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孟浩然 詩

孟浩然 詩 HOME

by 산산바다 2022. 6. 25.

산과바다

孟浩然 詩 HOME

 

 

 

* 孟浩然 詩 바로가기(가나다순)

1 강상별유인(江上別流人) 56 야계범주(耶溪泛舟)
2 과경공사고융공난야(過景空寺故融公蘭若) 57 야귀녹문가(夜歸鹿門歌)/야귀녹문산가(夜歸鹿門山歌)
3 과고인장(過故人莊) 58 야도상수(夜渡湘水)
4 과융상인난야(過融上人蘭若) 59 양자진망경구(揚子津望京口)
5 () 60 양주사(涼州詞)
6 기조정자(寄趙正字) 61 여제자등현산(與諸子登峴山)
7 구호증왕구(口號贈王九)/증왕구(贈王九) 62 여항주설사호등장정루작(與杭州薛司戶登樟亭樓作)
8 낙중방원습유불우(洛中訪袁拾遺不遇)/방원습유불우(訪袁拾遺不遇) 63 연장별가신재(宴張別駕新齋)
9 남귀조설(南歸阻雪)/남양북조설(南陽北阻雪) 64 연포이융택(宴包二融宅)
10 남산하여노포기종과(南山下與老圃期種瓜) 65 요개부산지(姚開府山池)
11 답설심매(踏雪尋梅) 66 운문사서육칠리문부공난야최유여설팔동왕(雲門寺西六七里聞符公蘭若最幽與薛八同往)
12 대제행기만칠(大堤行寄萬七) 67 유경공사란야(游景空寺蘭若)
13 도절강문주중인(渡浙江問舟中人) 68 유명선사서산난야(游明禪師西山蘭若)
14 도중우청(途中遇晴) 69 유별왕유(留別王維)/유별왕시어유(留別王侍御維)
15 도양자강(渡揚子江) 70 유봉림사서령(游鳳林寺西嶺)
16 동왕구제취사산방(同王九題就師山房) 71 유운문사기월부포호조서기거(遊雲門寺寄越府包戶曹徐起居)
17 동저십이낙양도중작(同儲十二洛陽道中作) 72 유정사관회왕백운재후(游精思觀回王白雲在後)
18 동정호기염구(洞庭湖寄閻九) 73 육언시(六言詩)
19 등강중고서증백운선생왕형(登江中孤嶼贈白雲先生王迥) 74 자락지월(自洛之越)
20 등녹문산(登鹿門山)/등녹문산회고(登鹿門山懷古) 75 전가원일(田家元日)
21 등망초산최고정(登望楚山最高頂) 76 전원작(田園作)
22 등안양성루(登安陽城樓) 77 제야낙성봉장소부(除夜樂城逢張少府)
23 등현산정기진릉장소부(登峴山亭寄晉陵張少府) 78 제의공선방(題義公禪房)/제대우사의공선방(題大禹寺義公禪房)
24 만박심양망여산(晩泊潯陽望廬山)/만박심양망향노봉(晩泊潯陽望香爐峰) 79 제장야인원려(題張野人園廬)
25 만산담작(萬山潭作) 80 제장안주인벽(題長安主人壁)
26 만춘와병기장팔(晚春臥病寄張八) 81 조매(早梅)
27 망동정호증장승상(望洞庭湖贈張丞相)/임동정호증장승상(臨洞庭湖贈張丞相) 82 조발어포담(早發漁浦潭)
28 매도사수정(梅道士水亭) 83 조한강상유회(早寒江上有懷)/早寒有懷(조한유회)
29 무릉범주(武陵泛舟) 84 주중효망(舟中曉望)
30 문주자(問舟子) 85 중하귀한남원기경읍기구(仲夏歸漢南園寄京邑耆舊)
31 방원습유불우(訪袁拾遺不遇) 86 진중고우사귀증원좌승하시랑(秦中苦雨思歸贈袁左丞賀侍郎)
32 배장승상자송자강동박저궁(陪張丞相自松滋江東泊渚宮) 87 진중기원상인(秦中寄遠上人)/진중감추기원상인(秦中感秋寄遠上人)
33 백운선생왕형견방(白雲先生王迥見訪) 88 질유과용천사정사정이엄이공(疾愈過龍泉寺精舍呈易業二公)
34 부경도중우설(赴京途中遇雪) 89 집령대(集靈臺)
35 북간범주(北澗泛舟) 90 채초작(採樵作)
36 서산심신악(西山尋辛諤) 91 청명일연매도사방(淸明日宴梅道士房)/연매도사산방(宴梅道士山房)
37 서회이경읍동호(書懷貽京邑同好) 92 청정오음탄금(聽鄭五愔彈琴)
38 세모귀남산(歲暮歸南山) 93 초춘한중양주(初春漢中漾舟)
39 세모해상작(歲暮海上作) 94 초추(初秋)/추야(秋夜)
40 세제야유회(歲除夜有懷)/一題作除夜 95 추등난산기장오(秋登蘭山寄張五)/秋登萬山寄張五儃
41 세제야회낙성장소부택(歲除夜會樂城張少府宅) 96 추등장명부해정(秋登張明府海亭)
42 송두십사지강남(送杜十四之江南) 97 추소월하유회(秋宵月下有懷)
43 송신대지악저불급(送辛大之鄂渚不及) 98 춘의(春意)/一題作春怨
44 송왕창령지령남(送王昌齡之嶺南) 99 춘정(春情)
45 송우인지경(送友人之京) 100 춘중희왕구상심(春中喜王九相尋)
46 송정대봉진사부거정장구령(送丁大鳳進士赴舉呈張九齡) 101 춘효(春曉)
47 송주대입진(送朱大入秦) 102 취후증마사(醉後贈馬四)
48 송한사군제홍주도조(送韓使君除洪州都曹) 103 타향칠석(他鄕七夕)
49 숙건덕강(宿建德江) 104 하일남정회신대(夏日南亭懷辛大)
50 숙동려강기광능구유(宿桐廬江寄廣陵舊游)/宿廬江寄廣陵舊游 105 하일변옥법사모재(夏日辨玉法師茅齋)
51 숙업사산방대정대부지(宿業師山房待丁大不至) 106 하일부주과진대수정(夏日浮舟過陳大水亭)/一作浮舟過滕逸人別業
52 숙종남취미사(宿終南翠微寺) 107 한야장명부택연(寒夜張明府宅宴)
53 시맹교(示孟郊) 108 한원회소자(閑園懷蘇子)
54 심국화담주인불우(尋菊花潭主人不遇) 109 현담작(峴潭作)/현산작(峴山作)
55 심향산담상인(尋香山湛上人) 110 환산이담법사(還山貽湛法師)
    111 희제(戱題)/희증주인(戱贈主人)

