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색239 산수유 Asiatic Cornelian Cherry 산과바다 산수유 Asiatic Cornelian Cherry 2024. 12. 4. 담음 * 빨간 열매가 겨우내 붙어 있고 꽃이 피는 3월에도 꽃과 함께 붙어 있어 아름답더군요. * 지난 3월 초에 꽃이 피기 시작하여 중순엔 만개하여 작은 꽃잎이 뒤로 젖혀지고 꽃자루가 삐쭉 올라옴이 특이하여 예쁘더군요. 산수유나무 Cornus officinalis Sieb.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층층나무목 >층층나무과 >층층나무속(Cornus) 중부 이남에 심어 기르는 작은키나무 또는 떨기나무이다. 줄기는 높이 5~12m,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줄기가 오래되면 껍질 조각이 떨어진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또는 긴 난형으로 길이 4~10cm, 폭 2~6cm, 끝이 날카롭게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 2024. 12. 5. 풀싸리 Tall lespedeza 산과바다 풀싸리 Tall lespedeza 2024. 11. 10. 원산도에서 담음 * 싸리일까? 했는데 바닷가에서 11월인데도 꽃이 보여 내한성이 강한 풀싸리로 동정하여 올려본다. 풀싸리 Lespedeza thunbergii subsp. formosa (Vogel) H.Ohashi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콩과 >싸리속(Lespedeza) 한국 특산종으로 전국에 분포한다. 나무 모양이 풀처럼 생겼다 하여 풀싸리라 한다. 내한성은 강하나 지상부가 피해받아 고사하며 양지에서 생장이 좋고 건조에는 약하다. 비옥적윤한 곳을 좋아하며 공해에도 강하여 도심지 식재용으로 좋다. 줄기는 겨울 동안 지상부가 대부분 말라 죽고 높이 1~2m이며 가지에 능선과 더불어 복모가 있다.잎은 3출엽이.. 2024. 11. 15. 칸나 Canna 산과바다 칸나 Canna 2024. 11. 2. 담음 * 꽃은 여름부터 가을까지 보랏빛·붉은빛·노란빛 등으로 계속 피고 줄기 윗부분에 달린다. * 한국에서 원예용으로 주로 재배하는 칸나(C. generalis)는 인도와 아프리카가 원산지인 여러해살이풀이다. 칸나 Canna generalis L.H.Bailey & E.Z.Bailey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생강강 >홍초과 >칸나속(Canna)←홍초속 뿌리줄기는 고구마처럼 굵고, 줄기는 원기둥 모양이며 곧게 서고 높이가 1∼2m이며 자르면 점액이 나온다. 잎은 길이 30∼40cm의 넓은 타원 모양이고 양끝이 좁으며 밑 부분이 잎집이 되어 줄기를 감싼다.꽃은 여름부터 가을까지 보랏빛·붉은빛·노란빛 등으로 계속 피고 줄기 윗부분에 달린다.. 2024. 11. 4. 핫립세이지 Hotlipsage 산과바다 핫립세이지 Hotlipsage 2024. 11. 2. 국립세종수목원에서 담음 * 처음에 꽃이 필 때 전체가 빨간색이었다가 기온이 올라가면 점점 흰색으로 물이 든다. 하지만 이는 기온에 따른 일시적인 현상으로 날씨가 추워지면 빨간색 꽃잎이 더 많아진다. 핫립세이지 Salvia microphylla Kunth 'Hot Lips'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꿀풀과 >배암차즈기속(Salvia) 원산지는 멕시코이다. 내한성이 있는 다년생 화초류로 추운 지역에서는 낙엽이 지며 따뜻한 지역에서는 상록이다.잎은 작은 난형니며 여러개의 잎이 짤막한 줄기에 무더기로 붙어서 나오는 총생의 형태이며 줄기의 높이는 60~120cm 정도의 크기이다.꽃은 4월~11월에 피며 가지 끝에서.. 2024. 11. 3. 코스모스 Cosmos 산과바다 코스모스 Cosmos 2024. 10. 24. 담음 * 코스모스는 가을꽃으로만 각인되었는데 5월부터 10월까지도 오랜 기간 꽃이 보이는군요. * 꽃의 색깔이 흰색 분홍색 붉은색이 기본종인데 공원 등지에 식재된 개량종들은 다양한 색깔로 보이더군요. 코스모스 Cosmos bipinnatus Cav.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코스모스속(Cosmos) 멕시코가 원산지이며 관상용으로 흔히 심는다. 