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禪詩/禪師들의 禪詩

韓龍雲(한용운)의 禪詩(선시) (121)~(130)

by 산산바다 2022. 11. 7.

산과바다

韓龍雲(한용운) 수형기록표

禪師禪詩 HOME

선사의 선시 

 

 

 

                       韓龍雲(한용운) (1879~1944)禪詩 (121)~(130)

 

 

우리나라의 승려시인독립운동가(1879~1944). 속명은 정옥(貞玉)이고 아명은 유천(裕天)이며 법호는 만해(萬海)이다용운은 법명(法名)이다31 독립 선언에 민족 대표로 참가하여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에도 앞장섰다민족의 현실과 이상에 대해 노래한 <님의 침묵>으로 저항 문학에도 앞장섰다저서로 조선 불교 유신론 시집 님의 침묵 등이 있다.

본관 청주(淸州), 호 만해(萬海·卍海), 속명 유천(裕天), 자 정옥(貞玉), 계명 봉완(奉玩)이다. 1879년 8월 29일 충청남도 홍성(洪城)에서 출생하였다. 서당에서 한학을 배우다가 동학농민운동에 가담했으나 실패하자 1896년(건양 1) 설악산 오세암(五歲庵)에 들어갔다. 그 뒤 1905년(광무 9) 인제의 백담사(百潭寺)에 가서 연곡(連谷)을 스승으로 승려가 되고 만화(萬化)에게서 법을 받았다.

1908년(융희 2) 전국 사찰대표 52인의 한 사람으로 원흥사(元興寺)에서 원종종무원(圓宗宗務院)을 설립한 뒤 일본으로 건너가 신문명을 시찰했다. 1910년 국권이 피탈되자 중국에 가서 독립군 군관학교를 방문, 이를 격려하고 만주·시베리아 등지를 방랑하다가 1913년 귀국, 불교학원에서 교편을 잡았다. 이해 범어사에 들어가 《불교대전(佛敎大典)》을 저술, 대승불교의 반야사상(般若思想)에 입각하여 종래의 무능한 불교를 개혁하고 불교의 현실참여를 주장하였다.

1918년 서울 계동(桂洞)에서 월간지 《유심(惟心)》을 발간, 1919년 3·1운동 때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서 독립선언서에 서명, 체포되어 3년형을 선고받고 복역했다. 1926년 시집 《님의 침묵(沈默)》을 출판하여 저항문학에 앞장섰고, 이듬해 신간회(新幹會)에 가입하여, 이듬해 중앙집행위원이 되어 경성지회장(京城支會長)의 일을 맡았다.

1931년 조선불교청년회를 조선불교청년동맹으로 개칭, 불교를 통한 청년운동을 강화하고 이해 월간지 《불교(佛敎)》를 인수, 이후 많은 논문을 발표하여 불교의 대중화와 독립사상 고취에 힘썼다. 1935년 첫 장편소설 《흑풍(黑風)》을 《조선일보》에 연재하였고, 1937년 불교관계 항일단체인 만당사건(卍黨事件)의 배후자로 검거되었다. 그 후에도 불교의 혁신과 작품 활동을 계속하다가 서울 성북동(城北洞)에서 중풍으로 별세하였다.

 

시에 있어 퇴폐적인 서정성을 배격하고 불교적인 ‘님’을 자연(自然)으로 형상화했으며, 고도의 은유법을 구사하여 일제에 저항하는 민족정신과 불교에 의한 중생제도(衆生濟度)를 노래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大韓民國章)이 추서되었다.

작품으로는 상기 장편 외에 장편소설인 《박명(薄命)》이 있고, 저서로는 시집 《님의 침묵》을 비롯하여 《조선불교유신론(朝鮮佛敎維新論)》 《십현담주해(十玄談註解)》 《불교대전》 《불교와 고려제왕(高麗諸王)》 등이 있다. 1973년 《한용운전집》(6권)이 간행되었다.

* 한용운-한국현대문학

 

 

 

韓龍雲(한용운) (1879~1944. 忠南 洪城 出生. 僧侶. 詩人. 獨立運動家.

本 淸州. 俗名 裕天. 法名 龍雲. 法號 卍海 /萬海)

 

 

(121) 秋夜聽雨有感(추야청우유감) : 가을밤에 빗소리를 듣고

 

不學英雄不學仙 ~ 英雄神仙도 아니 배운 채

寒盟虛負黃花緣 ~ 菊花와의 因緣空然히 어겼네.

靑燈華髮秋無數 ~ 靑燈 아래 흰머리 늘어만 가는 가을 밤

蕭雨雨聲三十年 ~ 나그네 길 三十 年에 빗소리만 쓸쓸하다.

 

 

 

(122) 秋雨(추우) : 가을비

 

秋雨何蕭瑟 ~ 왜 이리도 쓸쓸한 가을비런가.

