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선사의 선시
韓龍雲(한용운) (1879~1944)의 禪詩 (61)~(70)
● 韓龍雲(한용운) (1879~1944. 忠南 洪城 出生. 僧侶. 詩人. 獨立運動家.
本 淸州. 俗名 裕天. 法名 龍雲. 法號 卍海 /萬海)
우리나라의 승려ㆍ시인ㆍ독립운동가(1879~1944). 속명은 정옥(貞玉)이고 아명은 유천(裕天)이며 법호는 만해(萬海)이다. 용운은 법명(法名)이다. 3ㆍ1 독립 선언에 민족 대표로 참가하여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에도 앞장섰다. 민족의 현실과 이상에 대해 노래한 <님의 침묵>으로 저항 문학에도 앞장섰다. 저서로 《조선 불교 유신론》과 시집 《님의 침묵》 등이 있다.
본관 청주(淸州), 호 만해(萬海·卍海), 속명 유천(裕天), 자 정옥(貞玉), 계명 봉완(奉玩)이다. 1879년 8월 29일 충청남도 홍성(洪城)에서 출생하였다. 서당에서 한학을 배우다가 동학농민운동에 가담했으나 실패하자 1896년(건양 1) 설악산 오세암(五歲庵)에 들어갔다. 그 뒤 1905년(광무 9) 인제의 백담사(百潭寺)에 가서 연곡(連谷)을 스승으로 승려가 되고 만화(萬化)에게서 법을 받았다.
1908년(융희 2) 전국 사찰대표 52인의 한 사람으로 원흥사(元興寺)에서 원종종무원(圓宗宗務院)을 설립한 뒤 일본으로 건너가 신문명을 시찰했다. 1910년 국권이 피탈되자 중국에 가서 독립군 군관학교를 방문, 이를 격려하고 만주·시베리아 등지를 방랑하다가 1913년 귀국, 불교학원에서 교편을 잡았다. 이해 범어사에 들어가 《불교대전(佛敎大典)》을 저술, 대승불교의 반야사상(般若思想)에 입각하여 종래의 무능한 불교를 개혁하고 불교의 현실참여를 주장하였다.
1918년 서울 계동(桂洞)에서 월간지 《유심(惟心)》을 발간, 1919년 3·1운동 때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서 독립선언서에 서명, 체포되어 3년형을 선고받고 복역했다. 1926년 시집 《님의 침묵(沈默)》을 출판하여 저항문학에 앞장섰고, 이듬해 신간회(新幹會)에 가입하여, 이듬해 중앙집행위원이 되어 경성지회장(京城支會長)의 일을 맡았다.
1931년 조선불교청년회를 조선불교청년동맹으로 개칭, 불교를 통한 청년운동을 강화하고 이해 월간지 《불교(佛敎)》를 인수, 이후 많은 논문을 발표하여 불교의 대중화와 독립사상 고취에 힘썼다. 1935년 첫 장편소설 《흑풍(黑風)》을 《조선일보》에 연재하였고, 1937년 불교관계 항일단체인 만당사건(卍黨事件)의 배후자로 검거되었다. 그 후에도 불교의 혁신과 작품 활동을 계속하다가 서울 성북동(城北洞)에서 중풍으로 별세하였다.
시에 있어 퇴폐적인 서정성을 배격하고 불교적인 ‘님’을 자연(自然)으로 형상화했으며, 고도의 은유법을 구사하여 일제에 저항하는 민족정신과 불교에 의한 중생제도(衆生濟度)를 노래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大韓民國章)이 추서되었다.
작품으로는 상기 장편 외에 장편소설인 《박명(薄命)》이 있고, 저서로는 시집 《님의 침묵》을 비롯하여 《조선불교유신론(朝鮮佛敎維新論)》 《십현담주해(十玄談註解)》 《불교대전》 《불교와 고려제왕(高麗諸王)》 등이 있다. 1973년 《한용운전집》(6권)이 간행되었다.
(61) 歲寒衣不到戲作(세한의불도희작) : 추운 겨울에 옷이 오지 않아
歲新無舊着 ~ 해는 바뀌어도 옷은 안 오니
自覺一身多 ~ 몸 하나도 주체하기 어려운 줄 비로서 알았네.
少人知此意 ~ 이런 마음 아는 이 많지 않거니
范叔近如何 ~ 近來는 요사이 그 어떠한지.
(62) 述懷(술회) : 懷抱 마음에 품은 생각
心如疎屋不關扉 ~ 마음이 빗장 없는 집과 같아서
萬事曾無入微妙 ~ 미묘한 무엇 하나 없어라.
千里今宵無一夢 ~ 千 里에 한 오라기 꿈도 없는 밤
月明秋樹夜紛飛 ~ 밝은 달빛 아래 가을 落葉만 우수수 지네.
