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禪詩/禪師들의 禪詩

韓龍雲(한용운)의 禪詩(선시) (111)~(120)

by 산산바다 2022. 11. 7.

산과바다

韓龍雲(한용운)

禪師禪詩 HOME

선사의 선시 

 

 

 

                  韓龍雲(한용운) (1879~1944)禪詩 (111)~(120)

 

 

韓龍雲(한용운) (1879~1944. 忠南 洪城 出生. 僧侶. 詩人. 獨立運動家.

本 淸州. 俗名 裕天. 法名 龍雲. 法號 卍海 /萬海)

 

우리나라의 승려시인독립운동가(1879~1944). 속명은 정옥(貞玉)이고 아명은 유천(裕天)이며 법호는 만해(萬海)이다용운은 법명(法名)이다31 독립 선언에 민족 대표로 참가하여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에도 앞장섰다민족의 현실과 이상에 대해 노래한 <님의 침묵>으로 저항 문학에도 앞장섰다저서로 조선 불교 유신론 시집 님의 침묵 등이 있다.

 

본관 청주(淸州), 호 만해(萬海·卍海), 속명 유천(裕天), 자 정옥(貞玉), 계명 봉완(奉玩)이다. 1879년 8월 29일 충청남도 홍성(洪城)에서 출생하였다. 서당에서 한학을 배우다가 동학농민운동에 가담했으나 실패하자 1896년(건양 1) 설악산 오세암(五歲庵)에 들어갔다. 그 뒤 1905년(광무 9) 인제의 백담사(百潭寺)에 가서 연곡(連谷)을 스승으로 승려가 되고 만화(萬化)에게서 법을 받았다.

1908년(융희 2) 전국 사찰대표 52인의 한 사람으로 원흥사(元興寺)에서 원종종무원(圓宗宗務院)을 설립한 뒤 일본으로 건너가 신문명을 시찰했다. 1910년 국권이 피탈되자 중국에 가서 독립군 군관학교를 방문, 이를 격려하고 만주·시베리아 등지를 방랑하다가 1913년 귀국, 불교학원에서 교편을 잡았다. 이해 범어사에 들어가 《불교대전(佛敎大典)》을 저술, 대승불교의 반야사상(般若思想)에 입각하여 종래의 무능한 불교를 개혁하고 불교의 현실참여를 주장하였다.

1918년 서울 계동(桂洞)에서 월간지 《유심(惟心)》을 발간, 1919년 3·1운동 때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서 독립선언서에 서명, 체포되어 3년형을 선고받고 복역했다. 1926년 시집 《님의 침묵(沈默)》을 출판하여 저항문학에 앞장섰고, 이듬해 신간회(新幹會)에 가입하여, 이듬해 중앙집행위원이 되어 경성지회장(京城支會長)의 일을 맡았다.

1931년 조선불교청년회를 조선불교청년동맹으로 개칭, 불교를 통한 청년운동을 강화하고 이해 월간지 《불교(佛敎)》를 인수, 이후 많은 논문을 발표하여 불교의 대중화와 독립사상 고취에 힘썼다. 1935년 첫 장편소설 《흑풍(黑風)》을 《조선일보》에 연재하였고, 1937년 불교관계 항일단체인 만당사건(卍黨事件)의 배후자로 검거되었다. 그 후에도 불교의 혁신과 작품 활동을 계속하다가 서울 성북동(城北洞)에서 중풍으로 별세하였다.

 

시에 있어 퇴폐적인 서정성을 배격하고 불교적인 ‘님’을 자연(自然)으로 형상화했으며, 고도의 은유법을 구사하여 일제에 저항하는 민족정신과 불교에 의한 중생제도(衆生濟度)를 노래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大韓民國章)이 추서되었다.

작품으로는 상기 장편 외에 장편소설인 《박명(薄命)》이 있고, 저서로는 시집 《님의 침묵》을 비롯하여 《조선불교유신론(朝鮮佛敎維新論)》 《십현담주해(十玄談註解)》 《불교대전》 《불교와 고려제왕(高麗諸王)》 등이 있다. 1973년 《한용운전집》(6권)이 간행되었다.

* 한용운-한국현대문학

 

 

 

(111) 贈古友禪話( 증고우선화) : 옛 벗에게 주는 글(禪話)

 

看盡百花正可愛 ~ 어여쁜 온갖 꽃을 모두 보았고

縱橫芳草踏烟霞 ~ 안개 속 꽃다운 풀 두루 누볐네.

一樹寒梅將不得 ~ 그러나 梅花만은 못 만났는데

其如滿地風雪何 ~ 눈바람 이러하니 어쩜 좋으랴.

 

 

 

(112) 贈南亨祐(증남형우) : 南亨祐에게

 

秋山落日望蒼蒼 ~ 가을빛 물든 에 해가 지는데

獨立高歌響八荒 ~ 홀로 서서 노래하면 天地에 울려라.

