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선사의 선시
四溟惟政(사명유정) (1544~1610)의 禪詩 (41)~(50)
● 四溟惟政(사명유정) (1544~1610. 號 松雲, 四溟堂. 字 離幻. 法名 惟政. 塔號 鐘峰. 密陽 出生. 本貫 豊川. 俗姓 任氏, 俗名 應圭. 諡號 慈通弘濟尊者)
시간정보 | 내용 |
1544년 10월 17일 | 유정 출생 |
1561년 | 유정은 선과에 응시하여 장원급제하였다. |
1573년 | 유정은 김천 직지사 주지로 있으면서 보우(조선)의 문집과 잡저의 간행에 발문을 쓰고 교정을 보았다. |
1574년 | 유정은 서울 봉은사의 주지로 천거되었으나 사양하고, 향산 보현사 휴정의 문하로 들어갔다. |
1578년 | 유정은 휴정의 문하를 떠나 금강 표훈사 보덕암으로 들어갔다. |
1579년 | 유정은 『선가귀감(禪家龜鑑)』의 발문을 지었다. |
1580년 | 유정은 「부석사 안양루 중창기문(浮石寺安養樓重創記文) 」을 썼다. |
1586년 | 유정은 옥천(沃天)에서 무상(無常)의 법을 깨달았다. |
1589년 | 유정은 1589년에는 오대산 영감난야(靈鑑蘭若)에 머물면서 「월정사 법당의 서까래를 고치고 올린 글(月精寺法堂改椽錄)」을 지어 모금하며 사찰의 중수에 매달렸다. |
1592년 | 유정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고성 유점사에 있으면서 인근 아홉 고을의 백성들을 구출하였다. |
1593년 | 유정은 평양성 탈환의 혈전과 삼각산 노원평(蘆原坪) 및 우관동 전투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다. |
1594년 4월 13일~4월 16일 | 유정과 가토 기요마사의 1차 회담. |
1594년 7월 12일~7월 16일 | 유정과 가토 기요마사의 2차 회담. |
1594년 12월 23일 | 유정과 가토 기요마사의 3차 회담. |
1595년 | 유정은 조정에「을미상소(乙未上疏)」를 올렸다. |
1597년 3월 18일 | 유정과 가토 기요마사의 4차 회담. |
1604년 8월 | 유정은 탐적사(探賊使)로 쓰시마섬에 파견되었다. |
1604년 12월 | 유정은 교토에 들어가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본법사(本法寺)에서 회견했다. |
1605년 4월 | 유정은 일본에 연행된 피로인(被擄人) 1,300여 명(혹은 3,000여 명)을 데리고 귀국하였다. |
1605년 10월 | 유정은 향산 보현사로 가서 휴정의 영탑전에 절하였다. |
1606년 | 유정은 선조의 부름을 받고 상경하여 삼청동에 초가를 지어 기거하면서 궁궐 공사를 감독하였다 |
1608년 | 유정은 선조가 승하하자 서울로 올라와 배곡하니, 이로 인하여 병히 심해져 합천 해인사로 내려갔다. |
1610년 8월 26일 | 유정은 설법하고 결가부좌한 채 입적하였다. |
(41) 嶺南金烏下臥病憶雲中寸調(령남금오하와병억운중촌조) : 영남 金烏山 아래서 病으로 누운 雲中 寸調(촌조)를 생각하며
一從恩譴度流沙 ~ 한번 恩譴(은견)을 쫓아 流沙를 건넌 뒤
望盡三年鬢已華 ~ 三年 동안 바라보다 이미 귀밑머리 희어졌네.
怊悵東湖去時路 ~ 슬프도다. 東湖로 그재 떠나던 길은
春風依舊長新莎 ~ 봄바람에 옛날처럼 잔디가 새로이 돋는구나.
(42) 己亥秋奉別邊注書(기해추봉별변주서) : 1599年 가을 邊注書와 이별하며
恭承朝命下轅門 ~ 공손히 조정의 命令 받고 軍門으로 내려오니
夷夏山河到此分 ~ 오랑캐와 中華의 땅이 여기에서 갈라졌네.