(63) 新聞廢刊(신문폐간) : 조선일보의 폐간에 즈음하여 지은 시
筆絶墨飛白日休 ~ 붓이 꺾이어 모든 일 끝나니
銜枚人散古城秋 ~ 이제는 재갈 물린 사람들 뿔뿔이 흩어지네.
漢江之水亦鳴咽 ~ 漢江의 물도 亦是 울음 삼키고
不入硯池向海流 ~ 硯池(연지)를 外面한 채 바다 向해 흐르느니.
(64) 新晴(신청) : 비 그치고 새로 갬
禽聲隔夢冷 ~ 새 소리 꿈 저쪽에 차고
花氣入禪無 ~ 꽃 내음은 禪에 들어와 스러진다.
禪夢復相忘 ~ 禪과 꿈 다시 잊은 곳
窓前一碧梧 ~ 窓 앞의 한 그루 碧梧桐나무.
(65) 雙溪樓(쌍계루) : 白羊寺 쌍계루
一樓絶俗似高僧 ~ 이 樓閣 俗氣 없어 高僧 같으니
欲致定非力以能 ~ 이루련들 人力으론 될 바 아니네.
鶴未歸天香已下 ~ 鶴은 아직 안 날아도 香은 이미 풍겨 오고
人今爲客秋先增 ~ 내 이제 나그네 되니 가을이 먼저 깊어가네.
懸崖如雨楓林急 ~ 빗방울인 양 벼랑에 매달린 楓林 危殆로운데
穿樹無雲澗水澄 ~ 나무에 걸린 구름 없음에 산골 물은 맑네.
海內弟兄吾亦有 ~ 나라 안에 兄弟들 나도 많거니
大期他日盡歡登 ~ 이다음 모두 함께 올 생각일세.
(66) 安海州(안해주) : 안중근 의사를 기림
* 安重根 義士의 이토히로부미(いとう ひろぶみ 伊藤博文) 射殺事件을 듣고 바로 이 漢詩를 남김.
萬斛熱血十斗膽 ~ 萬 가마니의 뜨거운 피와 한 섬의 膽力으로
淬盡一劍霜有韜 ~ 한 칼을 달궈 내니 서릿발이 감췄구나.
霹靂忽破夜寂寞 ~ 淸天霹靂(청천벽력)이 밤의 寂寞을 깨뜨리니
鐵花亂飛秋色高 ~ 무쇠 꽃 어지러이 날려 가을빛 드높다.
* 淬(담글 쉬)
(67) 野行(야행) 1 : 들길을 걸으며
匹馬蕭蕭渡夕陽 ~ 쓸쓸히 말 몰아 夕陽을 지나니
江堤楊柳變新黃 ~ 江 언덕 버드나무 샛노랗게 물들었다.
回頭不見關山路 ~ 머리 돌려도 故國 길은 아니 보이고
萬里秋風憶故鄕 ~ 萬 里라 가을바람에 故鄕 생각뿐이로다.
(68) 野行(야행) 2 : 들길을 걸으며
尋趣偶過古渡頭 ~ 우연히 만나 옛 나루터 지나니
盈盈一水小魚遊 ~ 가득 찬 물속에 어린 고기 놀고
汀雲已逐西風去 ~ 구름은 西風 쫓아 떠나는데
獨立斜陽見素秋 ~ 夕陽에 홀로 서서 가을을 본다.
(69) 藥師庵途中(약사암도중) : 藥師庵 가는 길
十里猶堪半日行 ~ 十 里에서 오히려 반나절의 걸음 견뎌 내니
白雲有路何幽長 ~ 흰 구름에 길이 어찌 이리 먼가?
緣溪轉入水窮處 ~ 시내 따라 점점 물길이 끊겼으니
深樹無花山自香 ~ 깊은 나무 꽃 없이 山은 절로 香氣로워.
(70) 養眞庵(양진암) : 桐華寺의 양진암
深深別有地 ~ 깊디깊은 別有天地
寂寂若無家 ~ 고요하여 집도 없는 듯.
花落人如夢 ~ 꽃 지는 것이 사람의 꿈과 같아
古鍾白日斜 ~ 오래된 鐘에 夕陽이 기우네.
* 萬海 한용운(韓龍雲)선생 생가지(08. 2. 24)
* 한용운(韓龍雲) 생가지에 가보다(2012. 12.)
산과바다 이계도
'禪詩 > 禪師들의 禪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韓龍雲(한용운)의 禪詩(선시) (81)~(90) (0) | 2022.11.07 |
---|---|
韓龍雲(한용운)의 禪詩(선시) (71)~(80) (0) | 2022.11.07 |
韓龍雲(한용운)의 禪詩(선시) (51)~(60) (0) | 2022.11.07 |
韓龍雲(한용운)의 禪詩(선시) (41)~(50) (0) | 2022.11.07 |
韓龍雲(한용운)의 禪詩(선시) (31)~(40) (0) | 2022.1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