줄기는 높이가 1∼2m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고 2회 깃꼴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줄 모양이다.꽃은 6∼10월에 피고 가지와 줄기 끝에 두상화(頭狀花:꽃대 끝에 꽃자루가 없는 작은 꽃이 많이 모여 피어 머리 모양을 이룬 꽃)가 1개씩 .. 2024. 10. 25.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coccinea Moench 산과바다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coccinea Moench 2024. 9. 28. 담음 * 유홍초(留紅草)는 잎이 새 깃처럼 갈라져 있어 새깃유홍초라고도 하고 * 둥근잎유홍초는 잎이 하트모양으로 둥글어 쉽게 구분이 되는군요.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angulata Boje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메꽃과 >유홍초속(Quamoclit) 메꽃과 유홍초속의 한해살이 덩굴식물로 능조라>라고도 한다. 열대 아메리카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덩굴은 나팔꽃처럼 자라면서 왼쪽으로 감아 올라간다. 길이는 3m 내외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심장 모양 원형이다. 잎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며 밑 부분의 양쪽 끝이 뾰족한 각으로 된다.꽃은 8∼9월에 피고 노란빛.. 2024. 9. 29. 맨드라미 Cockscomb 산과바다 맨드라미 Cockscomb 2024. 9. 15. 담음 * 맨드라미하면 꽃이 붉고 닭벼슬 모양으로 되어있음을 떠올리는데 * 개맨드라미는 모양과 색깔이 다양하군요. * 연한 홍색의 꽃이 피고 꽃이 다 피고 나면 흰색으로 바뀜이 특이하군요. 맨드라미 Celosia cristat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중심자목 >비름과 >맨드라미속(Celosia) 줄기는 높이 90cm 정도로 곧게 자라고 붉은 빛을 띤다. 잎은 어긋나게 달리고 난상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7~8월에 원줄기 끝에 닭의 볏처럼 생긴 꽃이 흰색, 붉은색, 황색 등의 색으로 핀다. 대개는 붉은색으로 피지만 품종에 따라 여러 가지 색과 모양이 있다.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지고 갈래.. 2024. 9. 15. 채송화 Rose moss 산과바다 채송화 Rose moss 2024. 8. 9. 담음 * 꽃잎의 모양과 색깔이 다양하고(붉은색, 노란색, 흰색) 꽃잎 가운데 또 꽃이 피는 것 같군요. * 꽃이 낮에는 피었다가 오후에 시드는데 햇빛 받을 때만 피는 것도 특이하군요. 채송화 Portulaca grandiflora Hook.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석죽목 >쇠비름과 >쇠비름속(Portulaca) 채송화는 남아메리카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마당의 한켠이나 담벼락 아래 주로 심었으며 양지바른 곳에서 잘 자란다. 줄기는 붉은 빛을 띠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퍼지며 높이 20cm내외이다. 잎은 육질로 어긋나고 가늘고 긴 원기둥 모양이고 잎겨드랑이에 흰색털이 있다. 꽃은 가지 끝에 1~2송이씩 달리고 지름 2.5c.. 2024. 8. 9. 분꽃 Four o'clock flower 산과바다 분꽃 Four o'clock flower 2024. 7. 30. 담음 * 분꽃은 일반적으로 오후 4시경에 꽃이 활짝 피어서 분꽃 이름이 Four o'clock flower라 붙여졌다는군요. * 지난 7원 28일 오후 4시 넘어서 가보니 꽃잎이 닫혀있더군요. * 분꽃(24. 7. 28) 그래서 오늘 다시 오후 7시 넘어서 관찰하니 꽃이 피기 시작하는군요. * 꽃의 색깔은 멘델의 법칙을 따르지 않는다. 