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禪詩/禪師들의 禪詩

逍遙太能(소요태능)의 禪詩(선시) (11)~(20)

by 산산바다 2022. 11. 3.

산과바다

逍遙太能(소요태능) 부도 백양사

禪師禪詩 HOME

선사의 선시 

 

 

 

                       逍遙太能(소요태능) (1562~1649)禪詩 (11)~(20)

 

 

逍遙太能(소요태능) (1562~1649. 逍遙. 法名 太能. 姓 吳氏. 號 逍遙. 全南 潭陽 出身. 西山大師 休靜傳法弟子이자 逍遙派開祖)

 

성은 오씨(吳氏). 호는 소요(逍遙). 법명은 태능(太能). 전라남도 담양 출신. 서산대사휴정(休靜)의 전법제자(傳法弟子)이자 소요파(逍遙派)의 개조(開祖)이다.

 

13세에 백양산(白羊山)의 경치에 감화 받아, 진대사(眞大師)로부터 계()를 받고 출가하였다. 그 후, 속리산과 해인사 등지에서 부휴(浮休)에게 경률(經律)을 익혔는데, 부휴의 수백 명의 제자들 중, 태능·충휘(沖徽응상(應祥)이 법문(法門)의 삼걸(三傑)이라 불렸다.

 

그는 묘향산으로 휴정(休靜)을 찾아가 조사서래의(祖師西來意) 화두를 물었다. 문답한 뒤, 휴정은 의발(衣鉢)을 전하고 3년 동안 지도한 뒤, 개당설법(開堂說法)을 하게 하였다. 그 뒤 휴정에게 다시 탁마한 후, 크게 깨달았다. 1624(인조 2) 남한산성의 서성(西城)을 보완하였으며, 지리산의 신흥사(神興寺)와 연곡사(燕谷寺)를 중건하였다.

16491121일 법문과 임종게를 설하고 나이 87, 법랍 75세로 입적하였다.

 

 

(11) 山中咏懷(산중영회) : 산중에 살면서 생각을 읊다

 

洛陽城裡輕肥客 ~ 가벼운 가죽옷 입고 살찐 말을 타는 서울 사람들

役役何曾半日閒 ~ 아등바등 살아가니 어찌 반나절의 여유인들 있으리오?

惆悵山中多少景 ~ 놀랍게도 山中에는 수많은 경치들이 있어

百年分付老僧看 ~ 百 年 동안 老僧이 보라고 분부 받았네.

 

 

 

(12) 賽尙俊法師(새상준법사) : 尙俊 法師에게 감사하다

 

馬祖全提一喝來 ~ 馬祖가 냅다 고함을 질러 을 보이고

大雄擔荷大機來 ~ 큰 영웅은 연꽃을 들어 뜻을 나타내었네.

耳聾三日無多子 ~ 귀가 三日이나 먹은 것은 별게 아니니

掌握乾坤日月來 ~ 하늘과 땅, 해와 달을 거머쥐고 오네.

臨濟德山屎床兒 ~ 臨濟德山은 오줌싸개

令人未免一場愁 ~ 한바탕 근심을 치 못하게 하네.

四海生靈盡安枕 ~ 世上 사람들 다 平安하건만

何須强作亂風流 ~ 뭣 하러 억지로 어지러운 風流 짓는지.

 

 

 

(13) 示繼雨法師(시계우법사) : 繼雨(계우) 法師에게

 

火裡紅蓮落故衣 ~ 불 속의 붉은 꽃 묵은 옷을 떨어뜨리니

木童收拾滿筐歸 ~ 나무 아이가 광주리에 가득 주워 돌아가네.

古曲無音誰敢和 ~ 소리 없는 옛 曲調에 누가 和答하리오?

溪邊石女笑微微 ~ 시냇가에 돌 여자가 엷은 웃음 짓고 있네.

家家門外長安路 ~ 집집마다 앞길이 서울로 하고

處處窟中獅子兒 ~ 곳곳의 속에는 獅子 새끼 들어앉았네.

