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선사의 선시
四溟惟政(사명유정) (1544~1610)의 禪詩 (1)~(10)
● 四溟惟政(사명유정) (1544~1610. 號 松雲, 四溟堂. 字 離幻. 法名 惟政. 塔號 鐘峰. 密陽 出生. 本貫 豊川. 俗姓 任氏, 俗名 應圭. 諡號 慈通弘濟尊者)
시간정보 | 내용 |
1544년 10월 17일 | 유정 출생 |
1561년 | 유정은 선과에 응시하여 장원급제하였다. |
1573년 | 유정은 김천 직지사 주지로 있으면서 보우(조선)의 문집과 잡저의 간행에 발문을 쓰고 교정을 보았다. |
1574년 | 유정은 서울 봉은사의 주지로 천거되었으나 사양하고, 향산 보현사 휴정의 문하로 들어갔다. |
1578년 | 유정은 휴정의 문하를 떠나 금강 표훈사 보덕암으로 들어갔다. |
1579년 | 유정은 『선가귀감(禪家龜鑑)』의 발문을 지었다. |
1580년 | 유정은 「부석사 안양루 중창기문(浮石寺安養樓重創記文) 」을 썼다. |
1586년 | 유정은 옥천(沃天)에서 무상(無常)의 법을 깨달았다. |
1589년 | 유정은 1589년에는 오대산 영감난야(靈鑑蘭若)에 머물면서 「월정사 법당의 서까래를 고치고 올린 글(月精寺法堂改椽錄)」을 지어 모금하며 사찰의 중수에 매달렸다. |
1592년 | 유정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고성 유점사에 있으면서 인근 아홉 고을의 백성들을 구출하였다. |
1593년 | 유정은 평양성 탈환의 혈전과 삼각산 노원평(蘆原坪) 및 우관동 전투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다. |
1594년 4월 13-4월 16일 | 유정과 가토 기요마사의 1차 회담. |
1594년 7월12일~ 7월 16일 | 유정과 가토 기요마사의 2차 회담. |
1594년 12월 23일 | 유정과 가토 기요마사의 3차 회담. |
1595년 | 유정은 조정에「을미상소(乙未上疏)」를 올렸다. |
1597년 3월 18일 | 유정과 가토 기요마사의 4차 회담. |
1604년 8월 | 유정은 탐적사(探賊使)로 쓰시마섬에 파견되었다. |
1604년 12월 | 유정은 교토에 들어가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본법사(本法寺)에서 회견했다. |
1605년 4월 | 유정은 일본에 연행된 피로인(被擄人) 1,300여 명(혹은 3,000여 명)을 데리고 귀국하였다. |
1605년 10월 | 유정은 향산 보현사로 가서 휴정의 영탑전에 절하였다. |
1606년 | 유정은 선조의 부름을 받고 상경하여 삼청동에 초가를 지어 기거하면서 궁궐 공사를 감독하였다 |
1608년 | 유정은 선조가 승하하자 서울로 올라와 배곡하니, 이로 인하여 병히 심해져 합천 해인사로 내려갔다. |
1610년 8월 26일 | 유정은 설법하고 결가부좌한 채 입적하였다. |
(1) 我本靑山鶴(아본청산학) : 나는 本디 靑山의 鶴인데
임진왜란 때 四溟大師와 日本 德川家康<도쿠가와 이에야스,とくがわ いえやす >가 나눈 問答詩로 忠南 保寧市 開花藝術公園에 詩碑가 있음
(德川家康) 問.
石上難生草 ~ 돌 위에는 풀이나기 어렵고
房中難起雲 ~ 房안에는 구름이 일기 어렵네.
汝爾何山鳥 ~ 너는 어느 山의 새이기에
來參鳳凰群 ~ 鳳凰들이 노는데 왔느냐.
(四溟堂) 答
我本靑山鶴 ~ 나는 本디 靑山의 鶴인데
常有五色雲 ~ 五色구름 위에 놀았다.
一朝雲霧盡 ~ 하루아침에 雲霧가 사라지는 바람에
誤落野鷄群 ~ 닭들 노는 곳에 잘못 떨어져 왔구나.
* (とくがわ いえやす 長子 히데야쓰(32세)는 남달리 禪學에 뜻이 있는 사람인데, 朝鮮의 高僧 四溟大師를 親見하고 느낀 바 있어 스승의 禮를 갖추어 가르침을 請하니 大師는 一筆揮之로 다음과 같이 敎示하였다.
一太空間無盡藏 ~ 一太(일태)는 공간이요, 다함이 없고,
寂知無臭又無聲 ~ 寂知(적지)는 냄새도 없으며 또한 소리도 없도다.
只今聽說何煩問 ~ 지금 말을 듣고 어찌 번거롭게 묻는가?
雲在靑天水在甁 ~ 구름은 청천에 있고 물은 병속에 있느니라.
