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선사의 선시
韓龍雲(한용운) (1879~1944)의 禪詩 (71)~(80)
● 韓龍雲(한용운) (1879~1944. 忠南 洪城 出生. 僧侶. 詩人. 獨立運動家.
本 淸州. 俗名 裕天. 法名 龍雲. 法號 卍海 /萬海)
우리나라의 승려ㆍ시인ㆍ독립운동가(1879~1944). 속명은 정옥(貞玉)이고 아명은 유천(裕天)이며 법호는 만해(萬海)이다. 용운은 법명(法名)이다. 3ㆍ1 독립 선언에 민족 대표로 참가하여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에도 앞장섰다. 민족의 현실과 이상에 대해 노래한 <님의 침묵>으로 저항 문학에도 앞장섰다. 저서로 《조선 불교 유신론》과 시집 《님의 침묵》 등이 있다.
본관 청주(淸州), 호 만해(萬海·卍海), 속명 유천(裕天), 자 정옥(貞玉), 계명 봉완(奉玩)이다. 1879년 8월 29일 충청남도 홍성(洪城)에서 출생하였다. 서당에서 한학을 배우다가 동학농민운동에 가담했으나 실패하자 1896년(건양 1) 설악산 오세암(五歲庵)에 들어갔다. 그 뒤 1905년(광무 9) 인제의 백담사(百潭寺)에 가서 연곡(連谷)을 스승으로 승려가 되고 만화(萬化)에게서 법을 받았다.
1908년(융희 2) 전국 사찰대표 52인의 한 사람으로 원흥사(元興寺)에서 원종종무원(圓宗宗務院)을 설립한 뒤 일본으로 건너가 신문명을 시찰했다. 1910년 국권이 피탈되자 중국에 가서 독립군 군관학교를 방문, 이를 격려하고 만주·시베리아 등지를 방랑하다가 1913년 귀국, 불교학원에서 교편을 잡았다. 이해 범어사에 들어가 《불교대전(佛敎大典)》을 저술, 대승불교의 반야사상(般若思想)에 입각하여 종래의 무능한 불교를 개혁하고 불교의 현실참여를 주장하였다.
1918년 서울 계동(桂洞)에서 월간지 《유심(惟心)》을 발간, 1919년 3·1운동 때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서 독립선언서에 서명, 체포되어 3년형을 선고받고 복역했다. 1926년 시집 《님의 침묵(沈默)》을 출판하여 저항문학에 앞장섰고, 이듬해 신간회(新幹會)에 가입하여, 이듬해 중앙집행위원이 되어 경성지회장(京城支會長)의 일을 맡았다.
1931년 조선불교청년회를 조선불교청년동맹으로 개칭, 불교를 통한 청년운동을 강화하고 이해 월간지 《불교(佛敎)》를 인수, 이후 많은 논문을 발표하여 불교의 대중화와 독립사상 고취에 힘썼다. 1935년 첫 장편소설 《흑풍(黑風)》을 《조선일보》에 연재하였고, 1937년 불교관계 항일단체인 만당사건(卍黨事件)의 배후자로 검거되었다. 그 후에도 불교의 혁신과 작품 활동을 계속하다가 서울 성북동(城北洞)에서 중풍으로 별세하였다.
시에 있어 퇴폐적인 서정성을 배격하고 불교적인 ‘님’을 자연(自然)으로 형상화했으며, 고도의 은유법을 구사하여 일제에 저항하는 민족정신과 불교에 의한 중생제도(衆生濟度)를 노래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大韓民國章)이 추서되었다.
작품으로는 상기 장편 외에 장편소설인 《박명(薄命)》이 있고, 저서로는 시집 《님의 침묵》을 비롯하여 《조선불교유신론(朝鮮佛敎維新論)》 《십현담주해(十玄談註解)》 《불교대전》 《불교와 고려제왕(高麗諸王)》 등이 있다. 1973년 《한용운전집》(6권)이 간행되었다.
(71) 養眞庵臨發贈鶴鳴禪伯(양진암임발증학명선백) : 양진암에서 떠나며 학명스님에게
世外天堂少 ~ 이 世上 밖에 天堂은 없고
人間地獄多 ~ 人間에게는 地獄이 많다.
佇立竿頭勢 ~ 百尺竿頭(백척간두)에 우두커니 서
不進一步何 ~ 왜 한 걸음 내딛지 않는가.
臨事多艱劇 ~ 일에는 어려움 많고
逢人足別離 ~ 사람은 만남 뒤엔 離別뿐.
世道固如此 ~ 本來 世上 일은 이와 같거니
男兒任所之 ~ 男兒라면 얽매임 없이 뜻대로 살아야지.
* 백척간두(百尺竿頭) : 백 자나 되는 높은 장대 위에 올라섰다는 뜻으로, 매우 위태롭고 어려운 지경을 이르는 말.
(72) 漁笛(어적) : 어부의 피리 소리
孤帆風烟一竹秋 ~ 외로운 돛단배에 안개낀 가을날
數聲暗逐荻花流 ~ 은근한 노랫소리 갈대꽃 따라 흐르네.
晩江落照隔樹落 ~ 낙조 비친 江물엔 단풍빛 붉게 물들고
半世知音問白鷗 ~ 半平生 내 노래는 白鷗가 알랴.
韻絶何堪遯世夢 ~ 기막힌 가락에 遯世(둔세)의 꿈 못 버리고
曲終虛負斷腸愁 ~ 노래가 끝이 나도 애끓는 시름 견디지 못하네.
飄掩律呂撲人冷 ~ 떠도는 그 가락 내 가슴에 서늘하여
滿地蕭蕭散不收 ~ 天地에 차오른 쓸쓸함 거둘길 없네.