 

 

* 孟浩然 관련

송맹호연지광능(送孟浩然之廣陵) : 이백(李白)

황학루송맹호연지광릉(黃鶴樓送孟浩然之廣陵) : 이백(李白)

증맹호연(贈孟浩然) : 이백(李白)

춘일귀산기맹호연(春日歸山寄孟浩然) : 이백(李白)

송맹육귀양양(送孟六歸襄陽) : 왕유(王維) 一作張子容詩

곡맹호연(哭孟浩然) : 왕유(王維)

맹호연묘(孟浩然墓) 나은(羅隱)

 

* 孟浩然 詩 모음

 

* 孟浩然 詩 原文(全唐詩)

孟浩然 詩 原文 (卷一百五十九)

孟浩然 詩 原文 (卷一百六十)

 

 

 

* 孟浩然(맹호연, 689년~740년 ) 은 중국 당나라의 시인이다.

孟浩然(맹호연)

孟浩然(맹호연, 689~740)은 중국 당나라의 시인이다.  자는 호연이며 호()는 녹문거사(鹿門居士)이다.

양양(襄陽) 사람으로 절개와 의리를 존중하였다. 한때 녹문산(鹿門山)에 숨어 살면서 시 짓는 일을 매우 즐겼다. 40세 때 장안(지금의 시안)에서 시로 이름을 날리고, 왕유·장구령 등과 사귀었다. 그의 시는 왕유의 시풍과 비슷하며, 도연명의 영향을 받아 5언시에 뛰어났다. 격조 높은 시로 산수의 아름다움을 읊어 왕유와 함께 산수 시인의 대표자로 불린다. 맹양양(孟襄陽)으로도 불리며 저서에 맹호연집’ 4권이 있다.

 

양주(襄州) 양양(襄陽) 사람으로 본래의 이름은 호()이고, 세간에서 맹양양(孟襄陽)’으로 일컬어졌다. ()나라 때 시인이다.

그는 어렸을 때부터 절의(節義)를 중히 여기며 환란에 빠진 사람들을 잘 구해주었다. 진사 시험에 거듭 낙방하고 40세에 장안에서 머물렀는데, 그의 유명세를 들은 당()나라 현종(玄宗)이 그를 불러 한번 시를 읊으라고 했다. 그가 재주가 없어 영명한 군주에게 버림을 받았다라고 읊으니, 현종이 버럭 화가 나서 이렇게 말했다. “그대는 스스로 관직을 구하지도 않았고, 나는 그대를 버린 적이 없소 그 후에 녹문산(鹿門山)에서 은거하며 시 2백여 수()를 지었다. 그래서 맹산인(孟山人)’으로 일컬었다.

그는 산수전원시(山水田園詩)로 유명하며 왕유(王維)와 더불어 왕맹(王孟)’으로도 불렸다.

 

대표작품으로 춘효(春曉), 하일남정회신대(夏日南亭懷辛大), 과고인장(過故人莊), 숙건덕강(宿建德江) 등이 맹호연집(孟浩然集)에 수록되었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