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禪詩/禪師들의 禪詩

圓鑑國師, 圓鑑沖止(원감국사, 원감충지)의 禪詩(선시) (11)~(20)

by 산산바다 2022. 11. 4.

산과바다

圓鑑國師(원감국사) 장흥 보림사

禪師禪詩 HOME

선사의 선시 

 

 

 

                   圓鑑國師, 圓鑑沖止(원감국사, 원감충지) (1226~1292)禪詩 (11)~(20)

 

 

圓鑑國師, 圓鑑沖止, 釋圓鑑(원감국사, 원감충지, 석원감) (1226~1292. 高麗 . 俗名 魏元凱. 本貫 長興. 諡號(시호) 圓鑑國師. 定安 <現在長興人. 처음 法名法桓. 沖紙. 自稱 號宓庵이라 함)

 

* 원감국사 충지(圓鑑國師 沖止(12261292)

고려시대 선승(禪僧). 수성사(修禪社) 6(). 성은 위(). 속명은 원개 (元凱). 본래의 법명은 법환(法桓), 뒤의 법명은 충지. 자호는 복암(宓庵). 전 라남도 장흥출신. 아버지는 호부원외랑(戶部員外郞) 호소(號紹)이며, 어머니 는 이부원외랑(吏部員外郞) 송자옥(宋子沃)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선림(禪林) 에 나아가 득도하기를 원하였지만 양친의 허락을 얻지 못하여 관직에 몸을 담고 있었으나, 29세에 선원사(禪源社)의 원오국사(圓悟國師) 문하에 들어가 승려가 되었다. 비구계를 받은지 오래지 않아 남쪽의 여러 지방을 순력하였 는데, 이는 항상 도를 얻고자 53선지식(善知識)을 찾아다닌 <화엄경> 속의 선재동자(善財童子)를 본받고자 함이었다.

1266(원종 7) 여름에 원오국사의 교유(敎諭)와 조지(朝旨)로 인하여 부득이 경상남도 김해군의 감로사(甘露寺) 의 주지가 되었다. 1269년 삼중대사(三重大師)가 되었고, 다시 3년 후에는 감 로사를 떠나 승주군의 수선사로 옮겼다. 이때까지만 해도 그는 보조국사(普 照國師)로부터 시작된 수선사의 법통을 이어받을 기미가 없었고, 오히려 선 ()보다는 교()에 치중하였다.

128311월에는 대중을 거느리고 조계산을 출발하여 원오국사가 선원사에서 수선(修繕)하여 수선사로 옮기던 거란본대 장경을 도중에 맞이하여 나누어 지고 왔고, <단본대장경경찬소(丹本大藏經慶 讚疏)>와 시를 지었다. 1284년 수선사를 떠나 지리산 상무주암(上無住庵)으 로 옮겨 선정을 닦고 있던 중 12862월에 원오국사가 그를 수선사의 사주 (社主)로 추천하는 장문(狀聞)을 왕에게 올리고 입적하였다. 장문을 받은 충 렬왕은 원외시랑(員外侍郞) 김호담(金浩淡)을 시켜 그로 하여금 616일에 개당(開堂)하게 함에 따라 수선사의 제6세가 되었다.

불교의 삼장(三藏)에 이 해가 깊었을 뿐 아니라 사림(詞林)에도 조예가 깊었으며, 문장과 시는 당대의 유림에서도 추앙을 받았다. 도를 닦음에 있어서 육조(六祖) 혜능(慧能)이 오 조(五祖) 홍인(弘忍)에게서 법을 인가받은 파강이 경지에 이르지 못함을 부 끄러워하였지만, 수선사 제1세였던 지눌의 순수선시대와는 달리 유학사상과 상교(相交)하는 선풍(禪風)을 풍기고 있다.

그래서 그는 유사(儒士)들처럼 천 명을 믿고 운명에 안주하는 유선조화(儒禪調和)의 사상조류를 보였고, 상제상 천(上帝上天)의 신앙을 통하여 유도이교(儒道二敎)를 불교속에 수용하기도 하였다. 그의 선풍은 무념무사(無念無事)를 으뜸으로 삼았고, 지관(止觀)의 수행문 중 지()를 중시하였으며, 선교일치(禪敎一致)를 주장하여 지눌의 종 풍(宗風)을 계승하였다.

