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禪詩/禪師들의 禪詩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의 禪詩(선시) (71)~(80)

by 산산바다 2022. 11. 2.

산과바다

西山大師(서산대사)

禪師禪詩 HOME

 선사의 선시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 (1520~1604)禪詩 (71)~(80)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 (1520~1604. 俗名崔汝信. 兒名 雲鶴.

本貫完山<全州>. 字 玄應, 淸虛. 法名 休靜. 平南 安州 出生.

壬辰倭亂 僧軍을 이끌고 平壤奪還作戰參加하여 을 세웠다.

妙香山에 오래 머물렀기 때문에 妙香山人 또는 西山大師<別號>로 불린다)

 

서산대사(西山大師)[1520~1604]의 본관은 완산(完山)이며 속명은 최여신(崔汝信), 자는 현응(玄應), 호는 청허(淸虛), 법명은 휴정(休靜)이다. 별호는 서산대사·백화도인(白華道人)·풍악산인(楓岳山人)·두류산인(頭流山人)·묘향산인(妙香山人)·조계퇴은(曹溪退隱)·병로(病老) 등이다. 임진왜란 때 전국에 승첩을 돌려 승군을 조직하고 왜군과 싸워 큰 공을 세웠다.

 

* 활동 사항

서산대사는 1520년(중종 20) 평안도 안주에서 태어났다. 9세 때 어머니가 죽고 이듬해 어머니마저 사망하자 안주목사 이사증(李思曾)을 따라 서울로 옮겨 성균관에서 3년 동안 글과 무예를 익혔다. 과거를 보았으나 뜻대로 되지 않아 친구들과 같이 지리산의 화엄동(華嚴洞)·칠불동(七佛洞) 등을 구경하면서 여러 사찰에 기거하던 중 영관대사(靈觀大師)의 설법을 듣고 불법(佛法)을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그곳에서 『화엄경(華嚴經)』·『원각경(圓覺經)』·『능엄경(楞嚴經)』·『유마경(維摩經)』·『반야경(般若經)』·『법화경(法華經)』 등을 읽으며 교리를 탐구하던 중 깨달은 바 있어 스스로 시를 짓고 삭발한 다음 숭인장로(崇仁長老)를 스승으로 모시고 출가하였다. 1540년 수계사(授戒師) 일선(一禪), 증계사(證戒師) 석희(釋熙)·육공(六空)·각원(覺圓), 전법사(傳法師) 영관을 모시고 계(戒)를 받았다. 그 뒤 영관으로부터 인가를 받고 각지를 떠돌며 수행에만 전념하다가 1549년(명종 4) 승과(僧科)에 급제하였고, 대선(大選)을 거쳐 선교양종판사(禪敎兩宗判事)가 되었다.

 

1556년 선교양종판사직이 승려의 본분이 아니라며 물러나 금강산·두륜산·태백산·오대산·묘향산 등을 다니며 수행하였으며, 후학을 지도하였다.

 

1589년(선조 22) 『정감록(鄭鑑錄)』의 미신에 의하여 정여립(鄭汝立)이 역모(逆謀)를 꾀한 사건이 일어났는데, 역모에 가담한 요승 무업(無業)이 휴정과 유정(惟政)이 자신과 함께 역모에 가담하였다고 주장하여 투옥되었다가 무죄 석방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는 평양을 거쳐 의주로 피난하였다. 이때 선조는 묘향산으로 사신을 보내 나라의 위급함을 알리고 서산대사를 불렀다. 이에 서산대사는 전국에 격문을 돌려서 각처의 승려들이 구국에 앞장서도록 하였다. 이에 제자 처영(處英)은 지리산에서 궐기하여 권율(權慄)의 휘하에 들었고, 유정은 금강산에서 1,000여 명의 승군을 모아 평양으로 왔다. 서산대사는 1,500명의 의승을 순안 법흥사(法興寺)에 집결시키고 승군을 통솔하였으며, 명나라 군사와 함께 평양을 탈환하였다. 이후 선조가 서울로 돌아오자 묘향산으로 돌아가 나라의 평안을 기원하였다.

