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禪詩/禪師들의 禪詩

韓龍雲(한용운)의 禪詩(선시) (1)~(10)

by 산산바다 2022. 11. 7.

산과바다

韓龍雲(한용운)

禪師禪詩 HOME

선사의 선시 

 

 

 

                     韓龍雲(한용운) (1879~1944)禪詩 (1)~(10)

 

 

韓龍雲(한용운) (1879~1944. 忠南 洪城 出生. 僧侶. 詩人. 獨立運動家.

本 淸州. 俗名 裕天. 法名 龍雲. 法號 卍海 /萬海)

 

우리나라의 승려시인독립운동가(1879~1944). 속명은 정옥(貞玉)이고 아명은 유천(裕天)이며 법호는 만해(萬海)이다용운은 법명(法名)이다31 독립 선언에 민족 대표로 참가하여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에도 앞장섰다민족의 현실과 이상에 대해 노래한 <님의 침묵>으로 저항 문학에도 앞장섰다저서로 조선 불교 유신론 시집 님의 침묵 등이 있다.

 

본관 청주(淸州), 호 만해(萬海·卍海), 속명 유천(裕天), 자 정옥(貞玉), 계명 봉완(奉玩)이다. 1879년 8월 29일 충청남도 홍성(洪城)에서 출생하였다. 서당에서 한학을 배우다가 동학농민운동에 가담했으나 실패하자 1896년(건양 1) 설악산 오세암(五歲庵)에 들어갔다. 그 뒤 1905년(광무 9) 인제의 백담사(百潭寺)에 가서 연곡(連谷)을 스승으로 승려가 되고 만화(萬化)에게서 법을 받았다.

1908년(융희 2) 전국 사찰대표 52인의 한 사람으로 원흥사(元興寺)에서 원종종무원(圓宗宗務院)을 설립한 뒤 일본으로 건너가 신문명을 시찰했다. 1910년 국권이 피탈되자 중국에 가서 독립군 군관학교를 방문, 이를 격려하고 만주·시베리아 등지를 방랑하다가 1913년 귀국, 불교학원에서 교편을 잡았다. 이해 범어사에 들어가 《불교대전(佛敎大典)》을 저술, 대승불교의 반야사상(般若思想)에 입각하여 종래의 무능한 불교를 개혁하고 불교의 현실참여를 주장하였다.

1918년 서울 계동(桂洞)에서 월간지 《유심(惟心)》을 발간, 1919년 3·1운동 때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서 독립선언서에 서명, 체포되어 3년형을 선고받고 복역했다. 1926년 시집 《님의 침묵(沈默)》을 출판하여 저항문학에 앞장섰고, 이듬해 신간회(新幹會)에 가입하여, 이듬해 중앙집행위원이 되어 경성지회장(京城支會長)의 일을 맡았다.

1931년 조선불교청년회를 조선불교청년동맹으로 개칭, 불교를 통한 청년운동을 강화하고 이해 월간지 《불교(佛敎)》를 인수, 이후 많은 논문을 발표하여 불교의 대중화와 독립사상 고취에 힘썼다. 1935년 첫 장편소설 《흑풍(黑風)》을 《조선일보》에 연재하였고, 1937년 불교관계 항일단체인 만당사건(卍黨事件)의 배후자로 검거되었다. 그 후에도 불교의 혁신과 작품 활동을 계속하다가 서울 성북동(城北洞)에서 중풍으로 별세하였다.

 

시에 있어 퇴폐적인 서정성을 배격하고 불교적인 ‘님’을 자연(自然)으로 형상화했으며, 고도의 은유법을 구사하여 일제에 저항하는 민족정신과 불교에 의한 중생제도(衆生濟度)를 노래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大韓民國章)이 추서되었다.

작품으로는 상기 장편 외에 장편소설인 《박명(薄命)》이 있고, 저서로는 시집 《님의 침묵》을 비롯하여 《조선불교유신론(朝鮮佛敎維新論)》 《십현담주해(十玄談註解)》 《불교대전》 《불교와 고려제왕(高麗諸王)》 등이 있다. 1973년 《한용운전집》(6권)이 간행되었다.