1292110일 삭발 목욕한 뒤 옷을 갈아입고 문인 (門人)들에게 "생사(生死)가 있는 것은 인생의 일이다. 나는 마땅히 가리니 너희는 잘 있거라."는 말을 남겼다. 정오가 지나자 분향하고 축원을 올린 뒤 선상(禪床)에 앉아 '설본무설(說本無說)'이라 설하고, 문인들이 청하는 바에 따라 "돌아보니 세상살이 67년인데, 오늘 아침 모든 일을 마쳤네. 고향으로 돌아가는 길은 탄연하여 평탄하고, 노두가 분명하니 어찌 길을 잃으랴. 손에는 겨우 하나의 대지팡이뿐이지만, 가는 길에 다리가 피로하지 않을 것이 또 한 기뻐라(閱過行年六十七 及到今朝萬事畢 故鄕歸路坦然平 路頭分明未曾失 手中裳有一枝 且喜途中脚不倦)."라는 게송(偈頌)을 남기고 입적하였다. 법랍 39세였다. 저서로는 문집인 <원감국사집(圓鑑國師集)> 1권이 남아 있으며, <동문선>에도 시와 글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충렬왕은 원감국사(圓鑑國師)라는 시호와 함께 보명(寶明)이라는 탑명(塔名)을 내렸다.

 

 

(11) 無碍(무애) : 막힘없이

 

春日花開桂苑中 ~ 봄날 꽃은 桂苑中(계원중)에 피었는데

暗香不動小林風 ~ 暗香(암향)小林의 바람에 움직이질 않는구나.

今朝果熟沾甘露 ~ 오늘 아침 익은 과일은 甘露에 젖었고

無限人天一味同 ~ 없는 人天은 한 가지 맛이구나.

 

 

 

(12) 憫農黑羊四月旦日雨中作(민농흑양사월단일우중작) : 농부들이 가련하여 4月 初하루에 비속에서 짓다

 

農事須及時 ~ 農事는 때에 맞게 해야 하는데

失時無復爲 ~ 때를 잃으면 다시 할 수 없다오.

農時苦無幾 ~ 농사 時期는 짧은 것이 힘드니

春夏交爲期 ~ 봄여름이 바뀔 즈음이 때가 된다네.

春盡夏已生 ~ 봄이 다하면 여름이 이미 始作되고

農事不可遲 ~ 농사는 더 遲滯(지체)할 수 없나니

上天解時節 ~ 하늘에서 時節을 알고

膏澤方屢施 ~ 비를 자주 내려 주시지.

征東事甚急 ~ 日本을 치는 일이 하다 보니

農事誰復思 ~ 農事를 누가 다시 생각하랴?

使者恒絡繹 ~ 使臣이 늘 이어져서

東馳復西馳 ~ 쪽으로 내닫고 西쪽으로 내달리네.

卷民空巷閭 ~ 마을을 비울 程度百姓을 모아

長驅向江湄 ~ 가 쪽으로 내모네.

日夜伐山木 ~ 밤낮으로 의 나무를 베어서

造艦力已疲 ~ 戰艦을 만드느라 힘이 이미 지쳤네.

尺地不墾闢 ~ 한 자의 땅도 開墾(개간)하지 못하는데

民命何以資 ~ 百姓의 목숨 어떻게 부지하랴?

民戶無宿糧 ~ 百姓의 집에는 저장한 糧食이 없어

太半早啼飢 ~ 太半은 일찌감치 배고프다 울어대네.

況復失農業 ~ 하물며 農業까지 잃었으니

當觀死無遺 ~ 남김없이 다 죽는 꼴 보겠구나.

嗟予亦何者 ~ , 나는 또한 무엇 하는 사람인가?

有淚空漣洏 ~ 부질없이 눈물만 줄줄 흘리네.

哀哉東土民 ~ 슬프다 이 땅의 百姓

上天能不悲 ~ 하늘도 슬퍼하질 못하는구나.

安得長風來 ~ 어떻게 하면 긴 바람 불어와

吹我泣血詞 ~ 나의 피 울음으로 짓는 를 불어갈는지.

一吹到天上 ~ 하늘까지 한번 불어

披向白玉墀 ~ 하늘 宮殿 들어가서

詞中所未盡 ~ 속에서 못다 한 말을

盡使上帝知 ~ 하느님께 알게 할까.

 

* 나라가 高麗支配하면서 百姓들을 動員하여 戰艦을 만들어 日本征伐하고자 하였다.

 

 

 

(13) 白雲庵中樂詩(백운암중악시) : 백운암에서의 즐거움

 

摘自摘兮養天全 ~ 自由롭게 다니면서 天全(천전)穩全히 기르려네.

林深洞密石逕細 ~ 숲 우거지고 골짜기 깊어 돌길은 좁은데

松下溪兮岩下川 ~ 소나무 아래 시내요. 바위 아래 샘이로다.

春來秋去人迹絶 ~ 봄 오고 가을 가도 사람 자취 끊어져

紅塵一點無緣 ~ 티끌 한 因緣도 없네.

飯一盂蔬一盤 ~ 鉢盂(발우) 밥과 나물 한 접시

飢則食兮因則眠 ~ 배고프면 먹고 疲困하면 잠자네.