 

서산대사는 1604년 1월 묘향산 원적암(圓寂庵)에서 설법을 마치고 자신의 영정(影幀)을 꺼내어 그 뒷면에 “80년 전에는 네가 나이더니 80년 후에는 내가 너로구나[八十年前渠是我 八十年後我是渠]”라는 시를 적어 유정과 처영에게 전하게 하고 가부좌하여 앉은 채로 입적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서산대사(西山大師) 

 

 

(71) 賞春(상춘) : 봄을 즐기다.

 

柳上鶯聲滑 ~ 버드나무 위에는 꾀꼬리 소리 매끄럽고

梅枝雪欲飛 ~ 매화가지 위에는 눈발이 흩날리려는 듯.

山僧觀物眼 ~ 山僧의 세상 보는 眼目

不許世人知 ~ 世上사람들은 알지 못하리.

 

 

 

(72) 傷春(상춘) : 봄에 마음이 들뜸 

 

語柳鶯聲滑 ~ 버들과 대화하는 꾀꼬리 소리 매끄럽고

飄天燕舞斜 ~ 제비는 춤추듯 허공을 비껴난다.

春風惟可惜 ~ 봄바람은 불어와 애석하게도

吹落滿園花 ~ 정원가득 꽃잎을 떨어뜨리네.

 

 

 

(73) 賽西山老人求懷(새서산노인구회) : 서산노인이 회포를 구하네.

 

通經兼達道 ~ 經典하고 를 알았으니

寫字又吟詩 ~ 글씨를 쓰고 또 를 읊네.

寫字調眞性 ~ 글씨를 쓰는 것은 참 性品을 고르게 하고

吟詩記所思 ~ 를 읊은 것은 생각하는 바를 적는 것이네.

 

 

 

(74) 書退溪卷(서퇴계권) : 退溪先生에 쓰다

 

伏羲數理三才主 ~ 周易理致天地主人이고

孔子綱常萬世師 ~ 孔子倫理萬世의 스승이라.

忠恕敬誠公已達 ~ , , , 을 당신 이미 통달하였으니

海東天地一男兒 ~ 海東 天地에 진정한 男兒로다.

 

* 이황(李滉) 1501(연산군 7)~1570(선조 3) : 조선전기 성균관대사성, 대제학, 지경연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퇴도(退陶도수(陶叟)

 

 

 

(75) 西湖(서호) : 항저우에 있는 호수

 

悠悠望北心 ~ 멀고 먼 녘을 마음에 담아 바라보니

一片靑雲隔 ~ 한 조각 푸른 구름이 앞을 가리네.

遠客宿南江 ~ 먼 길손 南江에 지새는데

西樓夜吹笛 ~ 西樓에서 밤 피리소리 들려온다.

 

* 西湖(서호) : 시후. 저장(浙江) 항저우(杭州) 있는 유명한 호수

 

 

 

(76) 書懷(서회) : 懷抱를 적다

 

志欲靑年分孔釋 ~ 意志에 충만했던 청년은 孔子釋迦를 구분하였으니

着工心地死前休 ~ 工夫하려는 마음은 죽어서야 쉬리라.

光陰箭疾身多病 ~ 세월은 화살처럼 빠르고 몸은 병만 많은데

一事無成空白頭 ~ 이룬 일 하나 없이 머리만 세었도다.

 

 

 

(77) 惜春(석춘) : 가는 봄이 아쉬워

 

柳綠鶯傳信 ~ 버들이 푸르니 꾀꼬리가 消息하고

花紅燕訴寃 ~ 꽃이 붉으니 제비가 寃恨(원한)을 하소연 하는구나.

光陰如過客 ~ 歲月이 흘러가는 것은 지나간 길손과 같은데

我亦一銷魂 ~ 나 또한 언젠가 사라질 한 靈魂이 아니더뇨.

