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선사의 선시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 (1520~1604)의 禪詩 (131)~(140)
●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 (1520~1604. 俗名은 崔汝信. 兒名 雲鶴.
本貫은 完山<全州>. 字 玄應, 號 淸虛. 法名 休靜. 平南 安州 出生.
壬辰倭亂 때 僧軍을 이끌고 平壤奪還作戰에 參加하여 功을 세웠다.
妙香山에 오래 머물렀기 때문에 妙香山人 또는 西山大師<別號>로 불린다)
서산대사(西山大師)[1520~1604]의 본관은 완산(完山)이며 속명은 최여신(崔汝信), 자는 현응(玄應), 호는 청허(淸虛), 법명은 휴정(休靜)이다. 별호는 서산대사·백화도인(白華道人)·풍악산인(楓岳山人)·두류산인(頭流山人)·묘향산인(妙香山人)·조계퇴은(曹溪退隱)·병로(病老) 등이다. 임진왜란 때 전국에 승첩을 돌려 승군을 조직하고 왜군과 싸워 큰 공을 세웠다.
* 활동 사항
서산대사는 1520년(중종 20) 평안도 안주에서 태어났다. 9세 때 어머니가 죽고 이듬해 어머니마저 사망하자 안주목사 이사증(李思曾)을 따라 서울로 옮겨 성균관에서 3년 동안 글과 무예를 익혔다. 과거를 보았으나 뜻대로 되지 않아 친구들과 같이 지리산의 화엄동(華嚴洞)·칠불동(七佛洞) 등을 구경하면서 여러 사찰에 기거하던 중 영관대사(靈觀大師)의 설법을 듣고 불법(佛法)을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그곳에서 『화엄경(華嚴經)』·『원각경(圓覺經)』·『능엄경(楞嚴經)』·『유마경(維摩經)』·『반야경(般若經)』·『법화경(法華經)』 등을 읽으며 교리를 탐구하던 중 깨달은 바 있어 스스로 시를 짓고 삭발한 다음 숭인장로(崇仁長老)를 스승으로 모시고 출가하였다. 1540년 수계사(授戒師) 일선(一禪), 증계사(證戒師) 석희(釋熙)·육공(六空)·각원(覺圓), 전법사(傳法師) 영관을 모시고 계(戒)를 받았다. 그 뒤 영관으로부터 인가를 받고 각지를 떠돌며 수행에만 전념하다가 1549년(명종 4) 승과(僧科)에 급제하였고, 대선(大選)을 거쳐 선교양종판사(禪敎兩宗判事)가 되었다.
1556년 선교양종판사직이 승려의 본분이 아니라며 물러나 금강산·두륜산·태백산·오대산·묘향산 등을 다니며 수행하였으며, 후학을 지도하였다.
1589년(선조 22) 『정감록(鄭鑑錄)』의 미신에 의하여 정여립(鄭汝立)이 역모(逆謀)를 꾀한 사건이 일어났는데, 역모에 가담한 요승 무업(無業)이 휴정과 유정(惟政)이 자신과 함께 역모에 가담하였다고 주장하여 투옥되었다가 무죄 석방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는 평양을 거쳐 의주로 피난하였다. 이때 선조는 묘향산으로 사신을 보내 나라의 위급함을 알리고 서산대사를 불렀다. 이에 서산대사는 전국에 격문을 돌려서 각처의 승려들이 구국에 앞장서도록 하였다. 이에 제자 처영(處英)은 지리산에서 궐기하여 권율(權慄)의 휘하에 들었고, 유정은 금강산에서 1,000여 명의 승군을 모아 평양으로 왔다. 서산대사는 1,500명의 의승을 순안 법흥사(法興寺)에 집결시키고 승군을 통솔하였으며, 명나라 군사와 함께 평양을 탈환하였다. 이후 선조가 서울로 돌아오자 묘향산으로 돌아가 나라의 평안을 기원하였다.
