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禪詩/禪師들의 禪詩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의 禪詩(선시) (111)~(120)

by 산산바다 2022. 11. 2.

산과바다

승군지휘

禪師禪詩 HOME

선사의 선시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 (1520~1604)禪詩 (111)~(120)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 (1520~1604. 俗名崔汝信. 兒名 雲鶴.

本貫完山<全州>. 字 玄應, 淸虛. 法名 休靜. 平南 安州 出生.

壬辰倭亂 僧軍을 이끌고 平壤奪還作戰參加하여 을 세웠다.

妙香山에 오래 머물렀기 때문에 妙香山人 또는 西山大師<別號>로 불린다)

 

서산대사(西山大師)[1520~1604]의 본관은 완산(完山)이며 속명은 최여신(崔汝信), 자는 현응(玄應), 호는 청허(淸虛), 법명은 휴정(休靜)이다. 별호는 서산대사·백화도인(白華道人)·풍악산인(楓岳山人)·두류산인(頭流山人)·묘향산인(妙香山人)·조계퇴은(曹溪退隱)·병로(病老) 등이다. 임진왜란 때 전국에 승첩을 돌려 승군을 조직하고 왜군과 싸워 큰 공을 세웠다.

 

* 활동 사항

서산대사는 1520년(중종 20) 평안도 안주에서 태어났다. 9세 때 어머니가 죽고 이듬해 어머니마저 사망하자 안주목사 이사증(李思曾)을 따라 서울로 옮겨 성균관에서 3년 동안 글과 무예를 익혔다. 과거를 보았으나 뜻대로 되지 않아 친구들과 같이 지리산의 화엄동(華嚴洞)·칠불동(七佛洞) 등을 구경하면서 여러 사찰에 기거하던 중 영관대사(靈觀大師)의 설법을 듣고 불법(佛法)을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그곳에서 『화엄경(華嚴經)』·『원각경(圓覺經)』·『능엄경(楞嚴經)』·『유마경(維摩經)』·『반야경(般若經)』·『법화경(法華經)』 등을 읽으며 교리를 탐구하던 중 깨달은 바 있어 스스로 시를 짓고 삭발한 다음 숭인장로(崇仁長老)를 스승으로 모시고 출가하였다. 1540년 수계사(授戒師) 일선(一禪), 증계사(證戒師) 석희(釋熙)·육공(六空)·각원(覺圓), 전법사(傳法師) 영관을 모시고 계(戒)를 받았다. 그 뒤 영관으로부터 인가를 받고 각지를 떠돌며 수행에만 전념하다가 1549년(명종 4) 승과(僧科)에 급제하였고, 대선(大選)을 거쳐 선교양종판사(禪敎兩宗判事)가 되었다.

 

1556년 선교양종판사직이 승려의 본분이 아니라며 물러나 금강산·두륜산·태백산·오대산·묘향산 등을 다니며 수행하였으며, 후학을 지도하였다.

 

1589년(선조 22) 『정감록(鄭鑑錄)』의 미신에 의하여 정여립(鄭汝立)이 역모(逆謀)를 꾀한 사건이 일어났는데, 역모에 가담한 요승 무업(無業)이 휴정과 유정(惟政)이 자신과 함께 역모에 가담하였다고 주장하여 투옥되었다가 무죄 석방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는 평양을 거쳐 의주로 피난하였다. 이때 선조는 묘향산으로 사신을 보내 나라의 위급함을 알리고 서산대사를 불렀다. 이에 서산대사는 전국에 격문을 돌려서 각처의 승려들이 구국에 앞장서도록 하였다. 이에 제자 처영(處英)은 지리산에서 궐기하여 권율(權慄)의 휘하에 들었고, 유정은 금강산에서 1,000여 명의 승군을 모아 평양으로 왔다. 서산대사는 1,500명의 의승을 순안 법흥사(法興寺)에 집결시키고 승군을 통솔하였으며, 명나라 군사와 함께 평양을 탈환하였다. 이후 선조가 서울로 돌아오자 묘향산으로 돌아가 나라의 평안을 기원하였다.

 

서산대사는 1604년 1월 묘향산 원적암(圓寂庵)에서 설법을 마치고 자신의 영정(影幀)을 꺼내어 그 뒷면에 “80년 전에는 네가 나이더니 80년 후에는 내가 너로구나[八十年前渠是我 八十年後我是渠]”라는 시를 적어 유정과 처영에게 전하게 하고 가부좌하여 앉은 채로 입적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서산대사(西山大師) 

 

 

(111) 隱夫(은부) : 은거하는 사나이

 

風月非塵世 ~ 바람과 달은 俗世와 다르고

山川是畫圖 ~ 과 시내는 그림과도 같아라.

君能向此老 ~ 그대 히 이렇게 늙어간다면

不曰丈夫乎 ~ 大丈夫라 부르지 아니하겠는가?

 

 

 

(112) 崇義禪子訪淸虛(의선자방청허) : 崇義 스님이 淸虛를 찾아왔기에

 

欲識淸虛主 : 淸虛堂의 주인을 알고 싶은가?

相逢定不逢 : 만났다 하더라도 만난 것이 아닐세.

