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禪詩/禪師들의 禪詩

虛應堂普雨(허응당보우)의 禪詩(선시) (51)~(60)

by 산산바다 2022. 11. 8.

산과바다

양주 회암사지

禪師禪詩 HOME

선사의 선시 

 

 

 

                   虛應堂普雨(허응당보우) (1509~1565)禪詩 (51)~(60)

 

 

虛應堂普雨(허응당보우) (1509~1565. 法號 虛應堂 · 懶庵. 奉恩寺 住持)

 

허응당보우(虛應堂普雨, 1509~1565, 조선 중기의 승려)1530(중종 25) 16세에 금강산 마하연에 입산, 1548년 강원감사 정만종의 천거로 명종의 어머니인 문정왕후의 신임을 얻어 봉은사 주지가 되었고, 1551년 문정왕후의 도움으로 선교양종제(禪敎兩宗制)를 부활시켜 승과를 실시했는데 이때 서산(西山)과 사명(四溟)이 각각 선종과 교종의 승파에 장원으로 뽑혔으며, 1565년 문정왕후가 죽자 유생들의 상소로 승직을 박탈당하고 제주도 귀양, 제주목사인 변협(邊恊)에게 피살당하였습니다. 저서로는 허응당집(虛應堂集)(3)이 있으며 양주 회암사지에 그의 부도도 추정되는 무명의 부도가 있습니다.

 

보우가 활약했던 시대는 조선왕조의 숭유억불 정책이 확고하게 정착되면서 성리학이 극성했던 시기였다. 이때는 조광조, 이황, 이이와 같은 조선을 대표하는 유학자들이 활동했던 시기였다. 이러한 성리학 극성기에 명종의 모후인 문정대비(文定大妃)의 도움으로 오래전에 폐지된 불교의 제도를 부활하려는 보우를 유자들은 요승’, ‘권승이라며 철저하게 폄하했지만, 보우는 조선불교를 중흥시킨 뛰어난 고승이었다.

유가의 강력한 반대 속에서 불교부흥을 위해 매진했던 보우의 삶과 행적은 승려 한 개인이 전체 유림을 대상으로 싸운 한 판의 처절한 전투였다. 보우는 이 전투에서 비참하게 죽음을 당했지만, 선교양종과 승과를 복구하고, 도승제(度僧制)를 부활하는 등의 탁월한 업적을 이룩하였다.

출처 : 불교신문

 

조선불교의 중흥조. 스님은 일찍이 불학에 능통하였을 뿐만 아니라 시와 서에 능하여 사대부들과 교류하였다. 15세에 출가하여 마하연사, 표훈사 등 금강산 일대에서 20여 년간 수행하다 세상을 나와 호남지역을 유람하다 곳곳에서 자행되는 극심한 폐불과 법난을 몸소 겪고 양주 회암사로 돌아와 몸져누웠다. 병고를 떨치고 일어날 즈음 당시 봉은사의 명곡조사가 노환으로 물러나게 되자 문정대비는 보우대사를 천거 봉은사에 주석케 하였다. 문정대비의 후원을 얻은 보우대사는 쇠락해가는 조선불교를 중흥하기 위한 근본도량을 봉은사로 하고 이곳에서 중흥불사를 시작하였다.먼저 승려 5000여명 도첩을 주어 승려의 신분을 보장하였고, 선교양종을 부활하였으며, 승과고시를 실시함으로써 불교 인재발굴의 장을 마련, 서산*사명과 같은 당대의 고승을 배출할 수 있었다. 스님은 시문에 능하였고, 불교에 있어서는 선과 교에 탁월한 식견을 갖추어선교일체론을 주장하였으며, 유불선(孺佛仙) 삼교에도 두루 통달하였다. 스님의 이러한 사상은 후학들이 편찬한 허응당 문집에 잘 나타나 있다. 조선 중기의 고승. 호는 허응(虛應) 또는 나암(懶庵), 보우는 법명이다.

