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선사의 선시
四溟惟政(사명유정) (1544~1610)의 禪詩 (21)~(30)
● 四溟惟政(사명유정) (1544~1610. 號 松雲, 四溟堂. 字 離幻. 法名 惟政. 塔號 鐘峰. 密陽 出生. 本貫 豊川. 俗姓 任氏, 俗名 應圭. 諡號 慈通弘濟尊者)
시간정보 | 내용 |
1544년 10월 17일 | 유정 출생 |
1561년 | 유정은 선과에 응시하여 장원급제하였다. |
1573년 | 유정은 김천 직지사 주지로 있으면서 보우(조선)의 문집과 잡저의 간행에 발문을 쓰고 교정을 보았다. |
1574년 | 유정은 서울 봉은사의 주지로 천거되었으나 사양하고, 향산 보현사 휴정의 문하로 들어갔다. |
1578년 | 유정은 휴정의 문하를 떠나 금강 표훈사 보덕암으로 들어갔다. |
1579년 | 유정은 『선가귀감(禪家龜鑑)』의 발문을 지었다. |
1580년 | 유정은 「부석사 안양루 중창기문(浮石寺安養樓重創記文) 」을 썼다. |
1586년 | 유정은 옥천(沃天)에서 무상(無常)의 법을 깨달았다. |
1589년 | 유정은 1589년에는 오대산 영감난야(靈鑑蘭若)에 머물면서 「월정사 법당의 서까래를 고치고 올린 글(月精寺法堂改椽錄)」을 지어 모금하며 사찰의 중수에 매달렸다. |
1592년 | 유정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고성 유점사에 있으면서 인근 아홉 고을의 백성들을 구출하였다. |
1593년 | 유정은 평양성 탈환의 혈전과 삼각산 노원평(蘆原坪) 및 우관동 전투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다. |
1594년 4월 13일~4월 16일 | 유정과 가토 기요마사의 1차 회담. |
1594년 7월 12일~7월 16일 | 유정과 가토 기요마사의 2차 회담. |
1594년 12월 23일 | 유정과 가토 기요마사의 3차 회담. |
1595년 | 유정은 조정에「을미상소(乙未上疏)」를 올렸다. |
1597년 3월 18일 | 유정과 가토 기요마사의 4차 회담. |
1604년 8월 | 유정은 탐적사(探賊使)로 쓰시마섬에 파견되었다. |
1604년 12월 | 유정은 교토에 들어가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본법사(本法寺)에서 회견했다. |
1605년 4월 | 유정은 일본에 연행된 피로인(被擄人) 1,300여 명(혹은 3,000여 명)을 데리고 귀국하였다. |
1605년 10월 | 유정은 향산 보현사로 가서 휴정의 영탑전에 절하였다. |
1606년 | 유정은 선조의 부름을 받고 상경하여 삼청동에 초가를 지어 기거하면서 궁궐 공사를 감독하였다 |
1608년 | 유정은 선조가 승하하자 서울로 올라와 배곡하니, 이로 인하여 병히 심해져 합천 해인사로 내려갔다. |
1610년 8월 26일 | 유정은 설법하고 결가부좌한 채 입적하였다. |
(21) 東林寺秋夕夜半(동림사추석야반) : 동림사 추석날 밤에
東林月出白猿啼 ~ 東林寺에 달뜨고 흰 원숭이 울고
丹桂淸霜夜色凄 ~ 붉은 계수나무 맑은 서리에 밤빛 凄凉하다.
獨倚香臺鐘鼓靜 ~ 홀로 향대에 기대니 종과 북소리 맑고
天風吹棄見禽棲 ~ 바람은 나뭇잎에 불어 둥지의 새가 보인다.
(22) 謾書(만서) : 아무렇게나 쓰다
藏舟計拙事多違 ~ 서툰 計策을 쓰다 보니 어그러지는 일이 많고
坐到更深不掩扉 ~ 앉은 채로 사립문도 닫지 않은 채 밤이 깊었네.
細數三千八百策 ~ 삼천팔백의 計策을 자세히 살펴보니
方知四十九年非 ~ 사십구 년의 세월이 잘못 되었음을 알겠네.
秖今穿耳人誰在 ~ 지금 시대에 귀가 뚫린 이가 누가 있으며
從古枯禪世所稀 ~ 옛날부터 올곧게 參禪하는 이 세상에 드물었다.
鐘盡月沈天欲曙 ~ 종이 울리고 나니 달 지고 하늘 밝아오는데
始驚寒露濕蘿衣 ~ 비로소 차가운 이슬에 옷이 젖는 것을 알고 놀라네.
* 귀가 뚫린 이 : 怜悧(영리)한 사람, 佛法을 理解하는 사람
(23) 鳴沙行(명사행) : 鳴沙로 가면서
細雨鳴沙三月時 ~ 가는 비 내리는 鳴沙 땅 삼월에
杏花零落客思歸 ~ 살구꽃 떨어지니 故鄕 생각나는 나그네.
