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禪詩/禪師들의 禪詩

韓龍雲(한용운)의 禪詩(선시) (41)~(50)

by 산산바다 2022. 11. 7.

산과바다

만해 문학 체험관 (홍성 생가지)

禪師禪詩 HOME

선사의 선시 

 

 

 

                韓龍雲(한용운) (1879~1944)禪詩 (41)~(50)

 

 

韓龍雲(한용운) (1879~1944. 忠南 洪城 出生. 僧侶. 詩人. 獨立運動家.

本 淸州. 俗名 裕天. 法名 龍雲. 法號 卍海 /萬海)

 

우리나라의 승려시인독립운동가(1879~1944). 속명은 정옥(貞玉)이고 아명은 유천(裕天)이며 법호는 만해(萬海)이다용운은 법명(法名)이다31 독립 선언에 민족 대표로 참가하여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에도 앞장섰다민족의 현실과 이상에 대해 노래한 <님의 침묵>으로 저항 문학에도 앞장섰다저서로 조선 불교 유신론 시집 님의 침묵 등이 있다.

 

본관 청주(淸州), 호 만해(萬海·卍海), 속명 유천(裕天), 자 정옥(貞玉), 계명 봉완(奉玩)이다. 1879년 8월 29일 충청남도 홍성(洪城)에서 출생하였다. 서당에서 한학을 배우다가 동학농민운동에 가담했으나 실패하자 1896년(건양 1) 설악산 오세암(五歲庵)에 들어갔다. 그 뒤 1905년(광무 9) 인제의 백담사(百潭寺)에 가서 연곡(連谷)을 스승으로 승려가 되고 만화(萬化)에게서 법을 받았다.

1908년(융희 2) 전국 사찰대표 52인의 한 사람으로 원흥사(元興寺)에서 원종종무원(圓宗宗務院)을 설립한 뒤 일본으로 건너가 신문명을 시찰했다. 1910년 국권이 피탈되자 중국에 가서 독립군 군관학교를 방문, 이를 격려하고 만주·시베리아 등지를 방랑하다가 1913년 귀국, 불교학원에서 교편을 잡았다. 이해 범어사에 들어가 《불교대전(佛敎大典)》을 저술, 대승불교의 반야사상(般若思想)에 입각하여 종래의 무능한 불교를 개혁하고 불교의 현실참여를 주장하였다.

1918년 서울 계동(桂洞)에서 월간지 《유심(惟心)》을 발간, 1919년 3·1운동 때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서 독립선언서에 서명, 체포되어 3년형을 선고받고 복역했다. 1926년 시집 《님의 침묵(沈默)》을 출판하여 저항문학에 앞장섰고, 이듬해 신간회(新幹會)에 가입하여, 이듬해 중앙집행위원이 되어 경성지회장(京城支會長)의 일을 맡았다.

1931년 조선불교청년회를 조선불교청년동맹으로 개칭, 불교를 통한 청년운동을 강화하고 이해 월간지 《불교(佛敎)》를 인수, 이후 많은 논문을 발표하여 불교의 대중화와 독립사상 고취에 힘썼다. 1935년 첫 장편소설 《흑풍(黑風)》을 《조선일보》에 연재하였고, 1937년 불교관계 항일단체인 만당사건(卍黨事件)의 배후자로 검거되었다. 그 후에도 불교의 혁신과 작품 활동을 계속하다가 서울 성북동(城北洞)에서 중풍으로 별세하였다.

 

시에 있어 퇴폐적인 서정성을 배격하고 불교적인 ‘님’을 자연(自然)으로 형상화했으며, 고도의 은유법을 구사하여 일제에 저항하는 민족정신과 불교에 의한 중생제도(衆生濟度)를 노래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大韓民國章)이 추서되었다.

작품으로는 상기 장편 외에 장편소설인 《박명(薄命)》이 있고, 저서로는 시집 《님의 침묵》을 비롯하여 《조선불교유신론(朝鮮佛敎維新論)》 《십현담주해(十玄談註解)》 《불교대전》 《불교와 고려제왕(高麗諸王)》 등이 있다. 1973년 《한용운전집》(6권)이 간행되었다.

* 한용운-한국현대문학

 

 

 

(41) 梵魚寺雨後述懷(범어사우후술회) : 비 온 뒤의 梵魚寺

 

天涯春雨薄 ~ 하늘 끝 흘러오니 봄비 가늘고

古寺梅花寒 ~ 옛 절에 梅花의 꿈은 차갑다.

孤往思千載 ~ 홀로 가며 千古를 생각하노니

雲空髮已殘 ~ 구름 스러지고 머리는 희어졌다.

