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禪詩/禪師들의 禪詩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의 禪詩(선시) (91)~(100)

by 산산바다 2022. 11. 2.

산과바다

심우도 견적(見跡)

禪師禪詩 HOME

선사의 선시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 (1520~1604)禪詩 (91)~(100)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 (1520~1604. 俗名崔汝信. 兒名 雲鶴.

本貫完山<全州>. 字 玄應, 淸虛. 法名 休靜. 平南 安州 出生.

壬辰倭亂 僧軍을 이끌고 平壤奪還作戰參加하여 을 세웠다.

妙香山에 오래 머물렀기 때문에 妙香山人 또는 西山大師<別號>로 불린다)

 

서산대사(西山大師)[1520~1604]의 본관은 완산(完山)이며 속명은 최여신(崔汝信), 자는 현응(玄應), 호는 청허(淸虛), 법명은 휴정(休靜)이다. 별호는 서산대사·백화도인(白華道人)·풍악산인(楓岳山人)·두류산인(頭流山人)·묘향산인(妙香山人)·조계퇴은(曹溪退隱)·병로(病老) 등이다. 임진왜란 때 전국에 승첩을 돌려 승군을 조직하고 왜군과 싸워 큰 공을 세웠다.

 

* 활동 사항

서산대사는 1520년(중종 20) 평안도 안주에서 태어났다. 9세 때 어머니가 죽고 이듬해 어머니마저 사망하자 안주목사 이사증(李思曾)을 따라 서울로 옮겨 성균관에서 3년 동안 글과 무예를 익혔다. 과거를 보았으나 뜻대로 되지 않아 친구들과 같이 지리산의 화엄동(華嚴洞)·칠불동(七佛洞) 등을 구경하면서 여러 사찰에 기거하던 중 영관대사(靈觀大師)의 설법을 듣고 불법(佛法)을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그곳에서 『화엄경(華嚴經)』·『원각경(圓覺經)』·『능엄경(楞嚴經)』·『유마경(維摩經)』·『반야경(般若經)』·『법화경(法華經)』 등을 읽으며 교리를 탐구하던 중 깨달은 바 있어 스스로 시를 짓고 삭발한 다음 숭인장로(崇仁長老)를 스승으로 모시고 출가하였다. 1540년 수계사(授戒師) 일선(一禪), 증계사(證戒師) 석희(釋熙)·육공(六空)·각원(覺圓), 전법사(傳法師) 영관을 모시고 계(戒)를 받았다. 그 뒤 영관으로부터 인가를 받고 각지를 떠돌며 수행에만 전념하다가 1549년(명종 4) 승과(僧科)에 급제하였고, 대선(大選)을 거쳐 선교양종판사(禪敎兩宗判事)가 되었다.

 

1556년 선교양종판사직이 승려의 본분이 아니라며 물러나 금강산·두륜산·태백산·오대산·묘향산 등을 다니며 수행하였으며, 후학을 지도하였다.

 

1589년(선조 22) 『정감록(鄭鑑錄)』의 미신에 의하여 정여립(鄭汝立)이 역모(逆謀)를 꾀한 사건이 일어났는데, 역모에 가담한 요승 무업(無業)이 휴정과 유정(惟政)이 자신과 함께 역모에 가담하였다고 주장하여 투옥되었다가 무죄 석방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는 평양을 거쳐 의주로 피난하였다. 이때 선조는 묘향산으로 사신을 보내 나라의 위급함을 알리고 서산대사를 불렀다. 이에 서산대사는 전국에 격문을 돌려서 각처의 승려들이 구국에 앞장서도록 하였다. 이에 제자 처영(處英)은 지리산에서 궐기하여 권율(權慄)의 휘하에 들었고, 유정은 금강산에서 1,000여 명의 승군을 모아 평양으로 왔다. 서산대사는 1,500명의 의승을 순안 법흥사(法興寺)에 집결시키고 승군을 통솔하였으며, 명나라 군사와 함께 평양을 탈환하였다. 이후 선조가 서울로 돌아오자 묘향산으로 돌아가 나라의 평안을 기원하였다.

 

서산대사는 1604년 1월 묘향산 원적암(圓寂庵)에서 설법을 마치고 자신의 영정(影幀)을 꺼내어 그 뒷면에 “80년 전에는 네가 나이더니 80년 후에는 내가 너로구나[八十年前渠是我 八十年後我是渠]”라는 시를 적어 유정과 처영에게 전하게 하고 가부좌하여 앉은 채로 입적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서산대사(西山大師) 

 

 

(91) 酬天敏禪子(수천민선자) : 天敏 禪子에게 하다

 

虛寂本無物 ~ 텅 비고 고요하여 本來 아무 것도 없는데

何勞轉大藏 ~ 어찌 수고로이 大藏經만 파고드는가.