* 둔세(遯世) : 세상을 피해 佛門에 들어감
(73) 與錦峯伯夜唫(여금봉백야금) : 錦峯 禪師를 만나 달 밝은 밤에 읊었던 시
詩酒相逢天一方 ~ 詩와 술이 하늘 한 모퉁이에 만나
蕭蕭夜色思何長 ~ 소슬한 밤 모습에 생각은 길다.
黃花明月若無夢 ~ 국화와 밝은 달은 꿈도 없는 듯
古寺荒秋亦故鄕 ~ 옛 절 거친 가을이 바로 故鄕일세.
(74) 與映湖錦峯兩伯作(在宗務院) 여영호금봉양백작(재종무원) : 영호(映湖) 금봉(錦峯) 두 禪師와 시를 짓다.(종무원에서)
昔年事事不勝疎 ~ 지난날 일마다 소홀했노니
萬劫寥寥一夢餘 ~ 만겁인들 한바탕 꿈이 아니랴.
不見江南春色早 ~ 江南의 이른 봄빛 아니 보고
東城風雪臥看書 ~ 城東의 눈바람 속에 누워 冊을 읽는다.
(75) 與映湖乳雲兩伯夜唫(여영호유운양백야금) : 밤에 영호(映湖) 유운(乳雲) 두 스님과 함께
落拓吾人皆古情 ~ 모이니 不遇한 옛 벗들인데
山房夜闌小遊淸 ~ 조촐히 노니는 山中의 밤도 깊었다.
紅燭無言灰已冷 ~ 말없이 타는 촛불의 눈물도 식고
詩愁如夢隔鍾聲 ~ 꿈같이 번지는 詩愁(시수)의 먼 鐘소리.
中宵文氣通虹橋 ~ 무지개는 밤중에 興趣를 돋우어
筆下成詩猶敢驕 ~ 붓 놓아 成詩함이 어찌 교만이리.
只許三春如一日 ~ 오직 三春은 하루와 같이
別區烟月復招招 ~ 좋은 風景 시켜서 손짓해 부르네.
* 삼촌(三春) : ① 봄의 석 달. 곧, 맹춘(孟春)·중춘(仲春)·계춘(季春). ② 세 해의 봄.
(76) 與映湖和尙訪乳雲和尙乘夜同歸(여영호화상방유운화상승야동귀) : 영호 화상과 함께 유운 화상을 찾아갔다가 밤길을 같이 돌아옴
相見甚相愛 ~ 만나니 우리들의 뜻이 맞아
無端到夜來 ~ 밤이 깊어가는 줄 몰랐네.
等閑雪裡語 ~ 한가히 눈길에서 주고받은 말
如水照靈臺 ~ 물과 같이 두 마음에 서로 비치네.
(77) 旅懷(여회) : 客懷 객지에서 느끼는 외롭고 쓸쓸한 심정
竟歲未歸家 ~ 한 해가 다 가도록 돌아가지 못한 몸은
逢春爲遠客 ~ 봄이 되자 다시 먼 곳을 떠돈다.
看花不可空 ~ 꽃을 보고 無心하지는 못해
山下奇幽跡 ~ 좋은 곳 있으면 들러서 가곤 한다.
(78) 榮山浦舟中(영산포주중) : 영산포의 배 안에서
漁笛一江月 ~ 漁夫의 피리 소리에 강과 달이 하나 되고
酒燈兩岸秋 ~ 酒幕집 등불은 두 언덕 가을빛에 어리네.
孤帆天似水 ~ 돛배는 외로워 하늘도 물 같은데
人逐荻花流 ~ 사람 따라 갈꽃 따라 흘러만 가네.
(79) 咏雁(영안) : 기러기
(獄中詩)
一雁秋聲遠 ~ 외기러기 슬픈 울음 멀리 들리고
數星夜色多 ~ 無數한 별들이 밤을 밝힌다.
燈深猶未宿 ~ 등불 사위어 가고 잠도 안 오는데
獄吏問歸家 ~ 언제 풀리느냐고 獄吏가 묻는다.
天涯一雁叫 ~ 아득한 하늘가에 외기러기 울고
滿獄秋聲長 ~ 獄에 가득 가을 소리 길기만 하다.
道破蘆月外 ~ 갈대가 쓰러지는 길 저 밖의 달이여
有何圓舌相 ~ 어찌하여 너는 둥근 쇠몽치 혀를 내미느냐.
(80) 咏閑(영한) : 한가함
窮山寄幽夢 ~ 깊은 山속에서 그윽한 꿈을 꾸면서
危屋絶遠想 ~ 벼랑 끝 庵子에서 깊은 想念 끊는다.
寒雲生碧澗 ~ 차가운 안개구름 푸른빛 도는 시내에서 일고
纖月度蒼岡 ~ 초승달은 푸른 언덕을 넘는다.
曠然還自失 ~ 아스라이 脈놓고 있다 돌아보면
一身各相忘 ~ 문득 이 한 몸마저 잊어버린다.
* 아스라이 : 까마득하게 멀거나 아슬아슬하도록 높게
* 萬海 한용운(韓龍雲)선생 생가지(08. 2. 24)
* 한용운(韓龍雲) 생가지에 가보다(2012. 12.)
산과바다 이계도
'禪詩 > 禪師들의 禪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韓龍雲(한용운)의 禪詩(선시) (91)~(100) (0) | 2022.11.07 |
---|---|
韓龍雲(한용운)의 禪詩(선시) (81)~(90) (0) | 2022.11.07 |
韓龍雲(한용운)의 禪詩(선시) (61)~(70) (0) | 2022.11.07 |
韓龍雲(한용운)의 禪詩(선시) (51)~(60) (0) | 2022.11.07 |
韓龍雲(한용운)의 禪詩(선시) (41)~(50) (0) | 2022.1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