 

 

 

(42) 別玩豪學士(별완호학사) : 玩豪(완호) 學士와 헤어지며

 

萍水蕭蕭不禁別 ~ 浮萍草(부평초) 같은 人生 離別이 설어워

送君今日又黃花 ~ 그대 보내는 오늘도 菊花는 피었네.

依舊驛亭惆悵在 ~ 驛舍엔 슬픔만이 자리하고

天涯秋聲自相多 ~ 하늘가 가을 소리만 우리네 가슴에 쌓이네.

 

* 부평초(浮萍草) : () 개구리밥. 정처 없이 떠돌아다니는 신세의 비유.

 

 

 

(43) 病監後園(병감후원) : 병상에서

 

談禪人亦俗 ~ 을 말함은 속된 일이지만

結網我何僧 ~ 因緣을 지어 대는 내가 어찌 중이랴.

最憐黃葉落 ~ 안타까운 일은 낙엽 지는 일이지만

繫秋原無繩 ~ 가을을 매어 둘 노끈이 없구나.

 

 

 

(44) 病唫(병금) : 병으로 신음하다.

 

頑病侵尋卽事黃 ~ 이 깊이 드니 일은 모두 狼狽(낭패)인데

窓前風雪太顚狂 ~ 밖의 눈바람은 왜 그리도 광적인지.

浩思蕩情何歷歷 ~ 마음은 앓기 과 다름없거니

不耐鏡中鬢髮蒼 ~ 거울 속 희어진 머리 고칠 길 없어라.

 

身如弱柳病如馬 ~ 몸은 버들 같고 은 말()인 양 하여

上下相繫正爾何 ~ 이 몸에 매인 은 풀릴 줄 몰르네.

縱使我心無復苦 ~ 대수롭지 않게 마음엔 생각해도

孤燈風雨忍虛過 ~ 비바람 이리 치는 밤이야 차마 어찌 잠들리.

 

* 病唫 ; 吟病, 병으로 呻吟(신음)하다.

 

 

 

(45) 病愁(병수) : 병으로 시름하며

 

靑山一白屋 ~ 푸른 산속 외로운 오막살이

人少病何多 ~ 젊은 몸 어이하여 은 이리 많은지.

浩愁不可極 ~ 온갖 시름 끝없는 날

白日生秋花 ~ 가을꽃도 피어나네.

 

 

 

(46) 乳雲和尙病臥甚悶又添鄕愁(유운화상병와심민우첨향수) : 병든 벗을 생각하며

 

故人今臥病 ~ 親舊는 이제 들어 눕고

春雁又無書 ~ 기러기 便便紙도 없어라.

此愁何萬斛 ~ 이 시름 어찌 끝이 있으리

燈下千鬢疎 ~ 불 아래 조금씩 늙어만 갈 뿐

 

 

 

(47) 備風雪閉內外戶窓黑痣看書戲作(비풍설폐내외호창흑지간서희작) : 문틈 사이로 본 세월

 

風雪撲飛重閉戶 ~ 추위를 막고자 문틈 바르니

晝齋歷歷見宵光 ~ 낮인데도 방안엔 어둠이 깔려

對書不辨二三字 ~ 책 펼쳐도 區分 안 가기에

闔眼試思南北方 ~ 눈을 감고 어디가 이고 어디가 인지를 생각해 본다.

 

 

 

(48) 思夜聽雨(사야청우) : 비오는 밤의 故鄕 생각

 

東京八月雁書遲 ~ 東京八月인데 便紙 안 오고

秋思杳茫無處期 ~ 아득히 달리는 생각 걷잡지 못하네.

孤燈小雨雨聲冷 ~ 외로운 등불 아래 빗소리 차가운 밤

太似往年臥病時 ~ 내가 크게 앓아누웠던 그때만 같네.

 

 

 

(49) 思鄕(사향) 1 : 고향 생각

 

江國一千里 ~ 물나라는 一千 里 이고

文章三十年 ~ 文章으로는 三十 年일세.

心長髮已短 ~ 마음만 길고 머리 이미 빠져

風雪到天邊 ~ 눈바람은 벌써 하늘가에 있네.

 

 

 

(50) 思鄕(사향) 2 : 고향 생각

 

歲暮寒窓方夜永 ~ 한 해가 또 가려는데 밤은 길어서

低頭不寐幾驚魂 ~ 잠 못 들고 그 몇 번을 새삼 놀랐나.

抹雲淡月成孤夢 ~ 구름 걸린 희미한 달 꿈은 외로와

不向滄洲向故園 ~ 滄洲 아닌 故鄕으로 마음 달리네.

 

한용운 모음(06. 9. 1)

萬海 한용운(韓龍雲)선생 생가지(08. 2. 24)

* 한용운(韓龍雲) 생가지에 가보다(2012. 12.)

* 한용운 생가지에 가보다 (14. 12.14.)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