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禪詩/禪師들의 禪詩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의 禪詩(선시) (61)~(70)

by 산산바다 2022. 11. 1.

산과바다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

禪師禪詩 HOME

 선사의 선시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 (1520~1604)禪詩 (61)~(70)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 (1520~1604. 俗名崔汝信. 兒名 雲鶴.

本貫完山<全州>. 字 玄應, 淸虛. 法名 休靜. 平南 安州 出生.

壬辰倭亂 僧軍을 이끌고 平壤奪還作戰參加하여 을 세웠다.

妙香山에 오래 머물렀기 때문에 妙香山人 또는 西山大師<別號>로 불린다)

 

 

서산대사(西山大師)[1520~1604]의 본관은 완산(完山)이며 속명은 최여신(崔汝信), 자는 현응(玄應), 호는 청허(淸虛), 법명은 휴정(休靜)이다. 별호는 서산대사·백화도인(白華道人)·풍악산인(楓岳山人)·두류산인(頭流山人)·묘향산인(妙香山人)·조계퇴은(曹溪退隱)·병로(病老) 등이다. 임진왜란 때 전국에 승첩을 돌려 승군을 조직하고 왜군과 싸워 큰 공을 세웠다.

 

* 활동 사항

서산대사는 1520년(중종 20) 평안도 안주에서 태어났다. 9세 때 어머니가 죽고 이듬해 어머니마저 사망하자 안주목사 이사증(李思曾)을 따라 서울로 옮겨 성균관에서 3년 동안 글과 무예를 익혔다. 과거를 보았으나 뜻대로 되지 않아 친구들과 같이 지리산의 화엄동(華嚴洞)·칠불동(七佛洞) 등을 구경하면서 여러 사찰에 기거하던 중 영관대사(靈觀大師)의 설법을 듣고 불법(佛法)을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그곳에서 『화엄경(華嚴經)』·『원각경(圓覺經)』·『능엄경(楞嚴經)』·『유마경(維摩經)』·『반야경(般若經)』·『법화경(法華經)』 등을 읽으며 교리를 탐구하던 중 깨달은 바 있어 스스로 시를 짓고 삭발한 다음 숭인장로(崇仁長老)를 스승으로 모시고 출가하였다. 1540년 수계사(授戒師) 일선(一禪), 증계사(證戒師) 석희(釋熙)·육공(六空)·각원(覺圓), 전법사(傳法師) 영관을 모시고 계(戒)를 받았다. 그 뒤 영관으로부터 인가를 받고 각지를 떠돌며 수행에만 전념하다가 1549년(명종 4) 승과(僧科)에 급제하였고, 대선(大選)을 거쳐 선교양종판사(禪敎兩宗判事)가 되었다.

 

1556년 선교양종판사직이 승려의 본분이 아니라며 물러나 금강산·두륜산·태백산·오대산·묘향산 등을 다니며 수행하였으며, 후학을 지도하였다.

 

1589년(선조 22) 『정감록(鄭鑑錄)』의 미신에 의하여 정여립(鄭汝立)이 역모(逆謀)를 꾀한 사건이 일어났는데, 역모에 가담한 요승 무업(無業)이 휴정과 유정(惟政)이 자신과 함께 역모에 가담하였다고 주장하여 투옥되었다가 무죄 석방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는 평양을 거쳐 의주로 피난하였다. 이때 선조는 묘향산으로 사신을 보내 나라의 위급함을 알리고 서산대사를 불렀다. 이에 서산대사는 전국에 격문을 돌려서 각처의 승려들이 구국에 앞장서도록 하였다. 이에 제자 처영(處英)은 지리산에서 궐기하여 권율(權慄)의 휘하에 들었고, 유정은 금강산에서 1,000여 명의 승군을 모아 평양으로 왔다. 서산대사는 1,500명의 의승을 순안 법흥사(法興寺)에 집결시키고 승군을 통솔하였으며, 명나라 군사와 함께 평양을 탈환하였다. 이후 선조가 서울로 돌아오자 묘향산으로 돌아가 나라의 평안을 기원하였다.

 

서산대사는 1604년 1월 묘향산 원적암(圓寂庵)에서 설법을 마치고 자신의 영정(影幀)을 꺼내어 그 뒷면에 “80년 전에는 네가 나이더니 80년 후에는 내가 너로구나[八十年前渠是我 八十年後我是渠]”라는 시를 적어 유정과 처영에게 전하게 하고 가부좌하여 앉은 채로 입적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서산대사(西山大師) 

 

 

(61) 謝行雲禪子之訪(사행운선자지방) : 行雲 禪子의 방문에 感謝하며

 

千峯與萬壑 ~ 봉우리 골짜기 속에서

靑鶴共徘徊 ~ 푸른 과 함께 배회하노니

本是山中物 ~ 본래부터 山中의 것이건만

淸風引出來 ~ 맑은 바람이 이끌어 내었도다.

 

 

 

(62) 四也亭(사야정) : 사야정

 

水也僧眼碧 ~ 물은 스님의 푸른 눈과 같고

山也佛頭靑 ~ 은 부처님의 푸른 머리일세.

月也一心印 ~ 달은 변치 않는 한 마음이고

雲也萬卷經 ~ 구름은 권의 大藏經일세.

 

 

 

(63) 題一禪庵壁(제일선암벽) : 一禪庵

 

山自無心碧 ~ 은 스스로 無心히 푸르고

雲自無心白 ~ 구름 또한 스스로 無心히 희도다.

其中一上人 ~ 그 가운데 스님 한 사람

亦是無心客 ~ 그 또한 無心한 나그네로세.

