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선사의 선시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 (1520~1604)의 禪詩 (31)~(40)
●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 (1520~1604. 俗名은 崔汝信. 兒名 雲鶴.
本貫은 完山<全州>. 字 玄應, 號 淸虛. 法名 休靜. 平南 安州 出生.
壬辰倭亂 때 僧軍을 이끌고 平壤奪還作戰에 參加하여 功을 세웠다.
妙香山에 오래 머물렀기 때문에 妙香山人 또는 西山大師<別號>로 불린다)
서산대사(西山大師)[1520~1604]의 본관은 완산(完山)이며 속명은 최여신(崔汝信), 자는 현응(玄應), 호는 청허(淸虛), 법명은 휴정(休靜)이다. 별호는 서산대사·백화도인(白華道人)·풍악산인(楓岳山人)·두류산인(頭流山人)·묘향산인(妙香山人)·조계퇴은(曹溪退隱)·병로(病老) 등이다. 임진왜란 때 전국에 승첩을 돌려 승군을 조직하고 왜군과 싸워 큰 공을 세웠다.
* 활동 사항
서산대사는 1520년(중종 20) 평안도 안주에서 태어났다. 9세 때 어머니가 죽고 이듬해 어머니마저 사망하자 안주목사 이사증(李思曾)을 따라 서울로 옮겨 성균관에서 3년 동안 글과 무예를 익혔다. 과거를 보았으나 뜻대로 되지 않아 친구들과 같이 지리산의 화엄동(華嚴洞)·칠불동(七佛洞) 등을 구경하면서 여러 사찰에 기거하던 중 영관대사(靈觀大師)의 설법을 듣고 불법(佛法)을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그곳에서 『화엄경(華嚴經)』·『원각경(圓覺經)』·『능엄경(楞嚴經)』·『유마경(維摩經)』·『반야경(般若經)』·『법화경(法華經)』 등을 읽으며 교리를 탐구하던 중 깨달은 바 있어 스스로 시를 짓고 삭발한 다음 숭인장로(崇仁長老)를 스승으로 모시고 출가하였다. 1540년 수계사(授戒師) 일선(一禪), 증계사(證戒師) 석희(釋熙)·육공(六空)·각원(覺圓), 전법사(傳法師) 영관을 모시고 계(戒)를 받았다. 그 뒤 영관으로부터 인가를 받고 각지를 떠돌며 수행에만 전념하다가 1549년(명종 4) 승과(僧科)에 급제하였고, 대선(大選)을 거쳐 선교양종판사(禪敎兩宗判事)가 되었다.
1556년 선교양종판사직이 승려의 본분이 아니라며 물러나 금강산·두륜산·태백산·오대산·묘향산 등을 다니며 수행하였으며, 후학을 지도하였다.
1589년(선조 22) 『정감록(鄭鑑錄)』의 미신에 의하여 정여립(鄭汝立)이 역모(逆謀)를 꾀한 사건이 일어났는데, 역모에 가담한 요승 무업(無業)이 휴정과 유정(惟政)이 자신과 함께 역모에 가담하였다고 주장하여 투옥되었다가 무죄 석방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는 평양을 거쳐 의주로 피난하였다. 이때 선조는 묘향산으로 사신을 보내 나라의 위급함을 알리고 서산대사를 불렀다. 이에 서산대사는 전국에 격문을 돌려서 각처의 승려들이 구국에 앞장서도록 하였다. 이에 제자 처영(處英)은 지리산에서 궐기하여 권율(權慄)의 휘하에 들었고, 유정은 금강산에서 1,000여 명의 승군을 모아 평양으로 왔다. 서산대사는 1,500명의 의승을 순안 법흥사(法興寺)에 집결시키고 승군을 통솔하였으며, 명나라 군사와 함께 평양을 탈환하였다. 이후 선조가 서울로 돌아오자 묘향산으로 돌아가 나라의 평안을 기원하였다.
서산대사는 1604년 1월 묘향산 원적암(圓寂庵)에서 설법을 마치고 자신의 영정(影幀)을 꺼내어 그 뒷면에 “80년 전에는 네가 나이더니 80년 후에는 내가 너로구나[八十年前渠是我 八十年後我是渠]”라는 시를 적어 유정과 처영에게 전하게 하고 가부좌하여 앉은 채로 입적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서산대사(西山大師)
(31) 老病吟(노병음) : 늙고 病들고 보니
老去人之賤 ~ 늙어지니 사람들이 賤하게 여기고
病來親也疎 ~ 病이 오니 가까운 이도 멀어지네.