秋江寒月色 ~ 가을 강에 차가운 달빛은

元不屬張王 ~ 元來 아무에게도 속하지 않은 것을.

 

 

 

(92) 宿瀛洲(숙영주) : 瀛洲(영주)에서 자다

 

鵬去天門廓 ~ 새 떠난 하늘은 드넓기만 하고

三山落桂花 ~ 三山桂樹나무 꽃 떨어지네.

長風過碧海 ~ 긴 바람이 푸른 바다를 지나가고

白月留寒沙 ~ 흰 달은 차가운 모래밭에 머무누나.

 

 

 

(93) 宿圓嵒驛(숙원암역) : 圓嵒(원암)에서 자면서

 

淸秋未歸客 ~ 淸凉한 가을 돌아가지 못한 나그네

終夜聽子規 ~ 밤이 다하도록 杜鵑새 소리 듣누나.

一窓山月落 ~ 에는 위의 달 떨어지는데

千里夢相思 ~ 千 里 먼 곳 꿈속에서 그리워하네.

 

 

 

(94) 示明鑑尙珠彦和諸門輩(시명감상주언화제문배) : 명감상주언화와 여러 문도에게 보이다.

 

出家修道輩 ~ 중이 되어 닦는 이는

財色最先禁 ~ 財物女色을 멀리하라.

群居須愼口 ~ 함께 살 때는 입을 操心하고

獨處要放心 ~ 혼자 있을 때는 마음을 흐트러뜨리지 말라.

明師常陪席 ~ 밝은 스승을 가까이 모시고

惡友勿同衾 ~ 나쁜 벗을 멀리 하라.

語當離戱笑 ~ 말을 鄭重하게 하고

睡亦莫昏沈 ~ 잠을 깊이 자지 말라.

法如龜上木 ~ 佛法 만나거든 눈먼 거북이 나무에 오름 같고

身若海中鍼 ~ 사람 되기는 바다 밑에서 바늘을 찾기 같다.

回光眞樂事 ~ 工夫처럼 좋은 일 없거늘

忍負好光陰 ~ 貴重時間을 어찌 함부로 버리랴.

志願如山海 ~ 뜻은 같이 굳게 하고 誓願(서원)은 바다처럼 깊게 해

期超大覺城 ~ 부처를 이룰 때까지 게으르지 말라.

擇師兼擇友 ~ 바른 善智識 가르침 따르고

精妙更精明 ~ 眞實道伴과 함께 지내라.

坐必向西坐 ~ 앉을 때는 西쪽을 해 앉고

行須示地行 ~ 다닐 때는 땅만 보고 다녀라.

療身常一食 ~ 몸을 유지함에는 밥 한 그릇이면 되고

許睡限三更 ~ 잠은 여섯 時間 以上 자지 말라.

金書不離手 ~ 부처님 經典恒常 지니고

外典莫留情 ~ 다른 에는 뜻을 두지 말라.

世人雖云樂 ~ 사람의 한平生이 즐겁다 하더라도

死魔忽可驚 ~ 죽음이 닥치면 어찌할 것인가.

吾儕論實事 ~ 우리들은 참다운 일만 생각할 뿐

安得尙虛名 ~ 헛된 名利를 어찌 낼 것인가.

 

 

 

(95) 示寶大師(시보대사) : 寶 大師에게 보이다

 

有物沒巴鼻 ~ 物件 끝을 잡을 수 없지만

常在動用中 ~ 언제나 몸 놀리고 마음 쓰는 데 있다.

佛祖說不及 ~ 부처와 祖師도 말하지 못했는데

何況寂黙通 ~ 잠자코 앉아 있다고 해지는가.

慾識這箇事 ~ 이 일을 꼭 알고 싶거든

但參祖師關 ~ 祖師스님의 話頭參究(참구)하라.

發信大如海 ~ 믿음은 바다와 같이 크게 하며

立志卓如山 ~ 뜻은 과 같이 높게 세우라.

日夜四威儀 ~ 하루 終日 다니고 머물고 앉고 눕는 동안

盡力起疑團 ~ 힘을 다해 疑心을 일으켜라.

冷炎沒滋味 ~ 차갑고 싱거워 아무 맛도 없지만

話頭獨單單 ~ 話頭 밖에 다른 일을 생각하지 말라.

識沈心路絶 ~ 아는 것이 다하고 마음길이 끊어져

丈夫骨應寒 ~ 丈夫의 뼛속까지 싸늘하게 된다.

自覺自疑時 ~ 저절로 話頭되고 저절로 꺼지며

當人得力處 ~ 이것이 工夫에 힘을 얻은 때다.