 

가계 등은 미상이며, 15세에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고, 그 뒤 금강산일대의 장안사(長安寺표훈사(表訓寺) 등지에서 수련을 쌓고 학문을 닦았다. 6년 동안의 정진(精進) 끝에 마음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법력(法力)을 얻었고, 그밖에도 대장경을 모두 섭렵하는 한편 <주역>도 공부하였다. 당시 그를 지도해준 스승이 누구였는지는 명확하게 나타나 있지 않으나 여러 가지 문헌을 종합해보면, 경기도 용문사(龍門寺)의 견성암(見性庵)에 있던 지행(智行)에게서 많은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1548(명종 3) 12월 봉은사(奉恩寺) 주지에 취임하여 제일 먼저 문정대비로 하여금 <경국대전>의 금유생상사지법 (禁儒生上寺之法)을 적용하여, 능침(陵寢)에 침입하여 난동을 부리고 물건을 훔친 유생들 중에서 가장 횡포가 심했던 황언징(黃彦澄)을 처벌하게 하였다. 뿐만 아니라, 봉은사와 봉선사(奉先寺)에는 방()을 붙여 잡된 사람들의 출입을 금지시킴으로써 유생들의 횡포를 막게 하였다. 이러한 일은 조선시대 와서 처음 있는 일로서 유생들의 심한 반발을 사게 되었고 끝내는 이 문제가 조정에까지 비화되었다.

 

이때부터 문정대비·보우와 유생들 사이에는 치열한 암투가 전개되었다. 이후 문정대비로 하여금 선교 (禪敎) 양종을 다시 부활시키는 비망기(備忘記)를 내리게 함으로써 15515월에는 선종과 교종이 다시 부활되었다. 선교 양종을 부활하라는 문정대비의 비망기가 내려진 뒤 6개월 사이에 상소문이 무려 423건이나 되었고, 역적 보우를 죽이라는 것이 75()나 되었다. 그러나 보우는 "지금 내가 없으면 후세에 불법(佛法)이 영원히 끊어질 것이다."라는 사명감과 신념을 가지고 불법을 보호하고 종단을 소생시키는 일에 목숨을 걸었다.

 

156547일에 문정대비가 죽고, 대비의 장례를 마친 유생들은 곧바로 보우의 배척과 불교탄압을 주장하는 상소문을 올렸다. 그 가운데 이이(李珥)<논요승보우소 (論妖僧普雨疏)>를 올려 그를 귀양 보낼것을 주장함에 따라 명종은 보우를 제주도로 귀양보낼 것을 허락하였다. 보우는 1565612일에서 728일 사이에 붙잡혀 제주도에 유배되었고, 제주목사 변협(邊協)에 의하여 죽음을 당하였다. 보우의 죽음이 서울에 알려진 것은 1015일이었다. 보우는 억불정책 속에서 불교를 중흥시킨 순교승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그는 선교일체론 (禪敎一體論)을 주창하여 선과 교를 다른 것으로 보고 있던 당시의 불교관을 바로잡았고, 일정설(一正說)을 정리하여 불교와 유교의 융합을 강조하였다.

 

저서로는 <허응당집(虛應堂集)>3권과 <나암잡저(懶庵雜著)>1, <수월도량공화불사여환빈주몽중문답 (水月道場空花佛事如幻賓主夢中問答)>1, <권념요록(勸念要錄)>1권 등이 있다.

 

 

 

(51) 偶吟(우음) : 우연히 읊다.

 

1

松鳴自寂風初定 ~ 바람 멎자 소나무 울림소리 고요하고

山氣蒸暝雨欲來 ~ 山 氣運 찌는 듯 무덥고 어두워져 비가 내릴 듯.

獨坐忽驚香僕鼻 ~ 홀로 앉으니 갑자기 놀라워라 香氣가 코를 찌르는데

岩花無數軒開 ~ 바위의 꽃들이 無數欄干을 둘러싸고 피어나는구나.

 

2

花發山紅面 ~ 꽃이 피니 의 얼굴 붉어졌고

風柔鳥亂心 ~ 바람이 부드러우니 새가 마음을 어지럽게 하네.

