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禪詩/禪師들의 禪詩

韓龍雲(한용운)의 禪詩(선시) (81)~(90)

by 산산바다 2022. 11. 7.

산과바다

만해 문학 체험관 (홍성 생가지)

 

禪師禪詩 HOME

선사의 선시 

 

 

 

                    韓龍雲(한용운) (1879~1944)禪詩 (81)~(90)

 

 

韓龍雲(한용운) (1879~1944. 忠南 洪城 出生. 僧侶. 詩人. 獨立運動家.

本 淸州. 俗名 裕天. 法名 龍雲. 法號 卍海 /萬海)

 

우리나라의 승려시인독립운동가(1879~1944). 속명은 정옥(貞玉)이고 아명은 유천(裕天)이며 법호는 만해(萬海)이다용운은 법명(法名)이다31 독립 선언에 민족 대표로 참가하여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에도 앞장섰다민족의 현실과 이상에 대해 노래한 <님의 침묵>으로 저항 문학에도 앞장섰다저서로 조선 불교 유신론 시집 님의 침묵 등이 있다.

 

본관 청주(淸州), 호 만해(萬海·卍海), 속명 유천(裕天), 자 정옥(貞玉), 계명 봉완(奉玩)이다. 1879년 8월 29일 충청남도 홍성(洪城)에서 출생하였다. 서당에서 한학을 배우다가 동학농민운동에 가담했으나 실패하자 1896년(건양 1) 설악산 오세암(五歲庵)에 들어갔다. 그 뒤 1905년(광무 9) 인제의 백담사(百潭寺)에 가서 연곡(連谷)을 스승으로 승려가 되고 만화(萬化)에게서 법을 받았다.

1908년(융희 2) 전국 사찰대표 52인의 한 사람으로 원흥사(元興寺)에서 원종종무원(圓宗宗務院)을 설립한 뒤 일본으로 건너가 신문명을 시찰했다. 1910년 국권이 피탈되자 중국에 가서 독립군 군관학교를 방문, 이를 격려하고 만주·시베리아 등지를 방랑하다가 1913년 귀국, 불교학원에서 교편을 잡았다. 이해 범어사에 들어가 《불교대전(佛敎大典)》을 저술, 대승불교의 반야사상(般若思想)에 입각하여 종래의 무능한 불교를 개혁하고 불교의 현실참여를 주장하였다.

1918년 서울 계동(桂洞)에서 월간지 《유심(惟心)》을 발간, 1919년 3·1운동 때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서 독립선언서에 서명, 체포되어 3년형을 선고받고 복역했다. 1926년 시집 《님의 침묵(沈默)》을 출판하여 저항문학에 앞장섰고, 이듬해 신간회(新幹會)에 가입하여, 이듬해 중앙집행위원이 되어 경성지회장(京城支會長)의 일을 맡았다.

1931년 조선불교청년회를 조선불교청년동맹으로 개칭, 불교를 통한 청년운동을 강화하고 이해 월간지 《불교(佛敎)》를 인수, 이후 많은 논문을 발표하여 불교의 대중화와 독립사상 고취에 힘썼다. 1935년 첫 장편소설 《흑풍(黑風)》을 《조선일보》에 연재하였고, 1937년 불교관계 항일단체인 만당사건(卍黨事件)의 배후자로 검거되었다. 그 후에도 불교의 혁신과 작품 활동을 계속하다가 서울 성북동(城北洞)에서 중풍으로 별세하였다.

 

시에 있어 퇴폐적인 서정성을 배격하고 불교적인 ‘님’을 자연(自然)으로 형상화했으며, 고도의 은유법을 구사하여 일제에 저항하는 민족정신과 불교에 의한 중생제도(衆生濟度)를 노래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大韓民國章)이 추서되었다.