得到這田地 ~ 이런 境地에 이르면

可滅生死炬 ~ 生死의 타는 불꽃 저절로 꺼지리라

若不從斯語 ~ 萬一 이 말을 믿지 않는다면

驢年始得去 ~ 어느 歲月에 이룰 수 있으랴.

 

 

 

(96) 示離幻禪子(시리환선자) : 離幻 禪子에게 보이다.

 

圓頓二門曾立命 ~ 일찍이 圓敎頓敎 工夫에 뜻을 두었고

曺溪一句亦安身 ~ 曺溪의 한 句節에 또한 몸을 便安히 하였네.

靑山猶唱還鄕曲 ~ 靑山에서 여전히 故鄕으로 돌아온 노래를 부르니

定是禪家休歇人 ~ 정녕코 禪家의 휴식하는 사람이로다.

眞如鏡上鼓心機 ~ 眞如의 거울 위에서 마음이 鼓動치고

寂滅海中翻識浪 ~ 寂滅의 바다 속에서 의 물결 출렁이네.

一喝倒鋒生死軍 ~ 한마디 高喊(고함)으로 生死의 군사를 물리치니

太虛自在飛靑杖 ~ 太虛世界를 자유롭게 나다니네.

一生無事臥雲間 ~ 一生을 일 없이 구름 사이에 便安히 사니

却笑東坡半日閑 ~ 蘇東坡나절 閑暇로움을 비웃노라.

得失是非都放下 ~ 是非得失을 다 버리고

戲牽跛鼈載三山 ~ 三山을 짊어진 느림보 자라를 장난삼아 이끌어보네.

 

 

 

(97) 尋牛圖(심우도) : 불교의 선종(禪宗)에서 본성을 찾는 것을 소를 찾는 것에 비유하여 그린 선화(禪畫).

 

斫來無影樹 ~ 그림자 없는 나무를 하다가

燋盡水中漚 ~ 물속 거품을 모두 태워버렸구나.

可笑騎牛者 ~ 우습구나 소를 타고 가는 사람이여

騎牛更覓牛 ~ 소타고 서도 소를 찾다니.

 

* 심우도(尋牛圖) : 불교의 선종(禪宗)에서 본성을 찾는 것을 소를 찾는 것에 비유하여 그린 선화(禪畫).

선의 수행단계를 소와 동자에 비유하여 도해한 그림으로, 수행단계를 10단계로 하고 있어 십우도(十牛圖)라고도 한다. 중국 송나라 때 만들어진 보명(普明)의 십우도와 곽암(廓庵)의 십우도 등 두 종류가 우리나라에 전래되었다.

조선시대까지는 이 두 가지가 함께 그려졌으나 최근에는 대체로 곽암의 것을 많이 그리고 있으며, 주로 사찰의 법당 벽화로 많이 묘사되고 있다. 중국의 경우에는 십우도 대신에 말을 묘사한 십마도(十馬圖)를 그린 경우도 있고, 티베트에서는 코끼리를 묘사한 십상도(十象圖)가 전해져 오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그리고 보명의 것은 소를 길들인다는 뜻에서 목우도(牧牛圖)라고 한 반면, 곽암의 것은 소를 찾는 것을 열 가지로 묘사했다고 하여 심우도라고 한 점에서도 차이가 있다. 그리고 보명의 것에서는 마지막 열번째의 그림에만 원상(圓相)을 묘사하고 있는 데 대하여 곽암의 것은 처음부터 마지막까지의 모든 단계를 원상 안에 묘사한 점이 다르다.

 

이 심우도의 대체적인 내용은 처음 선을 닦게 된 동자가 본성이라는 소를 찾기 위해서 산중을 헤매다가 마침내 도를 깨닫게 되고 최후에는 선종의 최고 이상향에 이르게 됨을 나타내고 있다. 곽암의 심우도를 각 단계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

심우(尋牛)는 소를 찾는 동자가 망과 고삐를 들고 산속을 헤매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이것은 처음 발심한 수행자가 아직은 선이 무엇이고 본성이 무엇인가를 알지 못하지만 그것을 찾겠다는 열의로써 공부에 임하는 것을 상징한 것이다.

① 심우(尋牛)

견적(見跡)은 소 발자국을 발견한 것을 묘사한 것으로, 순수한 열의를 가지고 꾸준히 공부를 하다 보면 본성의 자취를 어렴풋이나마 느끼게 된다는 것을 소의 발자국으로 상징한 것이다.

② 견적(見跡)

견우(見牛)는 동자가 멀리서 소를 발견하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이는 본성을 보는 것이 눈앞에 다다랐음을 상징하고 있다.

