖外 ~ 便安하고 閑暇롭고 아득하여 千 聖人을 잊게 하는데
月映蘆花雪 ~ 갈대꽃은 눈처럼 달빛에 비친다.
(10) 伴雲(반운) : 구름을 벗하여
善和於上亦和下 ~ 위와 잘 어울리면 아래와도 잘 어울려
卷舒行藏閑且雅 ~ 걷고 펴고 가고 머묾이 閑暇하고 優雅하다.
大布無邊細無間 ~ 끝없이 크게 펼치고 細密하여 틈이 없어
靑山重疊萬里野 ~ 靑山이 重疊되어 萬 里 들판에 늘어서 있다.
산과바다 이계도
'禪詩 > 禪師들의 禪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太古普愚國師(태고보우국사)의 禪詩(선시) (21)~(26) (0) | 2022.11.06 |
---|---|
太古普愚國師(태고보우국사)의 禪詩(선시) (11)~(20) (0) | 2022.11.06 |
枕肱懸辯(침굉현변)의 禪詩(선시) (1)~(12) (0) | 2022.11.06 |
翠微守初 禪師(취미수초 선사)의 禪詩(선시) (11)~(21) (0) | 2022.11.06 |
翠微守初 禪師(취미수초 선사)의 禪詩(선시) (1)~(10) (0) | 2022.1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