작품으로는 상기 장편 외에 장편소설인 《박명(薄命)》이 있고, 저서로는 시집 《님의 침묵》을 비롯하여 《조선불교유신론(朝鮮佛敎維新論)》 《십현담주해(十玄談註解)》 《불교대전》 《불교와 고려제왕(高麗諸王)》 등이 있다. 1973년 《한용운전집》(6권)이 간행되었다.

* 한용운-한국현대문학

 

 

 

(81) 悟道頌(오도송) : 의심이 씻은 듯 풀리다

 

男兒到處是故鄕 : 사나이 이르는 곳 어디나 고향인데

幾人長在客愁中 : 몇몇이나 오랫동안 나그네로 지냈는가.

聲喝破三千界 : 한 소리 크게 외쳐 우주를 갈파하니

雪裡桃花偏偏紅 : 눈 속의 복사꽃도 빨갛게 나부끼네.

 

 

* 만해는 1905126일에 백담사에서 연곡화상으로부터 게를 받고 정식으로 불문에 입도했다. 처음 출가 삭발하면 사미승이 되는 것이 원칙이었지만 만해는 나이가 든 데다 이미 경전을 섭렵하여 쌓은 지식이 많았으므로 대번에 250 비구계를 받았다. 그 뒤 만해는 외금강 신계사(神溪寺)로 당대의 고승 서진하(徐震河) 대사를 찾아가 교학의 가르침을 받고 돌아와 오세암(五歲庵)에 머물며 구법 수행에 용맹정진한 결과 어느 날 선정(禪定) 끝에 마침내 대오 대각하여 이런悟道頌을 남기게 되었다.

 

만해가 깨우침을 얻은 오세암은 백담사에서 영시암과 만경대를 거쳐 약 10거리인 마등령을 오르면 나타난다. 본래 오세암은 자장율사가 선방(禪房)을 짓고 머무르며 관음보살을 친견하려고 기도하던 곳이라 하여 처음에는 관음암이라고 불렀는데 언제 누가 먼저 오세암이라고 개칭했는지 정확한 기록이 없다. 그러나 오세암은신동 五世로 이름 떨쳤던 설잠선사(雪岑禪師)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時習)이 한때 은거하던 곳이고, 뒷날은 만해(萬海)가 머물며 참선 수행하던 뜻깊은 역사적 고찰로서 세상에 더욱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82) 獄中感懷(옥중감회) : 옥중의 감회

 

一念但覺淨無塵 ~ 한 생각에 다만 티끌 없는 淸淨함 깨달으니

鐵窓明月自生新 ~ 쇠창살에도 밝은 달은 저절로 새롭구나.

憂樂本空唯心在 ~ 근심 즐거움 本來 空한것, 오직 마음만 있어

釋迦原來尋常人 ~ 釋迦牟尼原來普通 사람이었다.

 

 

 

(83) 玩月(완월) : 달구경하며 즐김

 

空山多月色 ~ 에 달빛이 흘러넘치고

孤往極淸遊 ~ 홀로 거닐며 마음껏 노니는 이 밤.

情緖爲誰遠 ~ 누구에게 멀리 달려가는 마음인가

夜深杳不收 ~ 밤은 깊어 가는데 을 걷잡을 수 없네.

 

 

 

(84) 又古人梅題下不作五古余有好奇心試唫(우고인매제하불작오고여유호기심시금) : <梅花禮讚> 또 옛사람들이 매화를 두고 5언 시를 쓴 일이 없기에 호기심으로 시험 삼아 읊어본다.

 

梅花何處在 ~ 梅花꽃 있는 곳이 어디 이던가

雪裡多江村 ~ 눈 덮인 江村일세.

今生寒氷骨 ~ 今生에 얼음 같은 風骨

前身白玉魂 ~ 前生白玉의 넋 아니었을까.

形容晝亦奇 ~ 그 모습 낮에도 奇異하고

精神夜不昏 ~ 밤이라 그 精神 밝기만 하네.

長風散鐵笛 ~ 바람은 피리소리 멀리 흩트리고

暖日入禪園 ~ 따스한 해는 禪房에 드네.