白髮數莖東逝水 ~ 몇 오라기 흰 머리칼 歲月은 물 같아도

黃花萬本夜迎霜 ~ 포기 菊花꽃은 서리 맞아 피는구나.

遠書不至虫猶語 ~ 먼 그곳 便紙도 안 오는 날엔 벌레들 시끄럽고

古木無心苔自香 ~ 古木無心해도 이끼 껴 香氣롭네.

四十年來出世事 ~ 出家한 지도 어느덧 마흔 핸데

慚愧依舊坐空床 ~ 如前히 빈 禪床 지킴이 부끄럽구나.

 

 

 

(113) 贈別(증별) : 헤어지면서 드림

 

天下逢未易 ~ 같은 하늘 아래서 만나기도 어려운데

獄中別亦奇 ~ 獄中離別이라 또한 奇異하구나.

舊盟猶未冷 ~ 이전의 盟約(맹약)은 오히려 식지 않았으니

莫負黃花期 ~ 菊花 꽃과의 約束 저버리지 말게나.

 

 

 

(114) 增上寺(증상사) : 일본 동경에 있는 증상사에서

 

淸磬一聲初下壇 ~ 경쇠가 울려서야 에서 내려 와

更添新茗依欄干 ~ 다시 를 따루어 欄干에 기대인다.

舊雨纔晴輕凉動 ~ 비는 겨우 개고 서늘한 바람 일어

空簾晝氣水晶寒 ~ 발로 스미는 찬 氣運水晶 같구나.

 

 

 

(115) 贈宋淸巖(증송청암) : 宋淸巖에게

 

相逢輒驚喜 ~ 만나니 놀랍고 반갑기도 하여

共作秋山行 ~ 함께 가을 을 찾아들었네.

日出看雲白 ~ 해 뜨면 흰구름을 보고

夜來步月明 ~ 밤에는 달빛 속을 거닐기도 하네.

小石本無語 ~ 돌멩이야 本來 말이 없어도

古桐自有聲 ~ 오래 된 梧桐에선 맑은 소리 나지.

大塊一樂土 ~ 世上이 곧 樂土이거늘

不必求三淸 ~ 구태여 神仙 되길 바라지 말게.

 

 

 

(116) 次映湖和尙香積韻(차영호화상향적운) : 映湖和尙이 보내온 향적봉의 운을 차운하여

 

萬木森凉孤月明 ~ 숲은 썰렁한데 외로운 달빛이

碧雲層雪夜生溟 ~ 구름과 눈을 비추니 완연한 바다라.

十萬株玉收不得 ~ 無數한 그루에 달린 구슬이 하도 고와서

不知是鬼是丹靑 ~ 造化인 줄 모르고 그림인가 여겼네.

 

 

 

(117) 淸唫(청금) : 淸淨한 노래

 

一水孤花逈 ~ 먼 물가에 외로운 꽃이 벌고

數鍾千竹寒 ~ 걸린 곳 대숲이 차구나.

不知禪已破 ~ 見性이 이미 된 줄 알지 못하여

猶向物初看 ~ 오히려 事物을 처음 보듯 보느니.

 

* 見性 : 마음 닦는 工夫를 하여 깨달음을 얻게 되는 體驗境地.

 

 

 

(118) 淸寒(청한) : 상큼한 추위

 

待月梅何鶴 ~ 달을 기다려 梅花인 양 서 있고

依梧人亦鳳 ~ 梧桐에 기대니 사람 또한 鳳凰일세.

通宵寒不盡 ~ 밤새워 추위는 그치지 않고

遶屋雪爲峰 ~ 눈은 온통 집을 둘러싸 봉우리를 만들었네.

 

 

 

(119) 淸曉(청효) : 맑은 새벽

 

高樓獨坐絶群情 ~ 다락에 앉으니 뭇 생각 끊이는데

庭樹寒從曉月生 ~ 새벽달 따라 추위가 인다.

一堂如水收人氣 ~ 물을 끼얹은 듯 人氣척 없는 곳

詩思有無和笛聲 ~ 어렴풋한 詩想 피리에 和答하느니라.

 

 

 

(120) 秋夜雨(추야우) : 가을밤에 비는 내리고

 

床頭禪味澹如水 ~ 禪定에 드니 담담하기 물 같은데

吹起香灰夜欲闌 ~ 불 다시 피어나고 밤도 깊은 간다.

萬葉梧桐秋雨急 ~ 문득 梧桐잎 두들기는 가을비 소리

虛窓殘夢不勝寒 ~ 寒氣 들어와 남은 잠을 기룰 수 없구나.

 

한용운 모음(06. 9. 1)

萬海 한용운(韓龍雲)선생 생가지(08. 2. 24)

* 한용운(韓龍雲) 생가지에 가보다(2012. 12.)

* 한용운 생가지에 가보다 (14. 12.14.)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