(2) 降仙亭(강선정) : 신선이 내려와 놀던 亭子
江源西出峽門開 ~ 江 根源이 西쪽으로 흘러 峽門이 열리니
千樹村邊斷岸廻 ~ 一千 나무 가에 끊어진 언덕이 둘렀구나.
中有高臺三百尺 ~ 가운데에는 三百 尺 높은 樓臺가 있으니
月明時見羽人來 ~ 달 밝은 밤에 때때로 神仙이 내려온다네.
* 降仙亭(강선정) : 가여울(戌灘술탄 : 파주 적성 주월리의 틸교 아래에 있는 임진강 여울) 동쪽에 있는 정자 터
(3) 癸未秋關西途中(계미추관서도중) 1 : 계미년 가을 關西로 가는 途中
黃雲塞下本無春 ~ 邊方의 黃色 구름 本來 봄이 오지 않는데
桃柳應知別處新 ~ 복사꽃 버드나무 다른 地方에서는 새로 피어나리라.
雙鯉不來花又落 ~ 便紙는 오지 않고 꽃이 또 지니
暮山回首泣孤臣 ~ 저문 山에서 머리 돌려 우는 외로운 臣下여.
(4) 癸未秋關西途中(계미추관서도중) 2 : 계미년 가을 關西로 가는 途中
黃葉蕭蕭廣陵道 ~ 廣陵길 낙엽은 쓸쓸하고
夜來風雨滿江津 ~ 밤엔 비바람 江나루에 가득하다.
孤舟獨繫西湖柳 ~ 외로운 배 西쪽 湖水 버드나무에 매여이고
泣向關山憶遠人 ~ 눈물 흘리며 關山을 向해 먼 사람 생각한다.
(5) 癸未秋關西途中(계미추관서도중) 3 : 계미년 가을 關西로 가는 途中
塞外孤身夢裏逢 ~ 邊方 밖 외로운 몸 꿈에서 만나
同遊澤畔語從容 ~ 못가에 같이 놀며 조용히 말한다.
覺來依舊關山遠 ~ 깨어보니 如前히 關山은 멀고
悄悄無言聽曙鐘 ~ 말없이 쓸쓸히 새벽 鐘소리 듣는다.
(6) 過邙山(과망산) : 망산을 지나며
太華山前多少塚 ~ 太華山 앞 수많은 무덤들
洛陽城裏古今人 ~ 古今의 洛陽城 사람 무덤이라.
可憐不學長生術 ~ 가련하다, 무슨 일로 長生術을 못 배워
杳杳空成松下塵 ~ 아득한 세월 덧없이 소나무 아래 흙먼지로 되었는가.
(7) 過溟洲(과명주) : 溟洲를 지나며
離山三日到江陵 ~ 山을 떠나 三日만에 江陵에 오니
逆旅寥寥半夜燈 ~ 나그네 적적하고 한밤에 등불만 깜빡인다.
故國千年多少恨 ~ 고국 천년에 맺힌 한이 얼마인가
水雲寒雪倚樓僧 ~ 물과 구름 그리고 차가운 눈, 樓臺에 기댄 중 한 사람있네.
(8) 過西都(과서도) 1 : 西都를 지나며
國破山河王氣殘 ~ 나라가 亡하니 산하에 왕기가 쇠잔하고
天孫何處白雲間 ~ 王孫은 흰 구름 속 어디에 있는가.
只今宮漏秋鐘歇 ~ 지금 宮中의 물시계와 종소리 그치고
千古月明江水寒 ~ 千古에 달은 밝고 江물은 차기만하구나.
(9) 過西都(과서도) 2 : 西都를 지나며
淸流壁下古今路 ~ 청류벽 아래 옛 길과 지금의 길에
靑草夕陽人去來 ~ 석양에 풀은 푸르고 사람은 오간다.
欲問千秋興廢事 ~ 천년의 흥망의 일을 묻고자하니
白雲橋畔夜花開 ~ 白雲橋 다리 가에 밤에도 꽃이 피었구나.
(10) 過西都(과서도) 3 : 西都를 지나며
落月孤雲渺南國 ~ 지는 달 외로운 구름 南녘 땅 아득하고
羈愁獨上望鄕臺 ~ 나그네 수심겨워 홀로 望鄕臺에 오른다.
秋風黃葉不歸去 ~ 가을바람 불고 단풍이 져도 돌아가지 못하고
空館夜聞寒雨來 ~ 空虛한 여관에서 차가운 밤비소리 듣는다.
산과바다 이계도
'禪詩 > 禪師들의 禪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溟惟政(사명유정)의 禪詩(선시) (21)~(30) (0) | 2022.11.01 |
---|---|
四溟惟政(사명유정)의 禪詩(선시) (11)~(20) (0) | 2022.11.01 |
浮休善修(부휴선수)의 禪詩(선시) (41)~(46) (0) | 2022.11.01 |
浮休善修(부휴선수)의 禪詩(선시) (31)~(40) (0) | 2022.11.01 |
浮休善修(부휴선수)의 禪詩(선시) (21)~(30) (0) | 2022.11.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