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禪詩/禪師들의 禪詩

虛應堂普雨(허응당보우)의 禪詩(선시) (41)~(50)

by 산산바다 2022. 11. 8.

산과바다

양주 회암사지

禪師禪詩 HOME

선사의 선시 

 

 

 

                     虛應堂普雨(허응당보우) (1509~1565)禪詩 (41)~(50)

 

 

虛應堂普雨(허응당보우) (1509~1565. 法號 虛應堂 · 懶庵. 奉恩寺 住持)

 

허응당보우(虛應堂普雨, 1509~1565, 조선 중기의 승려)1530(중종 25) 16세에 금강산 마하연에 입산, 1548년 강원감사 정만종의 천거로 명종의 어머니인 문정왕후의 신임을 얻어 봉은사 주지가 되었고, 1551년 문정왕후의 도움으로 선교양종제(禪敎兩宗制)를 부활시켜 승과를 실시했는데 이때 서산(西山)과 사명(四溟)이 각각 선종과 교종의 승파에 장원으로 뽑혔으며, 1565년 문정왕후가 죽자 유생들의 상소로 승직을 박탈당하고 제주도 귀양, 제주목사인 변협(邊恊)에게 피살당하였습니다. 저서로는 허응당집(虛應堂集)(3)이 있으며 양주 회암사지에 그의 부도도 추정되는 무명의 부도가 있습니다.

 

보우가 활약했던 시대는 조선왕조의 숭유억불 정책이 확고하게 정착되면서 성리학이 극성했던 시기였다. 이때는 조광조, 이황, 이이와 같은 조선을 대표하는 유학자들이 활동했던 시기였다. 이러한 성리학 극성기에 명종의 모후인 문정대비(文定大妃)의 도움으로 오래전에 폐지된 불교의 제도를 부활하려는 보우를 유자들은 요승’, ‘권승이라며 철저하게 폄하했지만, 보우는 조선불교를 중흥시킨 뛰어난 고승이었다.

유가의 강력한 반대 속에서 불교부흥을 위해 매진했던 보우의 삶과 행적은 승려 한 개인이 전체 유림을 대상으로 싸운 한 판의 처절한 전투였다. 보우는 이 전투에서 비참하게 죽음을 당했지만, 선교양종과 승과를 복구하고, 도승제(度僧制)를 부활하는 등의 탁월한 업적을 이룩하였다.

출처 : 불교신문

 

조선불교의 중흥조. 스님은 일찍이 불학에 능통하였을 뿐만 아니라 시와 서에 능하여 사대부들과 교류하였다. 15세에 출가하여 마하연사, 표훈사 등 금강산 일대에서 20여 년간 수행하다 세상을 나와 호남지역을 유람하다 곳곳에서 자행되는 극심한 폐불과 법난을 몸소 겪고 양주 회암사로 돌아와 몸져누웠다. 병고를 떨치고 일어날 즈음 당시 봉은사의 명곡조사가 노환으로 물러나게 되자 문정대비는 보우대사를 천거 봉은사에 주석케 하였다. 문정대비의 후원을 얻은 보우대사는 쇠락해가는 조선불교를 중흥하기 위한 근본도량을 봉은사로 하고 이곳에서 중흥불사를 시작하였다.먼저 승려 5000여명 도첩을 주어 승려의 신분을 보장하였고, 선교양종을 부활하였으며, 승과고시를 실시함으로써 불교 인재발굴의 장을 마련, 서산*사명과 같은 당대의 고승을 배출할 수 있었다. 스님은 시문에 능하였고, 불교에 있어서는 선과 교에 탁월한 식견을 갖추어선교일체론을 주장하였으며, 유불선(孺佛仙) 삼교에도 두루 통달하였다. 스님의 이러한 사상은 후학들이 편찬한 허응당 문집에 잘 나타나 있다. 조선 중기의 고승. 호는 허응(虛應) 또는 나암(懶庵), 보우는 법명이다.