 

는 무심의 경지에서 드러나는 존재의 참모습입니다. 망상에 빠지지 않는다는 것은 다른 말로 하면 마음의 방황을 없애는 것입니다. 만약 망상을 없앨 수 있다면 우리는 곧바로 깨달음에 이르고 별세계에 들어가게 된다고 7세기에 승찬이 말하고, 13세기에 혜개가 다시 偈頌으로 거듭 말해 준다.

우리나라에서도 임진왜란 당시에 72세로 승병을 일으켜 큰 공을 세운 서산대사 휴정(1520~1604)16세기 말에 일선암一禪庵 벽에 이런 시를 남겼다.

 

 

(64) 三夢詞(삼몽사) : 세 꿈 이야기

 

主人夢說客 ~ 主人에게 꿈 이야기 하고

客夢說主人 ~ 主人에게 꿈 이야기 하네.

今是二夢客 ~ 지금 꿈 이야기 하는 두 나그네

亦是夢中人 ~ 亦是 꿈속의 사람들일세.

 

 

 

(65) 上郭戎帥(상곽융수) : 郭再禑 장군께 보냄

 

曾學萬人敵 ~ 일찍이 만인을 對敵하는 능력을 배웠으나

河淸志未酬 ~ 黃河를 맑게 하려는 뜻을 다 풀지 못하였네.

長歌時激烈 ~ 긴 노래가 때때로 격렬하니

壯氣凜如秋 ~ 씩씩한 기운은 가을처럼 凜凜하도다.

 

 

 

(66) 上敎師(상교사) : 가르치는 先生에게 올림

 

未明自己外邊走 ~ 自己도 밝히지 못하면서 바깥으로 내달리며

妄作人師慙宇宙 ~ 妄靈되이 남의 스승이 되어 世上을 부끄럽게 하도다.

血脈不知宗眼無 ~ 脈洛도 알지 못하고 眼目도 없으니

一生安得斷言句 ~ 平生 한 마딘들 제대로 할 수 있을까.

臨別匆匆說不盡 ~ 離別에 임하여 하고 싶은 말 다하지 못하고

索然相顧更遲遲 ~ 아쉬운 마음으로 뒤돌아보며 머뭇거리네.

平林漠漠烟如織 ~ 숲에는 끝없는 안개 자욱이 끼고

鶴影飄飄獨往時 ~ 그림자는 홀로 훨훨 날아가누나.

香山已禮先師了 ~ 妙香山에서 스승에게 人事 드릴 제

月入淸江上下天 ~ 달이 맑은 에 비치어 上下가 다 하늘이었지.

畫燭一雙今更寄 ~ 촛불 한 쌍 오늘 다시 맡기노니

須依世諦奠靈前 ~ 세속에서 하듯이 祭祀 올리소서.

寂寞緇門事可悲 ~ 적막한 佛家의 일 서글퍼라

人生浮幻轉於戲 ~ 물거품 같은 人生이 장난보다 더하구나.

南方若欲傳禪旨 ~ 南方의 가르침을 하고자 한다면

須及山僧未死時 ~ 스님이 돌아가시기 에 해야 하리라.

 

 

 

(67) 上玉溪(상옥계) : 玉溪者에게

 

逆族駒陰裏 ~ 빠른 歲月 속에 나그네 되어

何人歸去來 ~ 누군들 돌아가지 않을 이 있나.

閑窓一睡覺 ~ 조용한 가에 閑暇로운 잠을 깨니

可散萬封侯 ~ 만호를 거느리는 封侯가 부럽지 않네.

 

 

 

(68) 上完山盧府尹書(상완산로부윤서) : 完山 盧府尹께 올리는 글

 

忽聞杜宇啼窓外 ~ 갑자기 창 밖에 杜鵑새 우는 소리 들으니

滿眼靑山盡故鄕 ~ 눈앞의 靑山이 모두 故鄕같네.

汲水歸來忽回首 ~ 물을 길어 오다 문득 고개를 돌리니

靑山無數白雲中 ~ 푸른 無數한 흰구름 속에 있네.

 

* 朝鮮 中期 領議政이자 學者盧守信(노수신)(1515~1590)에게 보낸 . 大師보다 5위다.

 

 

 

(69) 上滄海(상창해) : 창해에게 올리다

 

秋風兮吹衣(추풍혜취의) : 가을바람에 옷은 날리고

夕鳥兮爭還(석조혜쟁환) : 저녁 되니 새들이 ()다투어 돌아오는데

美人兮不來(미인혜불래) : 어여쁜 사람은 오시지 않고

明月兮空山(월명혜공산) : 밝은 달만 적적한 산을 비추는구나.

 

松寒兮竹冷(송한혜죽냉) : 솔도 춥고 대도 차가운

月出兮天邊(월충혜천변) : 하늘가에 달은 떠오르는데

幽人兮夜坐(유인혜야좌) : 속세를 피하여 사는 사람이 밤에 앉아 있는

顧影兮自憐(고영혜자련) : 모습을 되돌아보니 서럽기 그지없구나.

 

 

 

(70) 賞秋(상추) : 가을을 즐기다.

 

遠近秋光一樣奇 ~ 멀리도 가까이도 가을 경치는 한결같이 뛰어나서

閑行長嘯夕陽時 ~ 느긋하게 걸으면서 소리를 길게 빼어 읊는 저녁나절

滿山紅綠皆精彩 ~ 산 전체의 초록이 짙붉어 모두 빛이 찬란하니

流水啼禽亦說詩 ~ 흐르는 물과 날짐승도 울며 모두가 즐기며 노래하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