서산대사는 1604년 1월 묘향산 원적암(圓寂庵)에서 설법을 마치고 자신의 영정(影幀)을 꺼내어 그 뒷면에 “80년 전에는 네가 나이더니 80년 후에는 내가 너로구나[八十年前渠是我 八十年後我是渠]”라는 시를 적어 유정과 처영에게 전하게 하고 가부좌하여 앉은 채로 입적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서산대사(西山大師)
(131) 贈蓮華道人(증련화도인) : 蓮華 道人에게
根身四大聚 ~ 몸뚱이는 네 가지가 모인 것이요
大地一樊籠 ~ 땅덩어리는 하나의 새장과 같은 것.
山僧觀落日 ~ 山僧이 떨어지는 해를 보고 있노라니
世界忽成空 ~ 世界가 문득 空이 되었네.
* 四大(사대) : 세상 만물을 구성하는 地(땅) 水(물) 火(불) 風(바람)의 네 가지 요소
(132) 贈牧庵(증목암) : 牧庵님께 바친다.
吹笛騎牛子 ~ 송아지 등에 타고 피리 부는 저 아이
東西任意歸 ~ 東西를 自由自在로 다니는 구나.
靑原煙雨裏 ~ 푸른 들판 안개비 속에
覺盡幾蓑衣 ~ 도롱이는 또 얼마나 젖었을까?
(133) 贈碧泉禪子(증벽천선자) : 碧泉 禪子에게
歷歷提公案 ~ 話頭를 分明히 들게
莫浮亦莫沈 ~ 妄想(망상)도 惛沈(혼침)도 말게.
虛明如水月 ~ 비고 맑기는 물에 뜬 달 같이 하고
急緩若調琴 ~ 완급일랑 거문고 고르듯 하게.
病者求醫志 ~ 병자가 의사를 찾듯
嬰兒憶母心 ~ 젖먹이가 어미를 찾듯.
做工親功處 ~ 이렇게 간절히 공부하게
紅日上東岑 ~ 때가 되면 해는 뜬다네.
* 혼침(惛沈) : 가라앉은 마음
(134) 贈別麟壽禪子(증별린수선자) : 인수(麟壽) 선자와의 이별에 드림
金剛道士促裝歸 ~ 金剛 道人이 行裝꾸려 떠나는데
風滿懷中雲滿衣 ~ 가슴 가득 맑은 바람에 옷에는 구름이라.
啼鳥洛花春寂寂 ~ 새는 울고 꽃은 떨어지는 쓸쓸한 봄
夕陽山郭雨霏霏 ~ 夕陽의 山郭(산곽)에 부슬부슬 비가 내리네.
一聲長笛離亭苦 ~ 한 曲調 피리소리 떠나는 情 슬프고
千里孤帆海色微 ~ 千 里 길 외로운 배 바다 빛 稀微하네.
今日故人何處宿 ~ 오늘밤 자네가 쉴 곳은 어디이던가?
半窓梅竹月依依 ~ 반창엔 梅花와 대나무에 皎皎한 달빛이 흐르네.
(135) 贈別慧機長老(증별혜기장로) : 길 떠나는 제자에게
老鶴飛天去 ~ 늙은 鶴은 저 하늘 밖으로 날아갔으니
雲山幾萬重 ~ 구름산은 첩첩하기 몇 만 겹인가.
贈君無別物 ~ 그대에게 줄 것은 별다른 것 없고
唯有一枝筇 ~ 여기 오직 지팡이 한 자루 남아 있을 뿐.
(136) 贈李竹馬(증이죽마) : 李竹馬에게
閑忙雖異路 ~ 한가롭고 분망함의 길은 다르나
歲月忽同流 ~ 그러나 다 같이 흘렀던 歲月.
相逢說往事 ~ 서로 만나 나누는 이야기
白髮黃花秋 ~ 菊花 빛에 누런 가을 白髮들 일세.