 

가계 등은 미상이며, 15세에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고, 그 뒤 금강산일대의 장안사(長安寺표훈사(表訓寺) 등지에서 수련을 쌓고 학문을 닦았다. 6년 동안의 정진(精進) 끝에 마음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법력(法力)을 얻었고, 그밖에도 대장경을 모두 섭렵하는 한편 <주역>도 공부하였다. 당시 그를 지도해준 스승이 누구였는지는 명확하게 나타나 있지 않으나 여러 가지 문헌을 종합해보면, 경기도 용문사(龍門寺)의 견성암(見性庵)에 있던 지행(智行)에게서 많은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1548(명종 3) 12월 봉은사(奉恩寺) 주지에 취임하여 제일 먼저 문정대비로 하여금 <경국대전>의 금유생상사지법 (禁儒生上寺之法)을 적용하여, 능침(陵寢)에 침입하여 난동을 부리고 물건을 훔친 유생들 중에서 가장 횡포가 심했던 황언징(黃彦澄)을 처벌하게 하였다. 뿐만 아니라, 봉은사와 봉선사(奉先寺)에는 방()을 붙여 잡된 사람들의 출입을 금지시킴으로써 유생들의 횡포를 막게 하였다. 이러한 일은 조선시대 와서 처음 있는 일로서 유생들의 심한 반발을 사게 되었고 끝내는 이 문제가 조정에까지 비화되었다.

 

이때부터 문정대비·보우와 유생들 사이에는 치열한 암투가 전개되었다. 이후 문정대비로 하여금 선교 (禪敎) 양종을 다시 부활시키는 비망기(備忘記)를 내리게 함으로써 15515월에는 선종과 교종이 다시 부활되었다. 선교 양종을 부활하라는 문정대비의 비망기가 내려진 뒤 6개월 사이에 상소문이 무려 423건이나 되었고, 역적 보우를 죽이라는 것이 75()나 되었다. 그러나 보우는 "지금 내가 없으면 후세에 불법(佛法)이 영원히 끊어질 것이다."라는 사명감과 신념을 가지고 불법을 보호하고 종단을 소생시키는 일에 목숨을 걸었다.

 

156547일에 문정대비가 죽고, 대비의 장례를 마친 유생들은 곧바로 보우의 배척과 불교탄압을 주장하는 상소문을 올렸다. 그 가운데 이이(李珥)<논요승보우소 (論妖僧普雨疏)>를 올려 그를 귀양 보낼것을 주장함에 따라 명종은 보우를 제주도로 귀양보낼 것을 허락하였다. 보우는 1565612일에서 728일 사이에 붙잡혀 제주도에 유배되었고, 제주목사 변협(邊協)에 의하여 죽음을 당하였다. 보우의 죽음이 서울에 알려진 것은 1015일이었다. 보우는 억불정책 속에서 불교를 중흥시킨 순교승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그는 선교일체론 (禪敎一體論)을 주창하여 선과 교를 다른 것으로 보고 있던 당시의 불교관을 바로잡았고, 일정설(一正說)을 정리하여 불교와 유교의 융합을 강조하였다.

 

저서로는 <허응당집(虛應堂集)>3권과 <나암잡저(懶庵雜著)>1, <수월도량공화불사여환빈주몽중문답 (水月道場空花佛事如幻賓主夢中問答)>1, <권념요록(勸念要錄)>1권 등이 있다.

 

 

 

(41) 示義玉禪人, 玉以耳聾爲屈(시의옥선인, 옥이이롱위굴) : 義玉스님에게 보이다. 義玉은 귀가 먹어 주눅이 들었다

 

耳以觀來目以聞 ~ 귀로 事物 바라보고 눈으로는 들으니

心聞何用耳根聞 ~ 마음 들음 어이해 귓부리를 쓰겠는가?

不須恨却聾雙耳 ~ 모름지기 두 귀 먼 것 안타까워하지 말라

聲響元來醉自聞 ~ 소리란 元來부터 듣는데서 眩惑되니.

 

 

 

(42) 示正因寺住持(시정인사주지) : 正因寺 住持에게 보이다

 

南池西澗與龍潭 ~ 南池西澗 그리고 龍潭

獨賞獨吟人不識 ~ 홀로 感賞하고 홀로 읊조리니 아는 이 없다네.

春風兩岸柳眉黃 ~ 봄바람 부는 양쪽 언덕에 버들눈썹 노랗고

山鳥一聲梅額白 ~ 새 한번 울면 梅花 이마 하얗다네.

晴煙細細遠橫崖 ~ 갠 안개 가늘게 멀리 벼랑에 비끼면

松籟蕭蕭自滿壑 ~ 솔바람 솔솔 골짜기에 절로 가득하다.

正因休問病中禪 ~ 正因은 병든 禪僧에게 묻지 마시게

數朶靑山浮碧落 ~ 몇 송이 靑山이 파란 하늘에서 떨어졌구나.