분꽃의 경우에는 중간 유전이라는 형태로 나타난다. 표현형의 관계가 불완전한 것일 뿐이다. 그런데 분꽃의 경우에는 더욱 불분명하지 않아서, 혼합색상이 나오거나, 모자이크가 나오거나, 심지어 한 식물에서 색이 다른 두 꽃 그룹이 튀어나오기도 한다. 분꽃(粉꽃) Mirabilis jalap.. 2024. 7. 30. 분꽃 Four o'clock flower 산과바다 분꽃 Four o'clock flower 2024. 7. 28. 담음 * 유년 시절에 심고 가꾸던 꽃이라 정감이 가는군요. * 분꽃은 일반적으로 오후 4시경에 꽃이 활짝 피어서 분꽃 이름이 Four o'clock flower라 붙여졌고 다양한 색상의 꽃을 가질 수 있으며, 주로 정원에서 장식적인 식물로 사용된다. * 분꽃이라는 이름은 종자의 배유(胚乳)가 분가루 같다는 데서 유래한 것이다. 분꽃(粉꽃) Mirabilis jalap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중심자목 >분꽃과 >분꽃속(Mirabilis) 원산지인 남아메리카에서는 여러해살이풀이고, 우리나라에서는 기후 관계로 한해살이풀이다. 분꽃이라는 이름은 종자의 배유(胚乳)가 분가루 같다는 데서 유래한 것이다.분화(粉花).. 2024. 7. 28. 맨드라미 Cockscomb 산과바다 맨드라미 Cockscomb 2024. 7. 28. 담음 * 닭의 볏처럼 생긴 꽃이 흰색, 붉은색, 황색 등의 색으로 핀다. 맨드라미 Celosia cristat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중심자목 >비름과 >맨드라미속(Celosia) 줄기는 높이 90cm 정도로 곧게 자라고 붉은 빛을 띤다. 잎은 어긋나게 달리고 난상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7~8월에 원줄기 끝에 닭의 볏처럼 생긴 꽃이 흰색, 홍색, 황색 등의 색으로 핀다. 대개는 붉은색으로 피지만 품종에 따라 여러 가지 색과 모양이 있다.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지고 갈래조각은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개과(蓋果)로 난형으로 암술대가 남는다. 종자.. 2024. 7. 28. 칸나 Canna 산과바다 칸나 Canna 2024. 7. 27. 담음 * 한국에서 원예용으로 주로 재배하는 칸나(C. generalis)는 인도와 아프리카가 원산지인 여러해살이풀이다. 칸나 Canna generalis L.H.Bailey & E.Z.Bailey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생강강 >홍초과 >칸나속(Canna)←홍초속 한국에서 원예용으로 주로 재배하는 칸나(C. generalis)는 인도와 아프리카가 원산지인 여러해살이풀이다.줄기는 원줄기는 원주형이며 홍자색 또는 녹색이고 자르면 점액이 나온다.뿌리는 고구마 같은 굵은 근경이 있다.잎은 넓은 타원형이며 길이 30~40cm로서 양끝이 좁고 밑부분이 엽초로 되어 원줄기를 감싸며 측맥이 평행하다.꽃은 여름부터 가을까지 계속 피고 여러 색이며 지름.. 2024. 7. 27. 아마존빅토리아수련 Victoria regia amazonica 산과바다 아마존빅토리아수련 Victoria regia amazonica 2024. 7. 21. 국립세종수목원 사계절전시온실 수련지에서 담음 * 큰가시연꽃(Victoria Water Lily)이라고도 한다. 아마존빅토리아수련 Victoria amazonica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수련목 >수련과 >빅토리아속(Victoria) 가이아나와 브라질의 아마존강(江) 유역이 원산지이고 1801년경 남아메리카의 볼리비아에서 처음으로 식물학자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큰가시연꽃(Victoria Water Lily)이라고도 한다. 잎은 물 위에 떠 있고 원 모양이며 지름이 90∼180cm로 어린아이가 잎 위에 앉아 있을 정도로 크고 가장자리가 약 15cm 높이로 위를 향해 거의 직각으로 구부러진.. 2024. 7. 22. 하와이무궁화 Hawaiian hibiscus 산과바다 하와이무궁화 Hawaiian hibiscus 2024. 7. 21. 