鄕關猶隔一千里 ~ 고향은 아직 천리 아득한 곳
愁見河橋靑柳絲 ~ 강다리 푸른 버들을 수심 겨워 보노라.
(24) 別松庵(별송암) : 松庵과 離別하며
去歲春風三月時 ~ 지난 해 봄바람 부는 三月에
一回相見語相思 ~ 한번 만나보고 그립다 말을 하네.
如今又向南天遠 ~ 지금 또 남쪽을 향하여 멀리 떠나는데
依舊垂楊生綠綠 ~ 수양버들만은 예처럼 푸르기만 하여라.
(25) 別松庵陪尊祖西行(별송암배존조서행) : 송암이 尊祖를 모시고 西行함을 離別하다
別路寒松日欲斜 ~ 지는 해에 차가운 소나무 길에서 離別할제
碧雲殘雪有啼鴉 ~ 구름은 푸르고 殘雪 속에 갈까마귀 울음소리 들린다.
西行想渡浿江水 ~ 西行길에 大同江을 건널 일 생각하니
落盡春風處處花 ~ 곳곳에 꽃잎들이 봄바람에 다 떨어지지 않을는지.
(26) 奉錦溪沈明府(봉금계침명부) : 錦溪 沈明府에게 드림
當時一別漢東寺 ~ 漢陽 東쪽 절에서 헤어지고 보니
空悲歲徂靑眼稀 ~ 親舊는 드물고 가는 歲月을 슬퍼한다.
隨緣江海無定所 ~ 因緣 따라 푸른 江과 바다 定處 없이 다니다가
轉蓬復此西南飛 ~ 구르는 쑥대처럼 여기 西南으로 찾아왔소.
知音賴有沈休文 ~ 마음 알아주는 親舊 沈休文이 있어
八月南渡瀟湘浦 ~ 八月에 南쪽으로 瀟湘浦(소상포)를 건넌다.
相看切切語相思 ~ 절절히 서로 보며 그리웠던 지난 얘기 나누고
上房數夜同淸晤 ~ 몇 날 밤을 上房에서 함께 지냈네.
天涯佳節近重陽 ~ 하늘 끝 아름다운 때 重陽節이 가까운데
零露瀼瀼荷欲老 ~ 차가운 이슬은 내리고 연꽃은 시드는구나.
平明却有故山思 ~ 날이 밝으니 도리어 故鄕 山川 생각나
獨望白雲山外路 ~ 나 홀로 흰 구름 저 넘어 먼 山을 바라본다.
(27) 奉全羅防禦使元長浦(봉전라방어사원장포) : 전라 방어사 元長浦에게 드림
百歲三分已二分 ~ 백년을 三分하여 벌써 二分이 지났는데
袛今行止更如雲 ~ 지금도 나의 행동거지 구름과 같구나.
何時高臥崇山室 ~ 어느 때나 崇山의 방에 편안히 누워
鷄唳猿啼半夜聞 ~ 반야에 학과 원숭이 울음소릴 들어볼거나.
(28) 浮碧樓用李翰林韻 : 부벽루에서 李翰林의 韻을 따서
三國去如鴻 ~ 옛 三國의 榮華도 그렇게 가고
麒麟秋草沒 ~ 聖人들도 가을 雜草더미에 묻혀있구나.
長江萬古流 ~ 긴 江물은 永遠으로 흐르고
一片孤舟月 ~ 쪽배 같은 외로운 달만 하늘에 걸렸구나.
(29) 寫懷(사회) : 생각을 쓰다
邇來多病歎龍鐘 ~ 요즈음은 병이 많아 歎息하며 눈물 흘리고
親友凋零半已空 ~ 親友들도 世上 떠나 半이 이미 없어졌네.
獨有雲松與麋鹿 ~ 오직 구름과 소나무와 사슴만이 있어
暮年相伴老重峯 ~ 늘그막에 서로 벗 삼아 겹겹 봉우리 속에서 늙어가네.
(30) 山居集句四. 1 : 山에 살며 集句한 四首
無媒經路章蕭蕭 ~ 지름길 찾는 이 없어 글 읽기 외롭고
門掩空庭思寂廖 ~ 大門 닫힌 빈 뜰은 생각하면 쓸쓸하기만 하다.
百鳥不來春又過 ~ 온갖 새 날아오지 않았는데 봄은 또 지나가고
庵前時有白雲朝 ~ 庵子 앞에는 때때로 흰 구름만 보이는구나.
산과바다 이계도
'禪詩 > 禪師들의 禪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溟惟政(사명유정)의 禪詩(선시) (41)~(50) (0) | 2022.11.01 |
---|---|
四溟惟政(사명유정)의 禪詩(선시) (31)~(40) (0) | 2022.11.01 |
四溟惟政(사명유정)의 禪詩(선시) (11)~(20) (0) | 2022.11.01 |
四溟惟政(사명유정)의 禪詩(선시) (1)~(10) (0) | 2022.11.01 |
浮休善修(부휴선수)의 禪詩(선시) (41)~(46) (0) | 2022.11.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