 

 

 

(43) 息庵懷古(식암회고) : 息庵에서 옛날을 생각하다

 

眞樂天遊跡未灰 ~ 하늘에서 노니는 眞樂公의 자취 재가 되지 않아

小庵依舊架岩隈 ~ 작은 庵子 바위 모퉁이에 예전처럼 걸쳐 있네.

仙壇雨壞生黃犢 ~ 仙壇은 비에 허물어져 누런 송아지 살고

松逕雲深濕緣苔 ~ 솔밭길 구름 깊어 푸른 이끼 축축하네.

石井雙流溪鳥浴 ~ 돌우물은 두 줄기로 흐르고 개울엔 새들 沐浴하며

藥畦三頃野棠開 ~ 밭은 세 고랑이고 들에는 海棠花가 피었네.

可憐何士懷前躅 ~ 可憐하구나, 어느 선비 옛 자취를 생각하여

丹桂陰中更築臺 ~ 붉은 桂樹나무 그늘 속에 다시 를 쌓았는가.

 

 

 

(44) 庵在雲重處(암재운중처) : 암자는 겹겹 구름 속에

 

庵在雲重處 ~ 겹겹이 쌓인 구름 속의 庵子

從來不設扉 ~ 本來 부터 사립 을 두지 않았다.

坮森含晩翠 ~ 樓臺의 숲은 늦 푸름을 머금었고

庭菊帶斜暉 ~ 뜰의 菊花는 저녁 볕 을 띠었다

木落經霜菓 ~ 나무의 서리 맞은 과일은 떨어지고

僧縫過夏衣 ~ 스님의 여름 지난 옷 을 깁는다.

高閑吾本意 ~ 高高하고 閑暇로움 本來의 내 뜻이라

吟賞自忘歸 ~ 읆고 즐기느라 돌아가기를 잊었다.

 

 

 

(45) 煙霞病客 邂逅玉節 眞天幸也 欽次辱贈允禪詩三絶 仰露感懷 伏冀笑擲 :: 煙霞든 나그네 使臣을 만난 것은 참으로 天幸이다. 恭敬히 보내주신 禪詩 韻字를 빌려서 우러러 感懷吐露하였으니 엎드려 웃어 버리시길 바랍니다.

 

<1>

五載淸平不見人 ~ 五 年淸平에서 사람을 보지 못하여

月明西澗自傷神 ~ 달 밝은 西澗에서 저절로 精神 傷했는데

何期御史乘幽興 ~ 어찌 期待했으랴! 御史께서 그윽한 興趣便乘

松老岩邊訪此身 ~ 소나무 늙어가는 바위 가에 이 몸을 찾아주실 줄.

 

<2>

做道工成沒坐馳 ~ 設事 工夫 이루려하면서도 마음은 내달림에 빠져드니

吾猶喪我更知誰 ~ 나도 오히려 나를 잃어버리는데 다시 누가 알겠는가?

忽驚玉節來仙洞 ~ 忽然玉節仙洞에 오심에 놀라서

蘇倒還吟一小詩 ~ 거꾸러질 듯 기뻐하며 를 읊조리네.

 

<3>

漢水曾同許一心 ~ 漢江에 일찍이 함께하여 한마음 許諾하였고

慶雲今復共珠林 ~ 慶雲山에서 오늘 다시 를 함께 짓네.

琴臺又作東西別 ~ 琴松臺에서 또 東西離別하면

宦海波頭何處尋 ~ 官職의 격랑(激浪) 꼭대기 어느 곳에서 찾을까.

 

 

 

(46) 龍潭卽事(용담즉사) : 용담(龍潭)에서 보이는 대로 바로 짓다

 

淸平洞裏古澗深 ~ 淸平山 골짜기 옛 산골 물 깊어

中有懸流百餘尺 ~ 가운데 백 여尺 瀑布 있도다.

岩花兩岸捲霞衣 ~ 바위틈에 꽃 핀 쪽 언덕 노을 옷 걷히고

春鳥一聲飛虎錫 ~ 봄새 한번 울고 호두장(虎頭杖) 위로 날아가네.

香風細細暗隨身 ~ 살살 香氣로운 바람 몰래 몸을 따르고

松籟蕭蕭自滿壑 ~ 蕭瑟한 솔바람 저절로 골짜기 가득하네.

終朝石上坐臨潭 ~ 아침 다가도록 盤石 위에 앉아 龍潭을 내려다보며

笑看鯈魚遊極樂 ~ 피라미 極樂에 노님을 웃으며 보네.