水一甁茶一銚 ~ 물 한 병과 차 솥 하나

渴則提來手自煎 ~ 渴症나면 끌고 와 손수 달이고

一竹杖一蒲團 ~ 대 지팡이 하나, 부들 方席도 하나

行亦禪兮坐亦禪 ~ 다녀도 參禪이요 앉아도 參禪일세.

山中此樂眞有味 ~ 속의 이 즐거움 참 맛있나니

是非哀樂眞忘全 ~ 옳고 그름과 슬픔, 즐거움 모두 잊었네.

山中此樂諒無賈 ~ 山中의 이 즐거움 眞正 貴重하나니

不願駕鶴又腰錢 ~ 타고 허리에 돈 차는 것도 치 않네.

摘自摘無管束 ~ 悠悠自適하여 束縛(속박)이 없으니

但願一生放曠終天年 ~ 一生 自由로이 살다가 天壽 다하길 바랄 뿐이네.

 

 

 

(14) 法兄默公 聞予門庭單丁枯淡 以書見慰 戲作短歌以答之 : 法兄 默公이 내가 혼자 窮乏(궁핍)하게 산다는 것을 듣고 便紙를 보내 慰勞하기에 재미로 짧은 노래를 지어 하노라

 

鷄峯寂寞兮 ~ 鷄足峰이 적막하다는 말

傳者之訛 ~ 한 사람의 잘못이다.

活計現威兮 ~ 살아갈 計策堂堂하니

不同小小 ~ 小小한 무리와는 같지 않도다.

象骨峯前兮 ~ 象牙같이 생긴 봉우리 앞에는

粥飯無虧 ~ ()과 밥이 모자람이 없고

馬駒堂下兮 ~ 집 아래엔 망아지 노닐고

鹽醬不少 ~ 소금과 (: 젓갈, 된장)이 적지 않다네.

淸溪兮盤廻 ~ 맑은 溪谷물이 빙 돌아 흐르고

碧嶂兮繚繞 ~ 푸른 봉우리가 빙 둘러 있네.

風欞兮虛涼 ~ 바람 부는 欄干은 텅 비어 시원하고

水閣兮䆗窱 ~ 물가의 樓閣은 고요하기만 하네.

或坐或臥兮 ~ 앉기도 하고 눕기도 하며

神遊物初 ~ 精神萬物根源에서 노닐고

獨唱獨和兮 ~ 홀로 노래하고 홀로 和答하며

趣逸天表 ~ 興趣가 하늘 너머로까지 내달리네.

湛然無營兮 ~ 억지로 애쓰지 않고 조용히 지내면서

一味自娛 ~ 한 맛을 스스로 즐기고

閴爾忘懷兮 ~ 고요히 생각을 잊으니

萬緣都了~ 가지 因緣이 다 끝나버렸도다.

興亡兮莫我干 ~ 하고 함에 나는 關與(관여)하지 않나니

榮辱兮莫我擾 ~ 榮譽(영예)恥辱(치욕)이 나를 흔들지 못하리라.

鳧鶴一貫兮 ~ 오리와 이 한가지이니

孰短孰長 ~ 어느 것이 더 길고 어느 것이 더 짧으리.

彭殤同壽兮 ~ 彭祖(팽조)殤子(상자)가 똑같이 살았으니

誰壽誰夭 ~ 누가 오래 살고 누가 일찍 죽었단 말인가?

一帔兮閱寒暑 ~ 옷 한 벌로 추위 더위 다 겪으며

一鉢兮度昏曉 ~ 鉢盂(발우) 하나로 아침저녁 다 지나네.

憨癡癡兮 ~ 어리석고 바보스럽구나!

百醜千拙 ~ 가지로 ()하고 가지로 拙劣(졸렬)하다.

予誰之似兮 ~ 나는 누구와 비슷한가?

棲芦倦鳥 ~ 갈대에 깃든 지친 새로다.

 

* 오리의 다리는 짧고 의 다리는 길지만, 各各必要에 따라 그렇게 된 것이므로 各者에게 가장 알맞은 길이이다. 따라서 오리의 다리와 의 다리는 같은 길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의 다리가 길다고 더 좋은 것이 아니다.莊子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 彭祖라는 사람은 長壽를 하고 殤子라는 아이는 夭折을 하였지만, 더 큰 觀點에서 보면 누가 더 오래 살았다고 할 수가 없다. 萬物平等하다고 하는 思想으로, 亦是莊子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15) 病脚自戲(병각자희) : 다리가 들어 스스로 戱弄한다

 

訪道尋師三十年 ~ 를 찾고 스승을 찾아 三十 年 동안

靑纏黲衲五湖天 ~ 푸른 行纏(행전)灰色 누더기 옷으로 五湖의 땅으로 돌아다녔다.