平時恩與義 ~ 평소 때의 恩惠(은혜)와 義理(의리)가
到此盡歸虛 ~ 이쯤 되니 모두가 空虛할 따름일세.
(32) 茶禪一如(다선일여) : 茶와 禪은 하나이다.
晝來一椀茶 ~ 낮에는 茶 한잔
夜來一場睡 ~ 밤에는 잠 한 숨.
靑山與白雲 ~ 푸른 山 흰 구름 더불어
共說無生死 ~ 生死가 없음을 함께 말하네.
白雲爲故舊 ~ 흰 구름은 옛 벗이 되고
明月是生涯 ~ 밝은 달은 내 생애로다.
萬壑千峰裏 ~ 깊은 山 속 봉우리에서
逢人則勸茶 ~ 만난 사람 茶 대접하고.
松榻鳴山雨 ~ 松榻(송탑)에 山비 내리는 소리와
傍人詠落梅 ~ 옆 사람 詩 읊조리고 梅花꽃은 떨어진다.
一場春夢罷 ~ 한 바탕의 봄꿈에서 깨어나니
侍者點茶來 ~ 茶童(다동)이 茶를 끓여 오는구나.
* 松榻(송탑) : 소나무로 만든 길고 좁은 평상
(33) 茶詩(다시) : 한 잔의 차
松風檜雨到來初 ~ 소나무에 바람 불고 노송나무에 비올 때
急引銅甁移竹爐 ~ 구리병에 끓는 물을 竹爐(죽로)에 옮기고
待得聲聞俱寂後 ~ 끓는 소리도 함께 고요에 들 면
一甌春雪勝醍醐 ~ 봄 눈 같은 한 잔의 茶 맛이야 맑은 술에 비기랴.
(34) 達摩讚(달마찬) 1 : 達摩를 기리다.
剪雲爲白衲 ~ 흰 구름 잘라내어 누더기 깁고
割水作靑眸 ~ 푸른 물 떠다가 눈동자 삼았네.
滿腹懷珠玉 ~ 뱃속에 珠玉이 가득 찼으니
神光射斗牛 ~ 온몸이 밤하늘에 별처럼 빛나네.
(35) 達摩讚(달마찬) 2 : 達摩를 기리다.
蘆泛淸波上 ~ 갈대 한 가지를 푸른 물에 띄워
輕風拂多來 ~ 가벼운 바람에 나는 듯이 오시네.
胡僧雙碧眼 ~ 胡僧(호승)의 한 雙 푸른 눈에는
千佛一塵埃 ~ 千 佛도 한 움큼 먼지로구나.
* 호승(胡僧) : 서역(西域)에서 온 중을 말한다.
(36) 答南海翁(답남해옹) : 南海의 늙은이에게 答하다
南海波雖動 ~ 南海엔 波濤가 넘실대고
頭流色自蒼 ~ 頭流山의 빛은 절로 푸르네.
可憐渠發業 ~ 가련토다 업을 일으키는 그대
割水與吹光 ~ 물을 베고 빛을 불다니.
* 두류산(頭流山) 993m
화천군 사내면 사창리, 하남면 계성리 경계를 이루고 있는 두류산(993m)은 위도상 38선 북방 12km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그래서 6.25 전쟁 전에는 북한 땅이었으며 두류산은 한북정맥 상의 최전방 대성산(1,175m)을 바로 북쪽 정면을 마주하고 있다. 두류산은 북한 쪽에 가까이 있어 민간인 출입이 뜸한 곳이다.
(37) 途中有感(도중유감) : 길을 가다가 생각나서
有名難避世 ~ 이름 때문에 숨어 살기 어려워
無處可安心 ~ 마음 便히 쉴만한 곳 없네.
飛錫又飛錫 ~ 지팡이 날리고 또 날려서
入山恐不深 ~ 깊은 山에 들어가도 숨어지지 않네.
(38) 頓敎訟(돈교송) : 돈교송
若欲見佛性 ~ 萬一 佛性을 보려고 하면
知心是佛性 ~ 마음이 바로 부처의 性品이요
若慾免三途 ~ 萬一 三惡途를 벗어나려면
知心是三途 ~ 마음이 바로 三惡途의 소굴임을 알라.
精進是釋迦 ~ 꾸준한 마음은 釋迦世存이요
直心是彌陀 ~ 바른 마음은 阿彌陀 부처님이라
明心是文殊 ~ 밝은 마음은 文秀菩薩이요
圓行是普賢 ~ 圓滿한 行은 普賢菩薩이니라.