打破鏡來無一事 ~ 거울을 깨고 나니 아무 일도 없어지고

數聲啼鳥上花枝 ~ 몇 마디 지저귀는 새가 꽃핀 가지에 올라앉을 뿐.

 

 

 

(14) 示誾長老(시은장로) : () 長老에게 보임

 

九旬禁足何成事 ~ 九旬 되도록 한 곳 머물러 어떤 일을 이루셨나요.

弄得泥牛建法場 ~ 진흙소 만나 戱弄하시며 法場을 세우셨군요.

三更昨夜翻身去 ~ 그 진흙소 어젯밤 三更翻身(번신)하더니

哮吼雷聲遍十方 ~ 우레같이 울부짖는 소리 시에 두루 퍼져나갔지요.

 

* 翻身(번신) = 飜身 : 물건(物件)이나 몸을 한 번에 뒤집음.

 

 

 

(15) 示學珠禪子(시학주선자) : 學珠 禪子에게

 

背角泥牛不擧鞭 ~ 채찍을 들지 않아도 등에 뿔이 난 진흙소가

翻身踏破碧潭烟 ~ 몸 뒤집어 안개 낀 푸른 못을 걸어 다니네.

一聲哮吼驚天地 ~ 울부짖는 한 소리 天地를 놀라게 하더니

掣電之機鼻孔穿 ~ 번개를 잡아끌어 콧구멍을 꿰뚫네.

 

 

 

(16) 新凉入郊墟(신량입교허) : 성 밖 언덕에서 서늘한 바람 불어오니

 

江城何處起秋風 ~ 江城 어느 곳에서 가을바람 이는데

螢火如流點暮空 ~ 저문 虛空엔 반딧불이 물 흐르듯 하네.

政好乘凉吟夜月 ~ 서늘한 기운에 달밤을 노래하긴 정말 좋아

浩然詩思滿樓中 ~ 탁 트인 詩想들이 樓閣을 넘쳐날 듯

 

 

 

(17) 詠無生(영무생) : 無生을 노래함

 

了俗明眞早脫中 ~ 됨과 참됨을 밝게 보고 일찌감치 超脫하여

雙收天地納匈中 ~ 하늘과 땅 모조리 가슴속에 쓸어 담았네.

扪身撤手三千外 ~ 몸을 추슬러 三千大千世界로 손을 뻗치고는

臥聽溪聲夜月中 ~ 밤이면 달 빛속에 누워 시냇물소리 듣네.

 

 

 

(18) 詠懷(영회) : 생각을 읊다

 

共坐同行世莫知 ~ 함께 앉고 같이 다녀도 世上에서는 알지 못하니

幾人當面便逢伊 ~ 얼굴을 마주하고도 그를 알아볼 이 몇 사람이랴?

俯仰視聽曾不昧 ~ 이리 저리 보고 들어도 일찍이 어두운 적 없었는데

何須向外問渠歸 ~ 어찌 반드시 바깥을 하여 그가 간 곳을 물으리오?

 

 

 

(19) 咏一卷經(영일권경) : 經典해 읊다

 

四序炎涼去復來 ~ 덥고 서늘한 네 季節이 갔다가 다시 오지만

誰人知得自心經 ~ 어떤 이가 마음의 經典을 깨달아 지니고 있나?

老僧獨把無文印 ~ 깨달은 스님 홀로 無文印(무늬 없는 圖章)을 지니고

坐看松陰過一生 ~ 앉아서 眞理에 잠긴 一生을 지내고 있구나.

 

* 무늬 없는 圖章(도장) : 無文印이라고도 한다. 眞理는 어떤 形象으로도 나타낼 수 없다고 하여 무늬가 없다고 하였으며, 眞理繼合한다고 하여 圖章이라 하였다.

 

 

 

(20) 雨日(우일) : 비 오는 날

 

花笑階前雨 ~ 뜨락에 내리는 비에 꽃은 웃음 짖고

松鳴檻外風 ~ 난간 밖 거센 바람엔 소나무가 운다.

何須窮妙旨 ~ 參禪을 해야만 깨닫는가?

玆個是圓通 ~ 있는 그대로가 圓滿한 깨달음인 것을.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