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禪詩/禪師들의 禪詩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의 禪詩(선시) (151)~(160)

by 산산바다 2022. 11. 2.

산과바다

심우도 득우

禪師禪詩 HOME

선사의 선시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 (1520~1604)禪詩 (151)~(160)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 (1520~1604. 俗名崔汝信. 兒名 雲鶴.

本貫完山<全州>. 字 玄應, 淸虛. 法名 休靜. 平南 安州 出生.

壬辰倭亂 僧軍을 이끌고 平壤奪還作戰參加하여 을 세웠다.

妙香山에 오래 머물렀기 때문에 妙香山人 또는 西山大師<別號>로 불린다)

 

서산대사(西山大師)[1520~1604]의 본관은 완산(完山)이며 속명은 최여신(崔汝信), 자는 현응(玄應), 호는 청허(淸虛), 법명은 휴정(休靜)이다. 별호는 서산대사·백화도인(白華道人)·풍악산인(楓岳山人)·두류산인(頭流山人)·묘향산인(妙香山人)·조계퇴은(曹溪退隱)·병로(病老) 등이다. 임진왜란 때 전국에 승첩을 돌려 승군을 조직하고 왜군과 싸워 큰 공을 세웠다.

 

* 활동 사항

서산대사는 1520년(중종 20) 평안도 안주에서 태어났다. 9세 때 어머니가 죽고 이듬해 어머니마저 사망하자 안주목사 이사증(李思曾)을 따라 서울로 옮겨 성균관에서 3년 동안 글과 무예를 익혔다. 과거를 보았으나 뜻대로 되지 않아 친구들과 같이 지리산의 화엄동(華嚴洞)·칠불동(七佛洞) 등을 구경하면서 여러 사찰에 기거하던 중 영관대사(靈觀大師)의 설법을 듣고 불법(佛法)을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그곳에서 『화엄경(華嚴經)』·『원각경(圓覺經)』·『능엄경(楞嚴經)』·『유마경(維摩經)』·『반야경(般若經)』·『법화경(法華經)』 등을 읽으며 교리를 탐구하던 중 깨달은 바 있어 스스로 시를 짓고 삭발한 다음 숭인장로(崇仁長老)를 스승으로 모시고 출가하였다. 1540년 수계사(授戒師) 일선(一禪), 증계사(證戒師) 석희(釋熙)·육공(六空)·각원(覺圓), 전법사(傳法師) 영관을 모시고 계(戒)를 받았다. 그 뒤 영관으로부터 인가를 받고 각지를 떠돌며 수행에만 전념하다가 1549년(명종 4) 승과(僧科)에 급제하였고, 대선(大選)을 거쳐 선교양종판사(禪敎兩宗判事)가 되었다.

 

1556년 선교양종판사직이 승려의 본분이 아니라며 물러나 금강산·두륜산·태백산·오대산·묘향산 등을 다니며 수행하였으며, 후학을 지도하였다.

 

1589년(선조 22) 『정감록(鄭鑑錄)』의 미신에 의하여 정여립(鄭汝立)이 역모(逆謀)를 꾀한 사건이 일어났는데, 역모에 가담한 요승 무업(無業)이 휴정과 유정(惟政)이 자신과 함께 역모에 가담하였다고 주장하여 투옥되었다가 무죄 석방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는 평양을 거쳐 의주로 피난하였다. 이때 선조는 묘향산으로 사신을 보내 나라의 위급함을 알리고 서산대사를 불렀다. 이에 서산대사는 전국에 격문을 돌려서 각처의 승려들이 구국에 앞장서도록 하였다. 이에 제자 처영(處英)은 지리산에서 궐기하여 권율(權慄)의 휘하에 들었고, 유정은 금강산에서 1,000여 명의 승군을 모아 평양으로 왔다. 서산대사는 1,500명의 의승을 순안 법흥사(法興寺)에 집결시키고 승군을 통솔하였으며, 명나라 군사와 함께 평양을 탈환하였다. 이후 선조가 서울로 돌아오자 묘향산으로 돌아가 나라의 평안을 기원하였다.

 

서산대사는 1604년 1월 묘향산 원적암(圓寂庵)에서 설법을 마치고 자신의 영정(影幀)을 꺼내어 그 뒷면에 “80년 전에는 네가 나이더니 80년 후에는 내가 너로구나[八十年前渠是我 八十年後我是渠]”라는 시를 적어 유정과 처영에게 전하게 하고 가부좌하여 앉은 채로 입적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서산대사(西山大師) 

 

 

(151) 草堂(초당) : 초당

 

月沈西海黑 ~ 달 떨어지니 西쪽 바다 컴컴하고

雲盡北山高 ~ 구름 사라지니 이 높구나.

何處靑袍客 ~ 어디선가 푸른 도포 입은 사람

焚香讀楚騷 ~ 피우고 離騷經(이소경)을 읽는구나.

 

* 離騷經(이소경) : 屈原離騷(이소)는 장편 자서전체의 서정시로 모두 3732400여 자의 장편 시 이다.