 

 

 

(78) 禪敎釋(선교석) : 禪敎의 풀이

 

<淸虛病老在西山金仙臺 一日行珠惟政寶晶 三德士 持金剛五家解 問曰 般若敎中 亦有禪旨 以般若爲宗可乎 病老引古答曰 只聞世尊 以正法眼藏 付囑摩訶迦葉 不聞以金剛般若 付囑摩訶迦葉 大抵百草頭上 有活底祖師意 至於鶯鷰 常談實相法 況我金剛一句乎 不着文字則可讀一卷經也 然洗佛光明 非其機 莫能窺 今日爲君 禪敎二途 對辨而釋 其釋也 乃古也 非今也>

 

청허가 병들고 늙어 서산의 금선 대에 있을 때 하루는 행주(行珠), 유정(惟政),보정(寶晶)의 세 덕사가 금강경 오가해를 가지고 와서 물었다. 반야교 중에도 선지가 있으며, 그 반야를 종()으로 삼아도 좋겠습니까?''하였다. 나는 옛일을 인용하여 그들에게 대답해 주었다. 다만 세존께서 정법 안장을 마하가섭에게 부촉하였다는 말을 들었고, 금강 반야를 마하가섭에게 부촉하였다는 말은 듣지 못했다. 모든 풀잎 끝에도 생동하는 조사의 뜻이 있고 나아가서는 꾀꼬리와 제비도 항상 실상의 법을 말하거늘 하물며 우리 금강경의 한 글귀이겠는가? 문자에만 집착하지 않는다면 한 권의 경전을 읽어도 좋을 것이다. 그러나 부처의 광명에 목욕함은 그러한 근기가 아니면 능히 엿볼 수 없을 것이다. 나는 지금 그대들을 위해 선교의 두 길을 대조해 분별하고 해석할 것이다. 그 해석은 옛날 책에서 인용한 것으로, 지금 일이 아니다,

 

 

<禪敎起於一念中 心意識及處 卽屬思量者敎也 心意識未及處 卽屬參究者禪 祖師所是 皆是一句中 八萬四千法門元自具足 故隨緣不變 性相休用 頓悟漸修 全收全揀 圓融行布自在無碍 元時一時 無前後禪也, 諸佛開示 頓悟漸修 隨緣不變 性相全收全揀 圓融行布 事事無碍 法門雖有具足有修有證 階級次第 前後者敎也>

 

선과 교는 일념 중에서 일어나니, 심의식이 일어나는 곳은 곧 사량에 속하므로 교이고 심의식이 미치지 못하는 것은 곧 참구에 속하므로 선이니라, 조사의 보이신 바는 다 마음의 일구 중에 팔만사천법문이 원래 스스로 갖춰져 있으니, 고로 인연을 따르되 변하지 마라, 성상체용은 문득 깨달아 점차 닦아서 온전히 거두고 온전히 가리어 원융과 행포가 자재하여 걸림이 없고 원래 이러한 때라 전후가 없음이 선이다, 제불이 열어 보이심은 돈오 점수하되 인연을 따르나 변하지 않고 성상을 온전히 거두고 온전히 가리어 원융 행포가 일마다 걸림이 없으며, 법문이 비록 갖추어져 있으나 닦음과 증득함에 계급과 차제와 전후가 있음이 교이니라,

 

 

 

(79) 宣祖大王賜 西山大師墨竹詩(선조대왕사 서산대사묵죽시) : 宣祖大王이 내린 墨竹에 붙이는

 

葉自毫端出 ~ 잎사귀는 붓끝에서 절로 나왔고

根非地面生 ~ 뿌리는 地面에서 나온 것이 아니니라.

月來無見影 ~ 달이 비춰도 그림자를 볼 수 없고

風動不聞聲 ~ 바람이 흔들어도 소리를 들을 수 없어라.

 

 

 

(80) 性訥禪子(성눌선자) : 性訥(성눌) 禪子에게

 

欲免三途海 ~ 三途도의 바다를 하려거든

須參六祖禪 ~ 六祖하거라.

光陰眞可惜 ~ 時間眞實로 아까운 것

愼勿等閑眠 ~ 閑暇롭게 잠이나 자서는 안 되느니라.

載月悲船子 ~ 달을 싣고 뱃沙工을 슬퍼하며

勘僧愧木杈 ~ 勘僧하며 나무집게로 무안을 주네.

妙香山裏水 ~ 妙香山을 흐르는 물이

淘盡幾江沙 ~ 얼마나 많은 의 모래를 씻어냈는가.

念佛參禪法 ~ 念佛法參禪法

功成理不差 ~ 工夫完成되는 理致差異가 없다.

身心如放下 ~ 몸과 마음을 놓아버린다면

枯木定生花 ~ 枯木에서 반드시 꽃이 피리라.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