한용운-한국현대문학

 

 

(1) 遣悶(견민) : 시름을 달래다.

 

春愁春雨不勝寒 ~ 봄 시름에 봄비가 마냥 추워서

春酒一壺排萬難 ~ 봄 술 한 으로 萬難(만난)을 물리치네.

一杯春酒作春夢 ~ 실컷 마신 봄 술에 봄꿈을 꾸니

須彌納芥亦復寬 ~ 須彌山芥子(갓 씨)에 넣고도 남네.

 

 

 

(2) 見櫻花有感(견앵화유감) : 앵두나무 꽃을 보고 감흥이 있어

 

昨冬雪如花 ~ 지난겨울 눈은 하얀 벚꽃 같더니

今春花如雪 ~ 今年봄 벚꽃은 겨울 흰 눈만 같네.

雪花共非眞 ~ 눈도 꽃도 모두 참이 아니련만

如何心欲裂 ~ 어이해 마음만 찢어지려 하는가.

 

 

 

(3) 見月(견월) : 달을 바라보며

 

幽人見月色 ~ 외로운 사람 달빛을 바라보니

一夜總佳期 ~ 한 밤이 모두 아름다웠다.

聊到無聲處 ~ 애오라지 소리 없는 곳에서

也尋有意詩 ~ 짐짓 意味 있는 를 찾네.

 

* 애오라지 : 마음에 부족하나마, 겨우, 오로지

 

 

 

(4) 京城逢映湖錦峯兩伯同唫(경성봉영호금봉량백동금) : 도반을 기리는 노래

 

蕭蕭短髮入紅塵 ~ 짧은 머리 흩날리며 티끌 속 들어오니

感覺浮生日日新 ~ 人生의 덧없음이 날로 새삼 느껴진다.

雪後千山皆入夢 ~ 눈 내린 千 山 꿈에도 선하거니

回頭漫說六朝人 ~ 머리 들어 六朝風流 얘기함도 우습구나.

詩欲疎凉酒欲驕 ~ 는 볼 품 없어지고 하면 驕氣(교기)만이 느는데

英雄一夜盡樵蕘 ~ 하룻밤 새에 英雄들 모두 樵夫(초부)가 되었다고.

只恐湖月無何處 ~ 두렵기는 그지없이 고운 이 江山

一夢靑山入寂寥 ~ 詩人 없어 적요(寂寥) 속에 하마 묻힐까.

 

* 驕氣(교기) : 교만한 태도

* 樵夫(초부) : 나무꾼

* 적요(寂寥) : 적적하고 고요함

 

 

 

(5) 孤遊(고유) : 홀로 거닐며

 

一生多歷落 ~ 一生岐嶇한 일 많이 겪으니

此意千秋同 ~ 心情千秋에 아마 같으리.

丹心夜月冷 ~ 一片丹心 안 가시니 밤 달이 차고

蒼髮曉雲空 ~ 흰머리 흩날릴 제 새벽 구름 스러짐을.

人立江山外 ~ 故國 江山 그 밖에 내가 섰는데

春來天地中 ~ 봄은 이 天地에 오고 있는가.

雁橫北斗没 ~ 기러기 비껴 날고 北斗星 사라질 녘

霜雪關河通 ~ 눈서리 치는 邊境 江물 흐름을 본다.

半生遇歷落 ~ 半平生 만나니 岐嶇한 일들

窮北寂廖遊 ~ 다시 녘땅 끝까지 외로이 흘러왔네.

冷齋說風雨 ~ 차가운 안에서 비바람 걱정하느니

晝回鬢髮秋 ~ 이 밤 새면 白髮 느는 가을이리라.

 

 

 

(6) 古意(고의) 1 : 예스러운 情趣

 

淸宵依劒立 ~ 맑은 밤에 칼 짚고 서니

霜雪千秋空 ~ 칼날 앞에 千秋眼中에 없네.