多年求捉漢 ~ 오래토록 바라고 執着하던 놈

今日忽生擒 ~ 오늘에야 忽然히 산채로 사로잡았네.

 

 

 

(52) 雲禪人求頌(운선인구송) : 雲 禪人偈頌

 

魚躍鳶飛問汝何 ~ 고기 뛰고 솔개 낢이 무엇인가? 물으니

渴泉飢粟亦非他 ~ 목마르고 배고픔과 다른 것이 아니고

尋常敬長尊賢外 ~ 平素의 어른 恭敬 어진 사람 尊敬 외에

更擬求禪却轉差 ~ 달리 을 찾는다면 도리어 어긋나리.

 

 

 

(53) 有客來問山中之樂 以偈示之(유객래문산중지악 이게시지) : 어떤 나그네가 와서 山中의 즐거움을 묻기에 偈頌으로 보여주다.

 

<1>

客問山中樂幾多 ~ 山中의 즐거움이 어떠한지 나그네가 묻기에

山僧無地口吧吧 ~ 시끄러운 말이 없는 곳이라 對答했지.

遊南池上行西磵 ~ 못으로 가보기도 하고 西쪽 골짜기로 다니기도 하는데

無禁無爭興可誇 ~ 아무도 말리거나 다투지 않으니 겹기만 하다고.

 

<2>

靑山高且大 ~ 靑山은 높고 크며

澗水深且淸 ~ 溪谷물은 깊고 맑다네.

有客來問法 ~ 어떤 나그네가 와서 을 묻고는

俯仰笑聾盲 ~ 굽어보고 우러러 보며 귀머거리 盲人이라 비웃네.

 

 

 

(54) 自慶吟(자경음) : 스스로 기뻐하는 노래

 

無私一句 ~ 私私로움이 없다는 한 마디는

聖凡皆具 ~ 聖人이든 凡人이든 다 가지고 있는 것.

體絶偏圓 ~ 그 본체는 圓滿함도 치우침도 아니요

相離規矩 ~ 그 모습은 規則을 떠났네.

遇物遇緣 ~ 物件을 만나건 因緣을 만나건

覿面呈露 ~ 직접 對面하면 드러나네.

髣髴依俙 ~ 엇비슷하고 흐릿한 모습이라

尋之罔指 ~ 찾아도 어디로 가야 할지 알 수 없네.

曾以色身 ~ 일찍이 物質의 몸이

爲我眞身 ~ 나의 짜 몸인 줄 알았지만

今觀此身 ~ 只今 이 몸을 보면

是幻非眞 ~ 幻想이지 참이 아니라네.

眞身絶相 ~ 참된 몸은 모습을 떠나 있고

大無限量 ~ 無限히 크나니

但云空寂 ~ 다만 空寂이라고 하기는 하나

寂亦非寂 ~ 空寂 또한 空寂이 아니로다.

曾以緣心 ~ 일찍이 반연(攀緣)하는 마음이

爲我眞心 ~ 나의 참마음인 줄 알았지만

心亦如身 ~ 마음 또한 몸과 같아서

是影非眞 ~ 그림자이지 참이 아니라네.

眞心絶慮 ~ 참마음은 생각을 떠나 있고

窮元無處 ~ 어떠한 곳에도 있지 않나니

但云靈知 ~ 다만 神靈스런 앎이라고 하기는 하나

知亦非知 ~ 이 또한 올바른 앎이 아니라네.

曾於目前 ~ 일찍이 눈앞에

萬狀摐然 ~ 가지 모습이 어지럽게 널려 있으나

今於目前 ~ 이제 눈앞에는

一切寂然 ~ 一切가 고요할 뿐이라네.

不二而二 ~ 둘이 아니면서 둘이고

相相有異 ~ 모습과 모습이 서로 다르지만

異而還同 ~ 다르면서도 같아서

同歸一致 ~ 똑같이 하나로 돌아간다네.