須知白雲外 : 알지어다. 흰 구름 그 너머에

別有一奇峯 : 또다시 기이한 봉우리가 있음을.

 

* 淸虛堂(청허당) : 이 시의 저자인 휴정(休靜)의 당호. 자신이 거처하던 집의 이름을 따서 호로 삼은 것.

 

 

 

(113) 移居(이거) : 옮겨 살다.

 

十年居海上 ~ 十年 동안 바닷가에서 살다가

茅屋大風侵 ~ 띠집이 태풍에 쓰러져버렸네.

移入白雲裏 ~ 흰 구름 속으로 옮겨 왔더니

萬山惟一心 ~ 萬 山은 오직 한 마음이로다.

 

 

 

(114) 人境俱奪(인경구탈) : 사람도 경계도 모두 사라지고 없다

 

梨花千萬片 ~ 배꽃 千 萬 조각

飛入淸虛院 ~ 빈집에 날아들고

牧笛過前山 ~ 牧童의 피리소리 앞 을 지나건만

人牛俱不見 ~ 둘러보니 사람도 소도 보이지 않네.

 

 

 

(115) 因事有感(인사유감) : 어떤 일로 인한 느낌이 있어

 

儒釋虛名紛指馬 ~ 儒敎佛敎니 하는 헛된 이름으로 잡다하게 是非를 벌이니

山林朝市各酸然 ~ 속이나 朝廷이나 저자 어디에 있건 疲困할 뿐이다.

由來至道離文字 ~ 至極文字를 떠나 있거늘

今日無言政合天 ~ 오늘의 말 없음이 丁寧 자연에 合致되리라.

人世是非何日已 ~ 人間 世上是非는 어느 때에나 그치려나

一身生計可愴然 ~ 이 한 몸 살아갈 計策이 참 고달플 따름이라.

靑山若也年年長 ~ 靑山年年世世 오래토록 존속할지라도

太白老夫應上天 ~ 太白 老人은 하늘로 올라가리라.

 

 

 

(116) 自嘲(자조) : 자기를 스스로 비웃다.

 

祖師深旨落言詮 ~ 祖師의 깊은 뜻이 言詮(언전)에 떨어졌으니

悔讀緇門勉學篇 ~ 緇門(치문)勉學篇 읽은 것이 後悔스럽네.

草履抛來東海外 ~ 東海 바깥으로 짚신을 내던져 버렸으나

蓬萊猶在短筇邊 ~ 蓬萊山如前히 지팡이 끝에 있구나.

 

* 言詮(언전) : 언어로 설명함, 말로서 도리를 드러냄.

* 치문(緇門) : 치문경훈(緇門警訓)의 줄임말 : 승려들이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되는 고승들의 글을 모은 책.

 

 

 

(117) 雜詠(잡영) : 여러 가지 사물에 대하여 읊은 시가(詩歌).

 

天地一虛堂 ~ 天地間에 하나의 텅 빈 집

古今一瞬息 ~ 古今間에 하나의 순간이라.

其中一主人 ~ 그 속의 한 主人

曠劫一顔色 ~ 영원토록 한결같은 안색이라네.

千聖猶難測 ~ 천 명의 聖人도 헤아리기 어려우니

六凡安得知 ~ 여섯 凡夫가 어찌 알리오.

八窓虛豁豁 ~ 팔방의 창문이 텅텅 비어 있어서

風月自相吹 ~ 달빛 아래 바람이 절로 불어오네.

十年奔走人 ~ 십년토록 분주하던 사람

戲遂花邊蝶 ~ 꽃을 좇는 나비이었네.

拂枕歸山眠 ~ 베개를 떨치고 으로 돌아와 누우니

淸風生竹葉 ~ 댓잎 사이에서 맑은 바람이 생겨나누나.

 

 

 

(118) 雜興(잡흥) : 이런저런 흥취

 

光陰繩不繫 ~ 흐르는 歲月을 밧줄로 묶을 수 없듯이

衰病藥難醫 ~ 늙고 들면 으로도 고치기 어렵다네.

我有眞方術 ~ 나에게 참 좋은 方策

心經勉守持 ~ 마음의 經典을 힘써 지켜 간직함이지.

 

 

 

(119) 墻壁頌(장벽송) : 담장을 노래함

 

問爾禪和墻壁意 ~ 禪和에게 墻壁(장벽)의 뜻을 묻노니

非心非道是什麽 ~ 마음도 아니요 도 아닌 이것이 무엇인가?

直須密密參詳去 ~ 즉각 밀밀히 자세하게 參究(참구)하여야

始息諸緣見達摩 ~ 비로소 모든 因緣이 쉬면 達摩를 보리라.

 

* 參究(참구) : 진리를 參禪하여 연구함.

 

 

 

(120) 裁松菊(재송국) : 국화와 소나무를 심고

 

去年初種庭前菊 ~ 지난해 처음으로 뜰 앞에 菊花심고

今年又裁檻外松 ~ 今年에 울 밖에 솔을 또 심었다.

山僧不是愛花草 ~ 山僧愛着있어 花草 가꿈 아니요

要使人知色是空 ~ 사람에게 理致 알리고자 함일세.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