四海風塵猶轉戰 ~ 온 世上에는 戰亂이 여전한데
十年征戍更從軍 ~ 십년 동안 邊方 지키다 또다시 從軍하네.
城隅落照看廻鳥 ~ 城 모퉁이 落照에 돌아오는 새 쳐다보고
天外歸心望去雲 ~ 하늘 바깥의 돌아가고픈 마음에 구름만 바라보네.
掃盡妖氛定何日 ~ 요사한 氣運 쓸어버릴 날 언제일까
撥灰金鴨細香焚 ~ 火爐에 재 헤쳐서 향을 피우노라.
* 注書(주서) : 朝鮮時代 王의 命令 內容을 記錄으로 남기는 일을 擔當하던 官吏.
(43) 在南原驛(재남원역) : 남원 兵營에 있으면서
碧油幢幕夜凄凄 ~ 碧油(벽유) 幢幕(당막)에 밤은 처량하고
刁斗無聲月欲低 ~ 刁斗(조두) 치는 소리 없고 달은 지려하는구나.
壯志未酬驚歲晏 ~ 장한 뜻 펴지 못하고 놀랍게도 올 해가 다가니
手持雄劒聽莏鷄 ~ 큰 칼을 손에 쥐고 귀뚜라미 소리 듣는다.
(44) 在東溟舘云云二(재동명관운운이) : 東溟館에서
風動葉聲驚宿鶴 ~ 잎사귀에 이는 바람 소리에 자던 鶴은 놀라고
月高汀樹散栖鴉 ~ 달은 높고 물가 나무 갈까마귀들 흩어지네.
不眠夜靜天河轉 ~ 잠 못 드는 이 밤 저 멀리 銀河는 기우는데
獨步中庭把菊花 ~ 홀로 뜰을 서성이며 菊花를 매만지네.
(45) 在馬島館庭菊大發感懷(재마도관정국대발감회) : 대마도 여관에서 뜰에 菊花가 가득 핀 것을 보고
蕭蕭落葉下汀洲 ~ 쓸쓸히 落葉은 모래톱에 지고
天末歸雲海北秋 ~ 하늘 끝 돌아가는 구름에 바다 北쪽은 가을이다.
節過重陽不歸去 ~ 절기는 重陽節을 지났건만 돌아가지도 못하는데
黃花空遣遠人愁 ~ 누런 꽃은 空然히 멀리 온 사람을 시름겹게 하네.
旅遊心緖亂如麻 ~ 나그네 마음은 亂麻와 같이 어지러워
落日空瞻北去鴉 ~ 떨어지는 해에 北으로 가는 까마귀만 부질없이 바라보네.
誰道山僧無顧念 ~ 누가 山僧은 돌아보는 마음이 없다고 하였는가?
夢魂頻度漢江波 ~ 꿈속에서 魂靈이 자주 漢江의 물결 넘는 것을.
錦屛回夢夜蒼蒼 ~ 꿈 깨고 보니 비단 병풍에 밤이 어둑어둑한데
雲盡天晴碧海長 ~ 구름 다한 하늘은 맑은데 푸른 바다는 아득하네.
門掩候蟲殘月曙 ~ 門 닫히고 가을벌레 우는데 새벽달 밝아오고
寄衣無處有淸霜 ~ 옷은 보내 올 곳도 없는데 맑은 서리만 내리다니.
* 對馬島 : 韓國의 釜山과 日本의 후쿠오카 사이에 있는 섬.
朝鮮 時代에 두 나라를 오갈 때 반드시 이 섬을 거쳐서 다녔다.
(46) 在本法寺除夜(재본법사제야) : 本法寺의 섣달 그믐날 밤
四海松雲老 ~ 이 넓은 世上에 이 늙은이는
行裝與志違 ~ 차림새와 생각이 서로 어긋나네.
一年今夜盡 ~ 한 해도 오늘 밤으로 다하는데
萬里幾時歸 ~ 만 리 먼 땅 돌아갈 날 언제이리.
衣濕蠻河雨 ~ 옷은 오랑캐 나라의 비에 젖는데
愁關古寺扉 ~ 오래된 절의 사립문이 닫힌 걸 근심하네.
焚香坐不寐 ~ 향을 피우고 앉아서 잠들지 못하는데
曉雪又霏霏 ~ 새벽 눈만 펄펄 내리는구나.