三春詩句冷 ~ 봄 석 달 詩句는 차갑고

遙夜酒盃溫 ~ 밤새워 따사로운 술잔 비우네.

白何帶夜月 ~ 하얀 그 모습 달빛 더불고

紅堪對朝暾 ~ 붉은 姿態 아침 햇살 보는 듯.

幽人抱孤賞 ~ 숨어 살아 외로이 칭찬하노니

耐寒不掩門 ~ 차다고 너를 두고 을 닫으랴.

江南事蒼黃 ~ 江南의 일 뒤숭숭하다고

莫向梅友言 ~ 梅花에겐 함부로 말하지 말라.

人間知己少 ~ 人間事知己는 흔치 않은 것

相對倒深尊 ~ 너를 바라 깊이 하리.

 

 

 

(85) 雨中獨唫(우중독금) : 빗속에 홀로 노래하다.

 

海國多風雨 ~ 섬나라(日本) 비바람 흔해서

高堂五月寒 ~ 높다란 이 집은 五月에도 춥다.

有心萬里客 ~ 木石도 아닌 萬 里의 나그네

無語對靑巒 ~ 말없이 푸른 을 마주한다.

 

 

 

(86) 雲水(운수) : 떠돌이 중 (修行僧)

 

白雲斷似衲 ~ 흰 구름은 끊어져 法衣와 같고

綠水矮於弓 ~ 푸른 물은 활보다도 더욱 짧아라.

此外一何去 ~ 이곳 떠나 어디로 자꾸만 가나

悠然看不窮 ~ 아득히 그 無窮함 바라보리라.

 

 

 

(87) 遠思(원사) : 멀리 생각함

 

南國黃花北地雁 ~ 菊花 핀 남녘과 북쪽 기러기

居然今日但空情 ~ 오늘은 앉아서 괜히 생각나네.

雪後江山多月色 ~ 눈 그치면 그 江山엔 달빛이 곱고

風前草木盡鍾聲 ~ 바람에 草木들은 쇠북인 양 울리.

塞外夢飛千里野 ~ 國境 千 里 벌에 꿈은 달려도

天涯身臥一雲亭 ~ 하늘 끝 정자 속에 누운 몸이여!

歷瘦經寒人似竹 ~ 야위고 추위 겪어 대와 같거니

此心元不到功名 ~ 내 마음 功名에야 元來 먼 것을.

 

 

 

(88) 月方中(월방중) : 달이 한가운데 올라

 

萬國皆同觀 ~ 萬國이 다 함께 달을 쳐다보고

千人各自遊 ~ 모든 사람들 각기 즐기며 노네.

皇皇不可取 ~ 빛나고 빛나 가질 수 없고

迢迢那堪收 ~ 아득하고 아득해 거둘 수 없네.

 

 

 

(89) 月欲落(월욕락) : 달이 지려할 때

 

松下蒼煙歇 ~ 소나무 밑 푸른 안개 스러지고

鶴邊淸夢遊 ~ 의 주변엔 맑은 꿈이 노닌다.

山橫鼓角罷 ~ 비스듬히 이 비껴 피리소리 끊기고

寒色盡情收 ~ 찬 달빛 걷히니 이토록 아쉬운걸.

 

 

 

(90) 月欲生(월욕생) : 달이 돋으려할 때

 

衆星方奪照 ~ 뭇 별이 막 빛을 빼앗기니

百鬼皆停遊 ~ 온갖 귀신도 놀이를 멈추다.

夜色漸墜地 ~ 夜景이 점점 땅에 떨어지니

千林各自收 ~ 모든 숲은 제각기 거둬들이네.

 

한용운 모음(06. 9. 1)

萬海 한용운(韓龍雲)선생 생가지(08. 2. 24)

* 한용운(韓龍雲) 생가지에 가보다(2012. 12.)

* 한용운 생가지에 가보다 (14. 12.14.)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