微寒空自驚 ~ 갑자기 으스스해 새삼 놀란다.

有思如飛鶴 ~ 생각은 하늘 나는 인 양하여

隨雲入帝京 ~ 구름 따라 서울에 들어가느니.

 

 

 

(123) 秋懷(추회) : 가을의 회포

 

十年報國劒全空 ~ 나라 위한 十 年虛事가 되고

只許一身在獄中 ~ 겨우 한 몸 속에 갇혔었구나.

捷使不來蟲語急 ~ 戰勝 기별 아니 오고 벌레만 저리 울어

數莖白髮又秋風 ~ 몇 오라기 흰 머리칼에 또 가을바람 부네.

 

 

 

(124) 秋曉(추효) : 가을 새벽

 

虛室何生白 ~ 빈 방은 어느덧 훤해지고

星河傾入樓 ~ 銀河는 다락에 기울어 든다.

秋風吹舊夢 ~ 가을바람은 옛 꿈을 불어오고

曉月照新愁 ~ 새벽달은 새 시름을 비춘다.

落木孤燈見 ~ 落葉 진 나무 사이로 불 하나 보이고

古塘寒水流 ~ 옛 못으로 찬 물결이 흐른다.

遙憶未歸客 ~ 돌아오지 않는 나그네 생각다가

明朝應白頭 ~ 來日 아침이면 머리칼 희어지리.

 

 

 

(125) 春閨怨(춘규원) : 봄철 규방의 한

 

一幅鴛鴦繡未了 ~ 한 폭 원앙새 수놓다가 끝도 못내고

隔窓微語雜春愁 ~ 건너 속삭임에 雜多한 봄 시름에 잠긴다.

夜來刀尺成孤夢 ~ 밤 되어 를 놓다가 홀로 잠든 꿈속에서

行到江南不復收 ~ 江南에 가 돌아 올 줄은 까맣게 잊네.

 

 

 

(126) 春夢(춘몽) : 봄날의 꿈

 

夢似落花花似夢 ~ 꿈은 落花 같고 꽃은 꿈같은데

人何胡蝶蝶何人 ~ 사람은 왜 또 나비 되고 나비 어찌 사람 되나.

蝶花人夢同心事 ~ 나비 꽃 사람 꿈이 마음의 일이니

往訴東君留一春 ~ 봄의 찾아가 이 한 봄 못 가게 하자.

 

 

 

(127) 砧聲(침성) : 다듬이질 소리

 

何處砧聲至 ~ 어디서 나는 다듬이 소리인가

滿獄自生寒 ~ 감옥 속을 冷氣로 가득 채우네.

莫道天衣煖 ~ 天子의 옷 따뜻하다 하나 가 아니다

孰如徹骨寒 ~ 뼛속까지 冷氣가 스며드는 것을.

 

 

 

(128) 巴陵漁父棹歌(파릉어부도가) : 파릉 어부의 뱃노래

 

舟行天似水 ~ 배가 가니 하늘은 물과 같은데

此外接淸歌 ~ 이에 더욱 맑은 노래 들려 올 줄이야.

韻入月明寂 ~ 고요한 밝은 달빛 韻致를 더하고

響飛夜靜多 ~ 소리는 밤의 적막 헤쳐 흐르네.

知音問白鷺 ~ 知音이 그 누군지 白鷺에 묻고

歸夢滿晴蓑 ~ 도롱이에 가득 싸인 故鄕 달리는 꿈.

更聽滄浪曲 ~ 다시 창랑의 노래 들려오기에

撫纓憶舊波 ~ 갓끈 어루만지며 옛 山川 그리네.

 

 

 

(129) 避亂途中滯雨有感(피란도중체우유감) : 피난길에 비에 막혀 머물며

 

崢嶸歲色矮於人 ~ 가파른 歲月 한 해도 얼마 아니 남았는데

海國兵聲接絶嶙 ~ 놈의 군영소리 골에도 울리네.

顚倒湖山飛欲去 ~ 天地를 뒤집어 훔쳐 가려 하거니

天涯風雨亦相親 ~ 하늘가 비바람 亦是 情이 가누나.

 

 

 

(130) 漢江(한강) : 한강

 

行到漢江江水長 ~ 漢江에 와서 보니 물은 깊고

深深無語見秋光 ~ 깊은 물결 말 없는데 가을빛 어리네.

野菊不知何處在 ~ 모르겠네. 菊花는 어디 피었는지

西風時有暗傳香 ~ 때로 西風 타고 香氣 풍기네.

 

한용운 모음(06. 9. 1)

萬海 한용운(韓龍雲)선생 생가지(08. 2. 24)

* 한용운(韓龍雲) 생가지에 가보다(2012. 12.)

* 한용운 생가지에 가보다 (14. 12.14.)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