 

 

 

(152) 草堂詠柏(초당영백) : 草堂에서 잣나무를 바라보며

 

月圓不逾望 ~ 달은 둥글어도 보름을 넘지 못하고

日中爲之傾 ~ 해는 正午가 되면 기울기 始作하네.

庭前柏樹子 ~ 뜰 앞에 잣나무만은

獨也四時靑 ~ 홀로 四時에 푸르렀다.

 

 

 

(153) 招白雲子(초백운자) : 흰 구름을 부르다

 

白雲子 白雲子 ~ 흰구름이여! 흰구름이여!

何年何日入靑山 ~ 어느 해 어느 날에 靑山에 들어왔는고?

雖言本是山中物 ~ 비록 本來山中의 것이라 하겠지만

恨逐淸風久不還 ~ 맑은 바람 따라가면 오래도록 돌아오지 않는 것을.

 

 

 

(154) 草屋(초옥) : 초가(草家)

 

草屋無三壁 ~ 草屋이라고는하나 三面이 없고

老僧眠竹床 ~ 老僧竹床에서 졸고 있다.

靑山一半濕 ~ 靑山은 이미 쯤 젖었는데

疎雨過殘陽 ~ 성긴 비만 夕陽을 비껴가누나.

 

 

 

(155) 秋夜(추야) : 가을밤에

 

雨霽驚新月 ~ 비 그치자 달이 불쑥

夜深魂更淸 ~ 밤이 깊을수록 정신은 말똥말똥

擁衾眠不得 ~ 이불을 덮어 봐도 잠 오지 않고

木葉送秋聲 ~ 나뭇잎만 쓸쓸히 가을소리를 내네.

 

 

 

(156) 春日詠(춘일영) : 봄날에 읊다

 

東風昨夜至 ~ 봄바람 불어오는 어제 밤에

病客來山中 ~ 든 나그네 山寺를 찾았네.

林鳥已新語 ~ 숲에는 새들이 재잘거리고

野花蘂欲紅 ~ 野生花는 이제 막 붉은 꽃 봉우리를 터뜨리네.

人間郭郞巧 ~ 人間郭郞(곽랑)의 꼭두각시 노름이요

世事浮雲空 ~ 世上事는 뜬구름 같은 것이네.

臨濟一聲喝 ~ 臨濟 禪師의 외치는 한 소리

直開千日聾 ~ 千 日 동안 먹었던 귀가 번쩍 열리네.

 

* 곽랑(郭郞) : 옛날 어릿광대의 이름. 그가 춤추는 것이 틀렸다고 포 노인(鮑老人)이 웃었는데, 포 노인을 등장시켜 춤을 추게 하니 오히려 곽랑만 못 하더라 함.

塵紛却是郭郞巧 世事盡隨胡蝶空(진분각시곽랑교 세사진수호접공) ; 어지러운 세상살이에는 포 노인보다 곽랑이 도리어 낫듯 남을 웃을 일 아니니, 세상 일 모두 장자莊子의 호접 꿈을 따라 비었더라.)<김시습金時習 무제3無題三首>

 

 

 

(157) 嘆世(탄세) : 世上을 탄식함

 

靑山人白髮 ~ 은 푸르건만 사람은 흰 머리가 되었으니

歲月如流星 ~ 歲月流星처럼 빠르도다.

浮生何處好 ~ 뜬구름 같은 人生 어딘들 좋은 곳이 있으랴

天地亦冥冥 ~ 世上이 아득하고 아득할 뿐이로다.

 

 

 

(158) 探密峯(탐밀봉) : 묘향산 탐밀봉

 

千山木落後(천산목락후) : 산마다 나뭇잎 떨어지니

四海月明時(사해월명시) : 온 세상 일시에 달이 밝네.

蒼蒼天一色(창창천일색) : 푸르고 푸른 하늘은 한 빛인데

安得辨華夷(안득변화이) : 어찌 중화(中華)니 오랑캐니 구분한단 말인가.

 

* 探密峯(탐밀봉) : 평안북도 묘향산 내향산지구 향산천 건너편에 있는 봉우리. 주차장 맞은편에 솟아 있다. 황주 용흥사람인 탐밀이란 중이 1028년에 묘향산에 들어와서 안심사라는 절을 처음으로 세웠는데, 그의 이름을 따서 탐밀봉이라 하였다.

 

 

 

(159) 夏日(하일) : 여름날에

 

炎蒸天下日 ~ 世上이 푹푹 찌는 날

獨坐白雲臺 ~ 홀로 흰 구름 나는 에 앉았네.

淸風會人意 ~ 맑은 바람이 사람 마음을 알고서

竹林深處來 ~ 대숲 깊은 곳에서 불어오네.

 

 

 

(160) 惠訔禪子(혜은선자) : 혜은 禪子에게

 

菊花將解笑 ~ 菊花는 이제 막 웃으려 하는데

頭髮不禁秋 ~ 머리카락은 白髮이 되었구나.

行陰那可記 ~ 흐르는 歲月 어찌 다 記錄하랴만

揮筆寫新愁 ~ 붓을 휘둘러 새로 생긴 시름을 써 보노라.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