曾謂我身 ~ 일찍이 나의 몸이

不同佛身 ~ 부처님의 몸과는 다르다고 생각했지만

今觀我身 ~ 이제 내 몸을 보니

亦同佛身 ~ 또한 부처님의 몸과 똑같구나.

自身他身 ~ 나의 몸과 남의 몸이

同是一身 ~ 똑같이 하나의 몸이니

物物齊觀 ~ 事物事物平等하게 보고

中無異身 ~ 그 가운데 다른 몸은 없느니라.

曾謂佛知 ~ 일찍이 부처님의 知慧

待滿三祗 ~ 無限歲月을 기다려야 이룬다고 생각했지만

刹那廻機 ~ 찰나의 한 瞬間으로 되돌아오면

與聖同歸 ~ 聖人과 똑같은 境地가 된다네.

處凡自屈 ~ 凡俗함에 하여 스스로 卑屈한 것은

只因逐物 ~ 다만 事物을 좇기 때문이지.

但不生情 ~ 執着하는 마음을 내지만 않는다면

卽心是佛 ~ 마음이 곧 부처라네.

曾謂佛地 ~ 일찍이 부처님의 境地

信己卽是 ~ 自己를 믿는 것이라 생각했지만

八風吹倒 ~ 여덟 가지 바람이 불어 닥치면

茫然失路 ~ 아득히 길을 잃고 만다네.

路正風息 ~ 길이 바르고 바람이 멎으면

須憑觀力 ~ 보는 힘에 依支해야 하네.

我依正觀 ~ 내가 바르게 보는 힘에 依支하면

心得漸安 ~ 마음이 漸次 便安해진다네.

曾謂神用 ~ 일찍이 神靈한 쓰임은

悟則便用 ~ 깨달으면 쓸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始知初心 ~ 비로소 알았네, 처음 마음은

難呈妙用 ~ 한 쓰임을 드러내기 어렵다는 것을.

負重致遠 ~ 무거운 것을 지고 멀리 가는 일은

非兒堪願 ~ 아이들이 바랄 수 있는 것이 아니라네.

頗經歲月 ~ 相當歲月을 지나야만

任運自健 ~ 굳건하게 自由로울 수 있다네.

緬思已過 ~ 생각을 하면 이미 지나쳐버리니

幾被佛訶 ~ 부처님의 꾸중을 들을 것이라.

何不廻心 ~ 어찌 마음을 돌려

流浪至今 ~ 바로 只今 瞬間沒入하지 않는가?

幸逢了義 ~ 多幸히 뚜렷한 뜻을 만나게 되면

以慶以嘳 ~ 기뻐하고 感歎하게 될 것이라.

不因此遇 ~ 이러한 境遇를 만나지 않고는

焉知正路 ~ 어떻게 바른 길을 알리오?

卓爾末由 ~ 우뚝하나 그 까닭이 없으니

知不可謳 ~ 노래할 수 없음을 알리라.

爲引癡孩 ~ 어리석은 아이를 끌어안기 하여

强顔開懷 ~ 表情 지어 가슴을 여네.

日午幽齋 ~ 궁벽(窮僻)한 집에 한낮이 되어

自吟自諧 ~ 스스로 를 짓고 스스로 을 하네.

吟罷廻看 ~ 를 읊고 나서 고개를 돌려 보니

月上蒼崖 ~ 푸른 언덕에 달이 솟았네.

 

* 반연(攀緣) : () 속된 인연에 끌림

* 궁벽(窮僻) : 외지고 후미지다

 

 

 

(55) 自仙洞來天壇卽事(자선동래천단즉사) : 仙洞에서 天壇으로 와서 卽席에서 짓다.

 

仙洞殘碁罷 ~ 仙洞에서 남은 바둑 끝내고

天壇舊跡尋 ~ 天壇의 옛 자취를 찾아오니

岩花紅紫澗 ~ 바위에 핀 꽃 시냇물에 울긋불긋

石髮滑靑林 ~ 돌이끼 푸른 숲에 매끄럽다.