(137) 贈一禪子(증일선자) : 一 禪子에게
三敎大圓鏡 ~ 三敎는 大圓鏡(대원경)이나
文章只一能 ~ 文章은 다만 하나의 能力에 불과하지.
費工徒汗馬 ~ 努力을 해 본들 말을 땀나게 할 뿐이니
沙飯亦鏤氷 ~ 모래로 밥을 짓고 얼음에 글자를 새기는 일이라.
思量是鬼窟 ~ 생각이란 鬼神의 소굴이요
文字亦糟粕 ~ 文字 또한 찌꺼기일 뿐.
若問解何宗 ~ 나는 무엇을 根本으로 하느냐고 묻는다면
捧行如雨滴 ~ 받들어 행하기를 빗방울처럼 한다고 하지.
* 大圓鏡(대원경) : 부처가 가지는 네 가지 지혜의 하나. 큰 거울에 만물이 비치듯이 모든 진리의 모습을 보여 주는 지혜를 이른다.
1. 성소작지(成所作智) : 부처님이 깨달음의 경계를 보여주시는 자비광명에 의지함
2. 묘관찰지(妙觀察智) : 진여는 실체가 없으면서도 작용을 한다.(비유비무)
3. 평등성지(平等性智) : 진여는 일체중생의 본성이다.
4. 대원경지(大圓鏡智) : 내가 완전히 아미타가 되면 오롯이 일체를 비춘다.
옛 선각자들은 마음이란 것은 세상의 모든 것을 비춰 보는 지혜의 거울이라 하여 대원경(大圓鏡)이라고 했다.
(138) 贈眞禪和(증진선화) : 眞 스님에게
人間長役役 ~ 사람이 늘 熱心히 일하다 보면
不曾半日閑 ~ 반나절의 閑暇로움도 얻기 어렵네.
重吾師獨 ~ 珍重한 우리 스님은
經年不下山 ~ 한 해가 지나도록 山을 내려오지도 않네.
蓬蒿一隻箭 ~ 쑥으로 만든 화살 하나
曾自賣西東 ~ 東西南北으로 팔러 다니다가
歸去還來此 ~ 다시 여기로 돌아와
臥聽松竹風 ~ 누워서 솔바람 대바람 소리 듣누나.
(139) 集孤雲字(집고운자) : 孤雲 최치원의 글자를 모아
山中何事奇(산중하사기) : 산중에 어떤 기특한 일이 있는데
石上多松栢(석상다송백) : 돌 위에 소나무 잣나무가 무성하도다.
夷險不移心(이험불이심) : 순경에서도 역경에서도 마음은 변치 않고
四時靑一色(사시청일색) : 사철 한 빛으로 푸르다오.
※ 평역
우리 수행하는 무리에 어떤 기특한 일이 있냐면
어려운 환경에도 진리를 밝히겠다는 수행자들이 많다오.
세상사 우여곡절이 있어도 (자등명하겠다는) 마음은 변치 않고
사철 한결같이 고요하다오.
※ 의역
(140) 次順天倅雲江韻(차순천졸운강운) : 順天고을 員님의 雲江韻에 次하여
節迫黃花九月秋 ~ 九月의 가을은 黃菊의 季節이건만
有懷無日不悠悠 ~ 懷抱를 풀어 볼 날은 멀기 만하다.
曺溪松上如招鶴 ~ 曺溪寺 소나무에 鶴을 招待하고
智異浮雲亦共休 ~ 智異山 浮雲과도 함께 쉬어보리라.
산과바다 이계도
'禪詩 > 禪師들의 禪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의 禪詩(선시) (151)~(160) (0) | 2022.11.02 |
---|---|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의 禪詩(선시) (0) | 2022.11.02 |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의 禪詩(선시) (121)~(130) (0) | 2022.11.02 |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의 禪詩(선시) (111)~(120) (0) | 2022.11.02 |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의 禪詩(선시) (101)~(110) (0) | 2022.1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