恐傷花柳意 ~ 꽃이며 버들이 할까 하여

回看迎春風 ~ 머리 돌려 봄바람 불러 오느니.

 

 

 

(7) 古意(고의) 2 : 예스러운 情趣

 

輸嬴萬事落空枰 ~ 어떤 勝敗가 헛되지 않으리

虛擲千金尋舊盟 ~ 千金을 던져 찾으니 벼르던 구맹.

湖海蕩魂都一髮 ~ 湖海를 떠도는 몸은 危殆롭기 머리칼 같은데

風塵餘夢幾三生 ~ 風塵에 시달린 꿈 그 몇 을 거듭했다.

靑山黃土半人骨 ~ 푸른 黃土이 사람의 뼈

白水蒼萍共世情 ~ 물에 뜬 浮萍草는 이 世上 모습일레.

對書不讀興亡句 ~ 興亡한 일은 에서도 안 읽노니

無語東窓臥月明 ~ 東窓에 달 밝은 이 밤 말없이 누웠어라.

 

 

 

(8) 過九曲嶺(과구곡령) : 九曲嶺을 지나며

 

過盡臘雪千里客 ~ 千 里 밖 섣달 눈을 다 보내고서

智異山裡趁春陽 ~ 智異山 깊은 골짝 봄볕에 길을 가면

去天無尺九曲路 ~ 하늘에 닿을 듯한 九曲嶺 길도

轉回不及我心長 ~ 뒤틀린 내 마음의 그 길이엔 못 미치리.

 

 

 

(9) 觀落梅有感(관낙매유감) : 지는 매화 바라보며

 

宇宙百年大活計 ~ 一平生 宇宙를 활기차게 살고파

寒梅依舊滿禪家 ~ 梅花 옛 같이 절에 가득 피었네.

回頭欲問三生事 ~ 머리 돌려 三生묻고자 하니

一秩維摩半落花 ~ 一秋 維摩(유마) 落花이네.

 

 

우주의 크나큰 조화로 하여

선원(禪院) 가득 예전대로 매화가 벌어

머리 돌려 삼생(三生)의 일 물으렸더니

한가을 유마(維摩)네 집 반은 꽃 졌네.

 

* 삼생(三生) : () 전생(前生현생(現生후생(後生)을 이르는 말.

* 유마(維摩) : () 인도 비사리국(毘舍離國)의 장자(長者). 석가여래와 같은 시대의 사람으로 보살의 행업을 닦았으며 유마 거사(維摩居士)라 일컬음. 비마라힐(比摩羅詰).

 

 

 

(10) 龜巖寺與宋淸巖兄弟共唫(구암사여송청암형제공금) : 구암사에서 본 풍경

 

遠客空山秋日斜 ~ 멀리 흘러온 가을 해 저무는데

澹霞疎髮隔如紗 ~ 얇은 놀인 듯 성긴 머리 슬프다.

病前已見碧蘿月 ~ 앓기 새삼덩굴에 걸린 달 보았거니

禪後未開黃菊花 ~ 坐禪이 끝난 뒤에도 菊花는 아니 버네.

晩柳爲誰偏有緖 ~ 철 늦은 버들 누구 해 가지 끝 안 시드는지.

閒雲與我共無家 ~ 閑暇한 저 구름도 나처럼 집이 없네.

銅駝荊棘孰非夢 ~ 銅駝(동타)와 가시나무 어느 것 꿈 아니리

終古英雄漫自誇 ~ 옛날의 英雄空然히 으쓱댔네.

 

* 동타형극(銅駝荊棘) : 가시밭에 파묻힌 낙타의 상()이라는 뜻으로, 황폐한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색정전(索靖傳)에서 진()나라의 색정(索靖)이 망국을 한탄한 고사에서 유래한다.

 

한용운 모음(06. 9. 1)

萬海 한용운(韓龍雲)선생 생가지(08. 2. 24)

* 한용운(韓龍雲) 생가지에 가보다(2012. 12.)

* 한용운 생가지에 가보다 (14. 12.14.)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