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禪詩/禪師들의 禪詩

韓龍雲(한용운)의 禪詩(선시) (101)~(110)

by 산산바다 2022. 11. 7.

산과바다

韓龍雲(한용운) 생가 벽

禪師禪詩 HOME

선사의 선시 

 

 

 

                  韓龍雲(한용운) (1879~1944)禪詩 (101)~(110)

 

 

韓龍雲(한용운) (1879~1944. 忠南 洪城 出生. 僧侶. 詩人. 獨立運動家.

本 淸州. 俗名 裕天. 法名 龍雲. 法號 卍海 /萬海)

 

우리나라의 승려시인독립운동가(1879~1944). 속명은 정옥(貞玉)이고 아명은 유천(裕天)이며 법호는 만해(萬海)이다용운은 법명(法名)이다31 독립 선언에 민족 대표로 참가하여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에도 앞장섰다민족의 현실과 이상에 대해 노래한 <님의 침묵>으로 저항 문학에도 앞장섰다저서로 조선 불교 유신론 시집 님의 침묵 등이 있다.

 

본관 청주(淸州), 호 만해(萬海·卍海), 속명 유천(裕天), 자 정옥(貞玉), 계명 봉완(奉玩)이다. 1879년 8월 29일 충청남도 홍성(洪城)에서 출생하였다. 서당에서 한학을 배우다가 동학농민운동에 가담했으나 실패하자 1896년(건양 1) 설악산 오세암(五歲庵)에 들어갔다. 그 뒤 1905년(광무 9) 인제의 백담사(百潭寺)에 가서 연곡(連谷)을 스승으로 승려가 되고 만화(萬化)에게서 법을 받았다.

1908년(융희 2) 전국 사찰대표 52인의 한 사람으로 원흥사(元興寺)에서 원종종무원(圓宗宗務院)을 설립한 뒤 일본으로 건너가 신문명을 시찰했다. 1910년 국권이 피탈되자 중국에 가서 독립군 군관학교를 방문, 이를 격려하고 만주·시베리아 등지를 방랑하다가 1913년 귀국, 불교학원에서 교편을 잡았다. 이해 범어사에 들어가 《불교대전(佛敎大典)》을 저술, 대승불교의 반야사상(般若思想)에 입각하여 종래의 무능한 불교를 개혁하고 불교의 현실참여를 주장하였다.

1918년 서울 계동(桂洞)에서 월간지 《유심(惟心)》을 발간, 1919년 3·1운동 때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서 독립선언서에 서명, 체포되어 3년형을 선고받고 복역했다. 1926년 시집 《님의 침묵(沈默)》을 출판하여 저항문학에 앞장섰고, 이듬해 신간회(新幹會)에 가입하여, 이듬해 중앙집행위원이 되어 경성지회장(京城支會長)의 일을 맡았다.

1931년 조선불교청년회를 조선불교청년동맹으로 개칭, 불교를 통한 청년운동을 강화하고 이해 월간지 《불교(佛敎)》를 인수, 이후 많은 논문을 발표하여 불교의 대중화와 독립사상 고취에 힘썼다. 1935년 첫 장편소설 《흑풍(黑風)》을 《조선일보》에 연재하였고, 1937년 불교관계 항일단체인 만당사건(卍黨事件)의 배후자로 검거되었다. 그 후에도 불교의 혁신과 작품 활동을 계속하다가 서울 성북동(城北洞)에서 중풍으로 별세하였다.

 

시에 있어 퇴폐적인 서정성을 배격하고 불교적인 ‘님’을 자연(自然)으로 형상화했으며, 고도의 은유법을 구사하여 일제에 저항하는 민족정신과 불교에 의한 중생제도(衆生濟度)를 노래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大韓民國章)이 추서되었다.

작품으로는 상기 장편 외에 장편소설인 《박명(薄命)》이 있고, 저서로는 시집 《님의 침묵》을 비롯하여 《조선불교유신론(朝鮮佛敎維新論)》 《십현담주해(十玄談註解)》 《불교대전》 《불교와 고려제왕(高麗諸王)》 등이 있다. 1973년 《한용운전집》(6권)이 간행되었다.

* 한용운-한국현대문학

 

 

 

(101) 周甲日卽興(주갑일즉흥) : 回甲날의 卽興. 一九三九. . 十二日 於淸凉寺

 

怱怱六十一年光 ~ 바쁘게도 지나간 예순 한 해가

云是人間小劫桑 ~ 世上에선 小劫(소겁)같이 긴 生涯라고.

歲月縱令白髮短 ~ 歲月이 흰 머리를 짧아지고

風霜無奈丹心長 ~ 風霜一片丹心 어쩌지 못하네.

聽貧已覺換凡骨 ~ 가난을 달게 여기니 범골도 바뀐 듯

任病誰知得妙方 ~ 을 버려두매 좋은 處方文 누가 알리.

流水餘生君莫問 ~ 물 같은 내 餘生을 그대여 묻지 말게

蟬聽萬樹趁斜陽 ~ 숲 가득 매미 소리에 斜陽 向해 가는 것을.