蘭氣熏山屩 ~ 蘭草 香氣 山 오른 짚신에 스몄고

松聲雜梵音 ~ 솔바람소리 소리에 섞이는구나.

峯高日易夕 ~ 봉우리 높아 날 쉽게 저물어

斷碣自生陰 ~ 끊어진 碑石에 저절로 그늘 생기네.

 

 

 

(56) 雜詠(잡영) : 이 저것 읊다

 

<1>

蘭若空仙洞 ~ 庵子 텅 빈 仙洞

携筇每往還 ~ 지팡이 짚고 매양 다녀오네.

菖蒲靑石上 ~ 창포(菖蒲)는 바위 가에 푸르고

松桂翠岩間 ~ 소나무 桂樹나무 바위 사이에 푸르네.

龍去雲猶濕 ~ 떠나도 구름 아직 젖어 있고

人歸鶴自閑 ~ 사람 돌아와도 저절로 閑暇롭다.

誰能憐此景 ~ 누가 이 景致를 어여삐 할까?

月下更追攀 ~ 달빛 아래 다시 따라 오르네.

 

<2>

禪罷生幽興 ~ 參禪 마치니 그윽한 興趣가 일어나

扶筇樂有餘 ~ 지팡이 짚는 즐거움 남음이 있네.

捫蘿入洞邃 ~ 송라(松蘿) 덩굴 끌어당기며 골짜기 깊이 들어가

舒嘯上菴虛 ~ 숨 몰아쉬며 빈 庵子에 오른다.

金竈茶烟冷 ~ 빛 부엌에 끓이는 煙氣 싸늘하고

仙壇桂影疎 ~ 仙壇桂樹나무 그림자 성기도다.

鸞笙方待聽 ~ 鳳皇 피리소리 바야흐로 듣기를 기다리니

鶴駕已催余 ~ 을 타고 이미 나를 재촉하는구나.

 

 

 

(57) 題廣石(제광석) : 너럭바위에서

 

淸平山水固奇奢 ~ 淸平 山水 본래 奇妙함을 자랑하는데

廣石山中更轉嘉 ~ 너럭바위는 山中에 더욱 가상하구나.

飛瀑入潭開古鏡 ~ 떨어지는 瀑布水 못으로 들어와 옛 거울 펼치고

亂藤垂澗學驚虵 ~ 얽힌 넝쿨 시냇물에 드리워 뱀인 줄 놀라게 하네.

萬株松翠雲中蓋 ~ 그루 소나무 푸르러 구름 속 덮개이고

一帶炊煙洞裏霞 ~ 한 줄기 저녁 煙氣 골짜기 속 노을이네.

此景此時眞可畫 ~ 景致 이 때에 참으로 그릴만한데

丹靑猶恐筆無華 ~ 단청(丹靑)도 이보다 華麗하게 그릴 수 없을까 걱정하네.

 

* 단청(丹靑) : 대궐이나 절 등의 벽·기둥·천장 따위에 여러 가지 빛깔로 그림과 무늬를 그림. 또는 그 그림이나 무늬.

 

 

 

(58) 題雙池(제쌍지) : 雙池에서

 

<1>

鑿地新開玉鏡淸 ~ 땅 파서 새로 연 거울 맑아서

天光山影照分明 ~ 하늘빛 그림자 分明하게 비치네.

風來始見堯夫意 ~ 바람 불어오니 비로소 소강절(邵康節)의 뜻 보게 되고

魚躍深知孔伋情 ~ 물고기 뛰어오르니 깊이 자사(子思)의 마음 알겠구나.

淥淨豈堪捐客唾 ~ 맑은 물 어찌 이 뱉는 침을 甘耐하겠는가?泓澄眞可濯吾纓 ~ 맑아서 眞實로 내 갓끈을 씻을 만하네.何當決此雙池水 ~ 언제나 이 雙池의 물길을 터놓아普灑乾坤潤物生 ~ 天地에 고르게 뿌려 萬物을 적시게 될까.

