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禪詩/禪師들의 禪詩

韓龍雲(한용운)의 禪詩(선시) (11)~(20)

by 산산바다 2022. 11. 7.

산과바다

韓龍雲(한용운) 생가지
만해 한용운 생가지

禪師禪詩 HOME

선사의 선시 

 

 

 

                    韓龍雲(한용운) (1879~1944)禪詩 (11)~(20)

 

 

韓龍雲(한용운) (1879~1944. 忠南 洪城 出生. 僧侶. 詩人. 獨立運動家.

本 淸州. 俗名 裕天. 法名 龍雲. 法號 卍海 /萬海)

 

우리나라의 승려시인독립운동가(1879~1944). 속명은 정옥(貞玉)이고 아명은 유천(裕天)이며 법호는 만해(萬海)이다용운은 법명(法名)이다31 독립 선언에 민족 대표로 참가하여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에도 앞장섰다민족의 현실과 이상에 대해 노래한 <님의 침묵>으로 저항 문학에도 앞장섰다저서로 조선 불교 유신론 시집 님의 침묵 등이 있다.

 

본관 청주(淸州), 호 만해(萬海·卍海), 속명 유천(裕天), 자 정옥(貞玉), 계명 봉완(奉玩)이다. 1879년 8월 29일 충청남도 홍성(洪城)에서 출생하였다. 서당에서 한학을 배우다가 동학농민운동에 가담했으나 실패하자 1896년(건양 1) 설악산 오세암(五歲庵)에 들어갔다. 그 뒤 1905년(광무 9) 인제의 백담사(百潭寺)에 가서 연곡(連谷)을 스승으로 승려가 되고 만화(萬化)에게서 법을 받았다.

1908년(융희 2) 전국 사찰대표 52인의 한 사람으로 원흥사(元興寺)에서 원종종무원(圓宗宗務院)을 설립한 뒤 일본으로 건너가 신문명을 시찰했다. 1910년 국권이 피탈되자 중국에 가서 독립군 군관학교를 방문, 이를 격려하고 만주·시베리아 등지를 방랑하다가 1913년 귀국, 불교학원에서 교편을 잡았다. 이해 범어사에 들어가 《불교대전(佛敎大典)》을 저술, 대승불교의 반야사상(般若思想)에 입각하여 종래의 무능한 불교를 개혁하고 불교의 현실참여를 주장하였다.

1918년 서울 계동(桂洞)에서 월간지 《유심(惟心)》을 발간, 1919년 3·1운동 때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서 독립선언서에 서명, 체포되어 3년형을 선고받고 복역했다. 1926년 시집 《님의 침묵(沈默)》을 출판하여 저항문학에 앞장섰고, 이듬해 신간회(新幹會)에 가입하여, 이듬해 중앙집행위원이 되어 경성지회장(京城支會長)의 일을 맡았다.

1931년 조선불교청년회를 조선불교청년동맹으로 개칭, 불교를 통한 청년운동을 강화하고 이해 월간지 《불교(佛敎)》를 인수, 이후 많은 논문을 발표하여 불교의 대중화와 독립사상 고취에 힘썼다. 1935년 첫 장편소설 《흑풍(黑風)》을 《조선일보》에 연재하였고, 1937년 불교관계 항일단체인 만당사건(卍黨事件)의 배후자로 검거되었다. 그 후에도 불교의 혁신과 작품 활동을 계속하다가 서울 성북동(城北洞)에서 중풍으로 별세하였다.

 

시에 있어 퇴폐적인 서정성을 배격하고 불교적인 ‘님’을 자연(自然)으로 형상화했으며, 고도의 은유법을 구사하여 일제에 저항하는 민족정신과 불교에 의한 중생제도(衆生濟度)를 노래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大韓民國章)이 추서되었다.

작품으로는 상기 장편 외에 장편소설인 《박명(薄命)》이 있고, 저서로는 시집 《님의 침묵》을 비롯하여 《조선불교유신론(朝鮮佛敎維新論)》 《십현담주해(十玄談註解)》 《불교대전》 《불교와 고려제왕(高麗諸王)》 등이 있다. 1973년 《한용운전집》(6권)이 간행되었다.

 

한용운-한국현대문학

 

 

(11) 龜岩寺初秋(구암사초추) : 구암사의 초가을

 

古寺秋來人自空 ~ 옛 절에 가을 들자 사람들 절로 마음 비우고

匏花高發月明中 ~ 박꽃은 높이 높이 밝은 달 아래에 피었다.

霜前南峽楓林語 ~ 서리 오기 남쪽 언덕 丹楓의 속삭임은

纔見三枝數葉紅 ~ 겨우 서너 가지 두어 잎의 眞紅 빛 보이네.

 

 

 

(12) 龜岩瀑(구암폭) : 구암폭포

 

秋山瀑布急 ~ 가을 山 瀑布 소리 이 쏟아지니

浮世愧殘春 ~ 世上 늙은 몸 부끄러워라.

日夜欲何往 ~ 밤낮 어디로 헤매이는가?

回看千古人 ~ 머리 돌려 옛 분들 그려 보느니.