 

 

 

(102) 重陽(중양) 1 : 중양절에

 

九月九日百潭寺 ~ 九月 九日 重陽節百潭寺

萬樹歸根病離身 ~ 온 갓 나뭇잎이 떨어지니 도 내 몸 떠났네.

閒雲不定孰非客 ~ 閑暇한 구름 定處 없이 흐르듯 누군들 나그네 아니며

黃花已發我何人 ~ 노란 菊花는 이미 피었는데 난 어떤 사람인가.

 

 

 

(103) 重陽(중양) 2 : 중양절에

 

溪磵水落晴有玉 ~ 시내에는 물이 말라 돌이 드러나고

鴻雁秋高逈無塵 ~ 기러기는 淸淨(청정)한 하늘을 아득히 난다.

午來更起蒲團上 ~ 낮 되어 다시 부들 方席 위에서 일어나니

千峰入戶碧嶙峋 ~ 千峰萬壑(천봉만학)에 들어 푸른빛으로 솟구치네.

 

 

 

(104) 卽事(즉사) 1 : 본 대로 느낀 대로

 

山下日杲杲 ~ 밑에는 햇빛 쨍쨍하고

山上雪紛紛 ~ 위에는 눈발이 날린다.

陰陽各自妙 ~ 陰陽奧妙 함은 제각기 인데

詩人空斷魂 ~ 詩人空然히 넋을 태운다.

 

 

 

(105) 卽事(즉사) 2 : 본 대로 느낀 대로

 

一庵何寂寞 ~ 庵子에 쌓인 적막 속에

塊坐依欄干 ~ 흙무더기처럼 欄干에 기대앉으니

枯葉作聲惡 ~ 마른 나뭇잎 괴로운 소리를 내고

飢鳥爲影寒 ~ 배 주린 새 그림자는 차갑기만 하다.

歸雲斷古木 ~ 돌아가던 구름 古木에 걸리고

落日半空山 ~ 지는 해는 절반이 빈 에 걸린다.

獨對千峯雪 ~ 홀로 수많은 눈 봉우리 마주하니

淑光天地還 ~ 봄빛은 天地에 돌아오는구나.

 

 

 

(106) 卽事(즉사) 3 : 본 대로 느낀 대로

 

北風雁影絶 ~ 북녘 바람이 기러기 자취를 끊어 버리니

白日客愁寒 ~ 한낮에도 나그네 시름은 차갑다.

冷眼觀天地 ~ 싸늘한 눈길 하늘 땅 바라보니

一雲萬古閒 ~ 구름만 萬古閒暇롭다.

 

 

 

(107) 卽事(즉사) 4 : 본 대로 느낀 대로

 

鳥雲散盡孤月樓 ~ 먹구름 흩어지고 樓臺엔 외로운 달

遠樹寒光歷歷生 ~ 먼 나무엔 찬 빛이 역력하구나.

空山雁去今無夢 ~ 위로 기러기 가고 잠은 오지 않는데

殘雪人歸夜有聲 ~ 殘雪 밟으며 밤길 가는 발자국 소리.

 

 

 

(108) 卽事(즉사) 5 : 본 대로 느낀 대로

 

殘雪日光動 ~ 눈은 자지러져 가고 햇빛 춤을 추어

遠林春意過 ~ 먼 숲에 봄의 氣運 스치네.

山屋病初起 ~ 집에서 이 떠나고

新情不奈何 ~ 새로운 은 어쩔 수 없어라.

 

 

 

(109) 卽事(즉사) 6 : 본 대로 느낀 대로

 

朔風吹白日 ~ 朔風이 해를 몰아치는 날

獨立對江城 ~ 홀로 江城을 마주하고 섰다.

孤煙接樹直 ~ 외로운 煙氣 나무를 감싸 오르고

輕夕落庭橫 ~ 저녁은 사뿐히 뜰을 가로지른다.

千里山客滴 ~ 千 里山客에 빗방울 떨어져

一方雪意生 ~ 어디에 눈이라도 내릴 듯하네.

詩思動邊塞 ~ 邊方에서도 詩情은 일고

侶鴻過太淸 ~ 짝지은 기러기는 맑은 하늘을 지난다.

 

 

 

(110) 卽事(즉사) 7 : 본 대로 느낀 대로

 

紅梅開處禪初合 ~ 紅梅花 벌어지니 중은 三昧에 들고

白雨過時茶半淸 ~ 소낙비 지나가니 도 한결 맛이 맑다.

虛設虎溪亦自笑 ~ 호계까지 전송하고 크게 웃으며

停思還憶陶淵明 ~ 잠시 陶淵明人品 그리어 보네.

 

한용운 모음(06. 9. 1)

萬海 한용운(韓龍雲)선생 생가지(08. 2. 24)

* 한용운(韓龍雲) 생가지에 가보다(2012. 12.)

* 한용운 생가지에 가보다 (14. 12.14.)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