慈悲是觀音 ~ 慈悲心은 觀音菩薩이요
喜捨是世至 ~ 布施하는 마음은 大勢至菩薩이라
瞋心是地獄 ~ 성내는 마음은 地獄이요
貪心是餓鬼 ~ 慾心은 餓鬼(아귀)이니라.
痴心是畜生 ~ 어리석은 마음은 畜生이요
媱殺亦如是 ~ 淫蕩(음탕)한 마음 殺生하는 마음 亦是 다를 바 없고
起心是天魔 ~ 내 마음 내면 天魔(천마)가 되고
不起是陰魔 ~ 마음을 내지 않으면 陰魔(음마)가 된다.
或起或不起 ~ 마음을 냈다 안냈다 하면
是名煩惱魔 ~ 이것을 이름 하여 煩惱魔(번뇌마)라 한고
然我正法中 ~ 그러나 우리 바른 法 가운데는
本無如是事 ~ 이런 일들이 있을 수 없다네.
諸君知箇事 ~ 그대 이 일을 알려거든
快提金剛刃 ~ 金剛의 날카로운 칼 뽑아 들어라
回光一念中 ~ 한 생각 돌이키고 나면
萬法皆成幻 ~ 모든 理致는 한갓 허깨비니라.
成幻又成病 ~ 허깨비 病 밖에 생길 것이 없으니
一念須放下 ~ 한 생각을 놓아 버리고
放下又放下 ~ 놓아 버렸다는 생각마저 버리면
舊來天眞面 ~ 本來의 참 모습이 드러나 니라.
'마음이 바로 불성이다' 부처의 성품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고 누구나 어떤 마음을 갖느냐에 따라 중생이 되고 부처가 된다는 것이다. 오직 마음이 우주의 근원이며 만유의 주체이므로 一切唯心(일체유심)이요, 萬法唯識(만법유식)의 心識작용일 뿐이다. 〈화엄경〉에 “마음과 부처와 중생, 이 셋은 차별이 없다(心佛及衆生無差別)”라고 하였으며 〈청허당집〉권1〈돈교송〉에 위와 같이 이르고 있다.
출처 : 금강신문(https://www.ggbn.co.kr)
(39) 杜鵑(두견) : 소쩍새
處處白雲飛 ~ 곳곳마다 흰구름 閑暇히 날고
山山又水水 ~ 山너머 또 山이요 물건너 또 물
聲聲不如歸 ~ 두견의 소리마다 불여귀(不如歸)임은
只爲遠遊子 ~ 먼 나그네를 위함이런가.
* 不如歸(불여귀) : 소쩍새(돌아감만 못 하다의 뜻으로)소쩍새의 우는 소리를 이르는 말.
(40) 頭流山內隱寂庵(두류산내은적암) : 두류산 내은적암에
有僧五六輩 ~ 道伴 대여섯이
築室吾庵前 ~ 內隱庵에 집을 지었네.
晨鐘卽同起 ~ 새벽 鐘소리와 함께 일어나
暮鼓卽同眠 ~ 저녁 북소리 울리면 함께 자네.
共汲一澗月 ~ 시냇물 속의 달을 함께 퍼다가
煮茶分靑烟 ~ 茶를 달여 마시니 푸른 煙氣가 퍼지네.
日日論何事 ~ 날마다 무슨 일 의논 하는가?
念佛及參禪 ~ 參禪과 念佛이라네.
* 두류산(頭流山) 993m
화천군 사내면 사창리, 하남면 계성리 경계를 이루고 있는 두류산(993m)은 위도상 38선 북방 12km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그래서 6.25 전쟁 전에는 북한 땅이었으며 두류산은 한북정맥 상의 최전방 대성산(1,175m)을 바로 북쪽 정면을 마주하고 있다. 두류산은 북한 쪽에 가까이 있어 민간인 출입이 뜸한 곳이다.
산과바다 이계도
'禪詩 > 禪師들의 禪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의 禪詩(선시) (51)~(60) (0) | 2022.11.01 |
---|---|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의 禪詩(선시) (41)~(50) (0) | 2022.11.01 |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의 禪詩(선시) (21)~(30) (0) | 2022.11.01 |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의 禪詩(선시) (11)~(20) (0) | 2022.11.01 |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의 禪詩(선시) (1)~(10) (0) | 2022.11.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