③ 견우(見牛)

득우(得牛)는 동자가 소를 붙잡아서 막 고삐를 낀 모습으로 묘사된다. 이 경지를 선종에서는 견성(見性)이라고도 하는데, 마치 땅속에서 아직 제련되지 않은 금돌을 막 찾아낸 것과 같은 상태라고 많이 표현된다. 실제로 이때의 소는 검은색을 띤 사나운 모습으로 묘사되는데, 아직 삼독(三毒: 탐내고 성내고 어리석은 마음)에 물들어 있는 거친 본성이라는 뜻에서 검은색을 소의 빛깔로 표현한 것이다.

④ 득우(得牛)

목우(牧牛)는 거친 소를 자연스럽게 놓아두더라도 저절로 가야 할 길을 갈 수 있게끔 길들이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삼독의 때를 지우는 보임(保任: 깨달은 것을 더욱 갈고 닦음)의 단계로, 선에서는 이 목우의 과정을 가장 중요시하고 있는데, 그 까닭은 한번 유순하게 길들이기 전에 달아나 버리면 그 소를 다시 찾는다는 것은 더욱 어렵기 때문에 특별히 주의를 준 것이다. 이때의 소는 길들이는 정도에 따라서 차츰 검은색이 흰색으로 바뀌어 가게 묘사된다.

⑤ 목우(牧牛)

기우귀가(騎牛歸家)는 동자가 소를 타고 구멍 없는 피리를 불면서 본래의 고향으로 돌아오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이때의 소는 완전한 흰색으로서 특별히 지시를 하지 않아도 동자와 일체가 되어 피안의 세계로 나아가게 되며, 그때의 구멍 없는 피리에서 흘러나오는 소리는 가히 육안으로 살필 수 없는 본성의 자리에서 흘러나오는 소리를 상징하게 된다.

⑥ 기우귀가(騎牛歸家)

망우존인(忘牛存人)은 집에 돌아와 보니 애써 찾은 소는 온데간데 없고 자기만 남아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결국 소는 마지막 종착지인 심원(心源)에 도달하게 하기 위한 방편이었으므로, 이제 고향집으로 돌아오게 되었으니 방편은 잊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뗏목을 타고 피안에 도달했으면 뗏목을 버려야 한다는 교종의 가르침과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⑦ 망우존인(忘牛存人)

인우구망(人牛俱忘)은 소 다음에 자기 자신도 잊어버린 상태를 묘사한 것으로 텅빈 원상만을 그리게 된다. 객관이었던 소를 잊었으면 주관인 동자 또한 성립되지 않는다는 주객 분리 이전의 상태를 상징한 것으로, 이 경지에 이르러야만 비로소 완전한 깨달음이라고 일컫게 된다.

⑧ 인우구망(人牛俱忘)

반본환원(返本還源)은 이제 주객이 텅빈 원상 속에 자연의 모습이 있는 그대로 비치는 것으로 묘사된다. 산은 산으로, 물은 물로 조그마한 번뇌도 묻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참된 지혜를 상징한 것이다.

⑨ 반본환원(返本還源)

입전수수(入廛垂手)는 지팡이에 큰 포대를 메고 사람들이 많은 곳으로 가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이때의 큰 포대는 중생들에게 베풀어 줄 복과 덕을 담은 포대로, 불교의 궁극적인 뜻이 중생의 제도에 있음을 상징화한 것이다.

⑩ 입전수수(入廛垂手)

 

 

(98) 雙溪方丈(쌍계방장) : 쌍계사 주지

 

白雲前後嶺 ~ 앞 뒤 고갯마루엔 흰 구름이

明月東西溪 ~ 東西쪽 개울엔 밝은 달빛.

僧坐落花雨 ~ 꽃비 내리는데 스님 앉아있고

客眠山鳥啼 ~ 새소리에 은 잠이 들었다.

 

 

 

(99) 夜雪(야설) : 눈 내린 밤

 

踏雪夜中去 ~ 눈을 밟으며 밤길 갈 때엔

不須胡亂行 ~ 발걸음을 함부로 어지럽히지 말라.

今日我行蹟 ~ 오늘 내가 가는 이 발자취는

遂作後人程 ~ 뒤에 오는 사람들의 里程標가 되리니.

 

* 朝鮮後期 文臣이자 詩人李亮淵 (1771~1853)라고도 한다.

 

 

 

(100) 漁翁(어옹) : 늙은 어부

 

五帝三皇事 ~ 지나간 날의 일들은

掉頭吾不知 ~ 나도 몰라 고개 흔드는데

孤舟一片月 ~ 외로운 배는 한조각 달이요

長笛白鷗飛 ~ 긴 피리 소리에 흰 갈매기 날아오르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