 

* 소강절(邵康節) : 지혜와 생각이 뛰어나기로 유명한 중국 송대(宋代)의 유학자이고 시인인 소강절(邵康節, 1011-1077)의 이름은 옹(), 자는 요부(堯夫), 호는 안락선생(安樂先生), 시호는 강절(康節)이다. 관료로서 사색에 힘썼던 주렴계에 비하여 그는 시정(市井, 인가가 모인 곳, 시가, 거리)의 은둔 철학자였다.

북해의 이지재(李之才)가 공성(共城)을 다스릴 때 소강절이 학문을 좋아한다는 말을 듣고 집으로 찾아가 그대는 물리성명지학(物理性命之學)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라고 묻자, 강절은 가르침을 받겠습니다.고 대답했다.

  그래서 그는 이 선생을 모시고 하도(河圖), 낙서(洛書), 복회(伏會)8(八卦) 64(六十四卦) 도상(圖像)을 전수 받았다. 지재가 전하는 것은 개괄적인 것이었으나, 소옹은 핵심을 찾고 숨긴 뜻을 찾아내어, 그것의 신기하고 묘한 것을 깨달았고, 철저하고 함축성이 있으며, 광활한 것을 스스로 터득하였다.

* 자사(子思) : [인명중국 전국 시대 ()나라의 유학자(BC 483?~BC 402?). 공자(孔子) 손자로서 이름은 ()이며저서로는 중용(中庸) 있다.

 

<2>

八字方塘鏡共淸 ~ 사다리꼴 못 거울같이 맑은데

漢皇何獨有昆明 ~ 나라 皇帝만이 어찌 홀로 곤명지(昆明池) 있었겠는가?

觀魚縱得濠邊趣 ~ 물고기 보며 설령 垓字의 아취 얻는다 해도

臨水須知川上情 ~ 물에 임하여 모름지기 시냇물가의 을 알아야 하네.

淨極玲瓏堪照影 ~ 極度로 깨끗하고 玲瓏하여 그림자를 비출 수 있고

光全瀲灔合湔纓 ~ 불빛 온전하며 넘실거려 갓 끈 씻기에 알맞네.

千峯倒揷非吾意 ~ 천 개 봉우리 거꾸로 꽂혔으니 내 意度 아니고

意在靑靑春草生 ~ 생각이 푸르고 푸른 봄풀 돋아남에 있도다.

 

 

 

(59) 霽夜秋窓坐詠(제야추창좌영) : 비 개인 가을 밤 가에 앉아 읊다

 

月窓細影簷前樹 ~ 달빛 비치는 窓門에 처마 앞의 나무는 가는 그림자 드리우고

靜夜寒聲霽後灘 ~ 고요한 밤에 비 그친 여울물은 차가운 소리 울리네.

欲喚小師同此樂 ~ 어린 스님 불러다가 이 즐거움 함께 하고 싶건만

恐將情見起邪觀 ~ 感情이 일렁이어 잘못된 생각 일어날까 두렵네.

 

 

 

(60) 題淸平抝體(제청평요체) : 淸平로 짓다.

 

一帶流水玻瓈淸 ~ 한 줄기 흐르는 물 水晶처럼 맑고

楓帀兩岸開錦屛 ~ 丹楓 두른 溪谷엔 비단병풍(緋緞屛風) 열었구나.

孤筇行穿玉洞碧 ~ 지팡이 짚어 구슬같이 푸른 골짜기 뚫고 가서

古逕踏破秋苔靑 ~ 푸른 가을 이끼 낀 옛 길 밟아 지났네.

鶴邊松老月一壑 ~ 老松에 깃들고 달은 골짜기 비추며

定裏僧閑雲半庭 ~ 禪定에 든 스님 閑暇로워 구름은 뜰에 이네.

丹心遠近不自諼 ~ 함없는 마음 遠近에 스스로 속임이 없어

天壇獨夜登瞻星 ~ 홀로 밤에 天壇에 올라 별을 바라보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