세종수목원에서 담음 * 옆에 미국부용의 꽃과 비슷해 보이는데 꽃의 색깔과 줄기의 모양과 색이 달라 하와이무궁화로 동정해 본다. * 하와이무궁화는 부상화(扶桑花), 불상화(佛桑花)라고도 한다. * 무궁화꽃처럼 꽃은 하루 동안만 피어 있다가 진다. 하와이무궁화 Hibiscus rosa-sinensis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아욱목 >아욱과 >무궁화속(Hibiscus) 줄기 높이 2∼5m(온실에서는 1∼2m)이며, 가지를 많이 친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 윗부분에는 톱니가 있다. 잎은 쳐지지 않고 진한 녹색으로 약간 흑색이 섞여 있다. 여름에 새로 난 가지에 꽃잎이 두껍고 광택이.. 2024. 7. 21. 배롱나무 Crape Myrtle 산과바다 배롱나무 Crape Myrtle 2024. 7. 20. 담음 * 배롱나무는 붉은색과 분홍색으로 피고 흰색 꽃이 피는 것을 흰배롱나무라고 하는군요. * 붉은 꽃이 100일 이상 계속 피어서 목백일홍 또는 백일홍나무라고도 하며 나무껍질을 손으로 긁으면 잎이 움직인다고 하여 간지럼나무라고도 한다.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도금양목 >부처꽃과 >배롱나무속(Lagerstroemia) 나무껍질을 손으로 긁으면 잎이 움직인다고 하여 간지럼나무라고도 한다. 높이 약 5m이다. 나무껍질은 연한 붉은 갈색이며 얇은 조각으로 떨어지면서 흰 무늬가 생긴다. 작은 가지는 네모지고 털이 없다. 새 가지는 4개의 능선이 있고 잎이 마주난다. 잎은 타.. 2024. 7. 21. 수련 睡蓮 Water lily 산과바다 수련 睡蓮 Water lily 2024. 7. 6. 담음 * 꽃은 3일 동안 피었다 닫혔다 하며 5월부터 9월까지도 꽃을 볼 수 있더군요. * 꽃이 밤에 접어들기 때문에 수련(睡蓮)이라고 한다. * 수련꽃의 색은 흰색이라는데 원예품종은 노란색과 붉은색도 있군요. * 쌍떡잎식물로 분류되면서도 떡잎을 1장 가지는 특이한 식물이고 잎이 V자 모양으로 갈라짐이 연꽃과 다르군요. 수련 Nymphaea tetragona Georgi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수련목 >수련과 >수련속(Nymphaea) 여러해살이 수중식물로 굵고 짧은 땅속줄기에서 많은 잎자루가 자라서 물 위에서 잎을 편다. 잎은 뿌리에서 나온다. 긴 엽병이 수면까지 자라 그 끝에 잎이 난다. 잎은 난상 원형 또는 난상.. 2024. 7. 7. 배롱나무 Crape Myrtle 산과바다 배롱나무 Crape Myrtle 2024. 7. 6. 담음 배롱나무꽃은 붉은색과 분홍색으로 피고 흰색 꽃이 피는 것을 흰배롱나무라고 하는군요. * 붉은 꽃이 100일 이상 계속 피어서 목백일홍 또는 백일홍나무라고도 하며 나무껍질을 손으로 긁으면 잎이 움직인다고 하여 간지럼나무라고도 한다.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도금양목 >부처꽃과 >배롱나무속(Lagerstroemia) 나무껍질을 손으로 긁으면 잎이 움직인다고 하여 간지럼나무라고도 한다. 높이 약 5m이다. 나무껍질은 연한 붉은 갈색이며 얇은 조각으로 떨어지면서 흰 무늬가 생긴다. 작은 가지는 네모지고 털이 없다. 새 가지는 4개의 능선이 있고 잎이 마주난다. 잎은 타원형.. 2024. 7. 7. 꼬리조팝나무 Willowleaf spiraea 산과바다 꼬리조팝나무 Willowleaf spiraea 2024. 7. 6. 담음 * 꼬리조팝나무는 우리나라의 조팝나무속 식물 가운데 꽃은 가장 진한 붉은색이며, 꽃차례는 유일하게 원추꽃차례를 이루므로 구분된다. * 붉게 보이는 수술이 도드라져서 특이하고 연한 붉은색 꽃이 예쁘군요. 꼬리조팝나무 Spiraea salicifoli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 장미과 >조팝나무속(Spiraea) 진주화·수선국이라고도 한다. 골짜기 습지에서 자라는 떨기나무이다. 높이 1∼2m이다. 가지에 능선이 있으며 털이 나거나 나지 않는 것도 있다.잎은 어긋나고 바소꼴이며 양 끝이 뾰족하고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잎 길이는 4∼8cm, 나비 1.5∼2cm로서 뒷면에 잔털이 난다.꽃은 .. 2024. 7. 6. 이전 1 2 3 4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