不因問着蒲鞋老 ~ 부들신 신은 늙은이에게 묻지 않다가

便學韶陽跛脚禪 ~ 그만 韶陽(소양)의 절름발이 중을 배웠구나.

 

 

 

(16) 病中言志(병중언지) 1 : 병중에 하는 말

 

一室靜無事 ~ 一室이 고요하여 일이 없으니

任他世亂離 ~ 世上亂離(난리) 아랑 곳 없네.

硏衰便瀨散 ~ 나이가 늙으니 게으르고 어수선 하여

病久謝遊嬉 ~ 이 오래되어 노는 것도 謝絶(사절)이네.

釅茗聊澆渴 ~ 텁텁한 막걸리는 갈증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고

香蔬足療飢 ~ 香氣로운 나물은 시장기를 없애는데 하네.

箇中深有味 ~ 이 가운데 깊은 맛이 있으니

且喜沒人和 ~ 또한 사람들이 알지 못하니 기쁘네.

 

 

 

(17) 病中言志(병중언지) 2 : 병중에 하는 말

 

古寺秋深木葉黃 ~ 낡은 절에 가을 깊어 나뭇잎이 누른데

風高天色正蒼凉 ~ 바람 높으니 하늘빛도 한결 선선하구나.

閑無檢束甘年老 ~ 멋대로 한가하매 늙는 것도 좋으이

病似拘囚覺日長 ~ 병들어 꼼짝 못하니 해 긴 줄 알겠구나.

霜令急尋三事衲 ~ 서리 차니 삼사(三事) 누비옷 서둘러 챙기고

室空唯對一爐香 ~ 방이 비었으니 오직 향로 하나를 대하여 앉아 있네.

沙彌不解蔬湌淡 ~ 사미놈(沙彌僧)은 산나물 담박한 맛을 모르고서

來點山茶勸我嘗 ~ 산차(山茶)를 와서 따르며 날더러 맛보라네.

 

* 삼사(三事) : 불서(佛書)에 의()()자리

 

 

 

(18) 賦月(부월) : 달을 읊음

從一至七(종일지칠) : 에서 일곱 까지

 

~

~

旣圓 ~ 이미 둥글고

且潔 ~ 또 깨끗하구나.

陰雲收 ~ 검은 구름 걷히고

積雨歇 ~ 장맛비도 개었다.

空縣玉盤 ~ 虛空에 달린 玉盤이요

海湧銀闕 ~ 바다에 솟은 은의 宮闕이다.

周天如轉輪 ~ 하늘을 回轉하는 바퀴이고

滿地似鋪雪 ~ 땅에 가득히 펼쳐 놓은 눈빛

風吟丹桂婆娑 ~ 바람에 불리는 桂樹나무의 설렘이요

露洗金波塋澈 ~ 이슬에 씻긴 빛 물결 구슬처럼 맑다.

岑公席上歎有餘 ~ 높은 임의 자리에 餘裕 있는 즐거움이요

政老盆中吟不徹 ~ 늙은 政客 동이 속에 가 끊이지 않네.

 

 

 

(19) 臂短歌(비단가) : 팔 짧음을 노래함

 

世人之臂長復長 ~ 世人의 팔은 길고 길어

東推西推無歇辰 ~ 東西하기에 쉴 때가 없네.

山僧之臂短復短 ~ 山僧의 팔은 짧고도 짧아

平生不解推向人 ~ 平生 남을 할 수 없었네.

大凡世上臂短者 ~ 무릇 世上에 팔 짧은 이에겐

人皆白首長如新 ~ 사람들의 모든 흰머리도 새롭나니

而況今昨始相識 ~ 하물며 어제 오늘 서로 안 사이

肯顧林下窮且貧 ~ 숲 속의 貧窮한 나를 돌아보겠나.

我臂旣短未推人 ~ 내 팔은 이미 짧아 하지 못하나

鳴呼安得 ~ ! 어찌하면

吾臂化爲千尺與萬尺 ~ 내 팔이 千尺 萬尺이나 되어

坐使四海之內皆吾親 ~ 앉아서 天下 사람들 모두 나와 하게 하리.

 

 

 

(20) 舍弟就官韻(사제취관운) : 한집의 동생을 축하한 시

 

黃金榜首吾曾點 ~ 黃金房의 으뜸을 내가 일찍 차지했는데

丹桂魁科子亦收 ~ 丹桂의 높은 가지를 그대 또한 거두었네.

千萬古來稀有事 ~ 千萬 年 내려오면서 드문 일이 있으니

一家生得兩龍頭 ~ 한 집안에서 살아있는 두 마리를 얻었구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