 

 

 

(13) 宮島舟中(궁도주중) : 미야지마 <みやじま> 의 배 안에서

 

天涯孤興化爲愁 ~ 異域 외로움은 그대로 시름겹고

滿艇春心自不收 ~ 배에 찬 봄의 은 걷잡을 수 없어라.

恰似桃源烟雨裡 ~ 흡사 부슬비 오는 桃源만 같아

落花餘夢過瀛洲 ~ 꿈인 양 꽃 지는 날 瀛洲(영주)를 지나간다.

 

 

 

(14) 謹賀啓礎先生晬辰(근하계초선생수진) : 삼가 계초 선생의 생신을 축하함

 

西來一氣正堪寄 ~ 西녘에서 온 氣運 奇異도 하여

覆雨飜雲自有時 ~ 비와 구름 그 造化 때를 알아라.

大筆如椽能殺活 ~ 큰 붓 잡으면 殺活自在인데

英才似竹又參差 ~ 英才들은 또 얼마나 모인 것이랴.

屠龍搏虎固任意 ~ 을 잡고 호랑이 치기쯤 마음대로요

訪鶴問鷗亦可期 ~ 이나 갈매기와 벗할 날도 있으리.

祝壽南山漢水上 ~ ‘南山처럼 사소서祝壽하는 날

陽春三月足新禧 ~ 三月 이 기쁨 펴기 좋구나.

 

* 啓礎朝鮮日報 創業主 方應謨.

 

 

 

(15) 唫晴(금청) : 개인 날

 

庭樹落陰梅雨晴 ~ 나무들은 뜰에 그림자 떨구고 장맛비 개니

半簾秋氣和禪生 ~ 발로 스미는 가을 氣運 禪 인양 서늘하다.

故國靑山夢一髮 ~ 故國 山川은 꿈속이면 바로 거긴데

落花深晝渾無聲 ~ 소리 없이 대낮에 지는 저 꽃이여.

 

 

 

(16) 寄學生(기학생) : 學問하는 이들에게

 

瓦全生爲恥 ~ 헛된 삶 이어가며 부끄러워 하느니

玉碎死亦佳 ~ 忠節위해 깨끗이 죽는 것이 아름답지 않은가.

滿天斬荊棘 ~ 하늘 가득한 苦痛을 걷어내고

長嘯月明多 ~ 긴 휘파람 불 제 달빛은 더욱 밝으리.

 

 

 

(17) 內院庵有牧丹樹古枝受雪如花因唫(내원암유목단수고지수설여화인금) : 눈꽃

 

雪艶無月雜山光 ~ 달빛 아니라도 눈은 고운 것

枯樹寒花收夜香 ~ 枯木에 꽃이 벌어 香氣 풍기네.

分明枝上冷精魄 ~ 가지 위 차가운 저 精靈이야

不入人愁萬里長 ~ 길고 긴 내 시름과 無關하여라.

 

 

 

(18) 代萬化 和尙挽林鄕長(대만화 화상만림향장) : 만화 화상을 대신하여 임향장을 조상함

 

君棄人間天上去 ~ 그대 이 世上 버리고 天上으로 가니

人間猶有自心傷 ~ 남은 우리들만 슬퍼하노라.

世情白髮不禁淚 ~ 世上 살이 白髮엔 눈물을 금치 못하고

歲事黃花正斷腸 ~ 歲月菊花를 피워내니 더욱 애를 끊는다.

哀詞落木寒鴉在 ~ 애달픈 마른 나무엔 겨울 까마귀 떼 내려앉고

痛哭殘山剩水長 ~ 버려진 山川痛哭은 끝이 없네.

公道斜陽莫可追 ~ 뉘라서 지는 해 막는다 하리

秋風秋雨滿衣裳 ~ 가을바람에 찬비만 옷을 흠뻑 적신다.

 

 

 

(19) 獨唫(독금) : 홀로 읊다

 

山寒天亦盡 ~ 山中은 차고 해도 기우는데

渺渺與誰同 ~ 아득한 이 생각 누구와 함께하랴.

乍有奇鳴鳥 ~ 잠시 異常하게 우는 새 있어서

枯禪全未空 ~ 枯木寒巖(고목한암)까지는 안 되고 마네.

 

* 枯木寒巖(고목한암) : 말라죽은 나무가 선 것처럼 움직이지 않고, 마음은 죽은 재처럼 아무 생각이 없음, 사람의 무위무심(無爲無心)함을 이름.

 

 

 

(20) 獨夜(독야) 1 : 홀로 있는 밤

 

天末無塵明月去 ~ 해맑은 하늘가로 밝은 달 넘어가고

孤枕長夜聽松琴 ~ 외로운 잠자리 긴긴밤 솔바람 소리 들린다.

一念不出洞門外 ~ 한 생각도 동문 밖을 나가지 못하고

惟有千山萬水心 ~ 오로지 온갖 과 물과 함께 하는 마음뿐.

 

한용운 모음(06. 9. 1)

萬海 한용운(韓龍雲)선생 생가지(08. 2. 24)

* 한용운(韓龍雲) 생가지에 가보다(2012. 12.)

* 한용운 생가지에 가보다 (14. 12.14.)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