 

 

 

(47) 牛頭槐木亭(우두괴목정) : 牛頭寺槐木亭

 

槐亭高逈壓滄浪 ~ 槐木亭 높이 우뚝하여 물결을 壓倒하는데

獨上寒蟬報晩涼 ~ 홀로 올라서니 가을 매미 서늘한 저녁 알려주네.

山雨始晴雲黑白 ~ 에 비 처음 개이자 구름은 黑白이고

秋禾半熟野靑黃 ~ 가을 벼 만 익어 들판은 누렇고 푸르구나.

幾家鷄響通深樹 ~ 몇 집에 닭 울음소리 깊은 숲까지 들려오고

兩殿鍾聲隔短墻 ~ 佛殿 鐘소리 낮은 담에 부딪히네.

卽此見聞聲色地 ~ 이는 보고 듣고 소리 빛이 地域으로 나아감이니

有誰能發本眞光 ~ 누가 本然眞如의 빛을 할 수 있겠는가.

 

 

 

(48) 牛頭寺(우두사) : 우두사

 

牛頭寺在野中坡 ~ 牛頭寺 들 가운데 언덕에 있어

擾擾車塵卽紫霞 ~ 어지러이 수레먼지 보랏빛 노을에 이르네.

門枕桑麻田萬頃 ~ 절문에 뽕나무 삼베 밭 이랑 깔려 있고

窓聞鷄犬響千家 ~ 窓門에 마을 울리는 닭이며 개 짖는 소리 들리네.

茶烹楊口江流水 ~ 楊口에서 흘러온 물로 끓이고

飯熟麟蹄桴上楂 ~ 麟蹄 뗏목에 얹힌 나무 조각으로 밥 짓는다.

漁火五更僧罷夢 ~ 五 更의 고기잡이 불빛에 스님 꿈 깨어나면

擔囊乞粟向村賖 ~ 보따리 메고 求乞하러 멀리 마을로 하네.

 

 

 

(49) 牛頭藥師殿(우두약사전) : 牛頭寺藥師殿

 

江水碧含明鏡下 ~ 물은 맑은 거울 아래로 푸름 머금고

牛頭寒戴梵宮斜 ~ 牛頭山 차갑게 佛殿을 비스듬히 이고 있네.

游筇逈自淸平洞 ~ 지팡이 짚고 멀리 淸平 골짜기에서 와 노닐다가

飛閣回看木麥花 ~ 날 듯 한 樓閣에서 메밀꽃 돌아본다.

雲歛遠山千佛髻 ~ 구름 걷힌 먼 千 個 부처님 상투이고

煙橫深樹萬村家 ~ 안개 두른 깊은 숲은 萬 個 마을 집이라.

精籃幾處曾探賞 ~ 가람 몇 곳이나 일찍이 찾아 感賞하였던가.

此日平生意可誇 ~ 오늘에야 平生의 뜻 자랑할 만하여라.

 

 

 

(50) 又與諸小師 重尋廣石二偈(우여제소사 중심광석이게) : 또 여러 弟子와 다시 너럭바위를 찾아가다.

 

<1>

觀空雖未邁前師 ~ 을 살핌에 비록 前代 스님보다 힘쓰지 못했지만

耽勝應無愧後隨 ~ 좋은 경치 탐닉(耽溺)함은 뒤로 따라올 사람에게 부끄럽지 아니하리.

倜儻襟懷元自性 ~ 크고 氣槪 있는 가슴속 생각 元來 지닌 性品이고

優游情思是天資 ~ 넉넉하고 閑暇로운 생각 이는 하늘이 부여한 것이라.

況當豹脚蒼蠅日 ~ 하물며 모기며 쉬파리 우굴 대는 날을 하여

忍負淸泉白石期 ~ 차마 맑은 샘과 흰 바위와의 期約 저버릴 수 있겠나.

爲報滿堂諸小子 ~ 法堂에 가득한 여러 弟子에게 알리노니

重尋廣石更搜奇 ~ 거듭 너럭바위 찾아가 다시 奇妙함 찾아보자꾸나.

 

<2>

數朶靑山夕照紅 ~ 몇 송이 靑山 夕陽 비쳐 붉은데

一場岩上滿溪風 ~ 한 마당 바위 위에 시내 바람 가득하네.

重來俯仰心誰識 ~ 다시 와서 우러르고 굽어보는 마음 누가 알랴?

回首炊烟篆碧空 ~ 머리 돌리니 저녁 煙氣 푸른 하늘에 피어오르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