★ 本法寺 : 日本에 使臣으로 갔을 때 들른 절이다.
(47) 題降仙亭(제강선정) : 降仙亭에 쓰다
1.
三峽客歸去 ~ 三峽으로 나그네 돌아가니
龍臺生遠愁 ~ 龍臺에는 먼 근심 이는구나.
靑山雲色暮 ~ 靑山에 구름 빛 저무는데
丹穴水聲幽 ~ 붉은 굴에선 물소리 그윽하다.
2.
白首關河夜(백수관하야) 하얀 머리에 변방 물가 밤
傷心遠客愁(상심원객수) 다친 마음에 먼 길손 시름
相思無限意(상사무한의) 서로 생각에 끝없는 뜻이
明月獨登樓(명월독등루) 밝은 달 아래 홀로 누 올라
(48) 在竹島有一儒老譏山僧不得停息以拙謝之 :: 竹島에 있을 때 어떤 늙은 儒學者가 山僧이 쉬지도 못한다고 꾸짖기에 서툰 솜씨로 謝禮드리다
西州受命任家裔 ~ 西州에 명을 받은 任氏 家門의 후예로
庭戶堆零苟不容 ~ 집안이 령락하여 잠시 몸 둘 곳도 없었네.
無賴生成逃聖世 ~ 의지해 살 데가 없어서 세상을 避하여
有懷愚拙臥雲松 ~ 어리석음과 못남을 품고서 구름과 소나무에 누웠네.
山河去住七斤衲 ~ 山과 江을 오가는 데는 일곱 근 장삼이요
宇宙安危三尺筇 ~ 宇宙의 안위에는 세 척의 지팡이라.
是我空門本分事 ~ 이것이 우리 佛家의 本分인데
有何魔障走西東 ~ 무슨 마귀의 장애가 있어서 東西로 달리는가.
(49) 題降仙亭(제강선정) : 강선정에 쓰다
1.
三峽客歸去 ~ 삼협三峽으로 객은 돌아가 버리니
龍䑓生遠愁 ~ 용대에는 멀리로 시름이 이네.
靑山雲色暮 ~ 청산은 구름 빛이 저물었는데
丹穴水聲幽 ~ 붉은 굴에선 물소리 그윽하구나.
* 삼협(三峽) : 높은 산 사이 물이 흐르는 세 골짜기. 촉(蜀) 땅 호북성 파동현(湖北省巴東縣)의 서릉협(西陵峽), 귀향협(歸鄕峽), 무협(巫峽)을 말함.
양쪽 기슭에 7백 리에 걸쳐 산이 이어져 있어, 하늘과 해를 가리므로 한낮이 아니면 해와 달을 볼 수 없다 함.
2.
白首關河夜 ~ 흰 머리로 변방의 물가에 있으니
傷心遠客愁 ~ 애끊는 마음 먼 나그네의 수심이라.
相思無限意 ~ 한없이 서로를 생각하며
明月獨登樓 ~ 밝은 달 빛 아래 홀로 누대를 오른다.
(50) 贈蘭法師(증란법사) : 蘭 法師에게 주다
萬疑都就一疑團 ~ 萬 가지 疑心을 한 가지 疑心에 뭉쳐서
疑去疑來疑自看 ~ 疑心해 오고 疑心해 가면 스스로 보리라.
須是拏龍打鳳手 ~ 龍을 잡고 鳳凰을 치는 솜씨로
一拳拳倒鐵城關 ~ 한 주먹으로 鐵城關(철성관)을 넘어뜨려라.
산과바다 이계도
'禪詩 > 禪師들의 禪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溟惟政(사명유정)의 禪詩(선시) (61)~(73) (0) | 2022.11.01 |
---|---|
四溟惟政(사명유정)의 禪詩(선시) (51)~(60) (0) | 2022.11.01 |
四溟惟政(사명유정)의 禪詩(선시) (31)~(40) (0) | 2022.11.01 |
四溟惟政(사명유정)의 禪詩(선시) (21)~(30) (0) | 2022.11.01 |
四溟惟政(사명유정)의 禪詩(선시) (11)~(20) (0) | 2022.11.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